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경미 Mar 28. 2024

프롤로그. 이제 나비가 될 시간입니다


십 대 땐 이십 대를 갈망했고, 이십 대엔 삼십 대를 기대했다. 나이 먹을수록 자유로워질 시간을 동경했다. 떡국을 먹으면 한 살을 먹는다는 말에 그럼 두 그릇을 먹으면 나이를 두 살 더 먹는 거냐며 한 그릇을 더 먹을까 고민했던, 나이를 빨리 먹고 싶다는 열망. 그 열망은 이제 전혀 뜨뜻하지 않고 감흥 없는 것이 되고 말았다. 그도 그럴 것이 마흔 하면 중년이 떠오르고, 이제 청년인 척했던 과거를 모두 청산해야 함을 의미했다.

100세 시대엔 마흔을 중년이라고 말하기 이르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마흔은 아직 한창이고 젊을 때니 청년에 가깝다고. 하지만 나는 ‘마흔’에 중년이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이삼십 대의 청년기를 지나 칠십 대 이후 노년기에 접어들기 전의 삼십 년, 청년과 노년 사이의 중년, 그 시작이 바로 마흔이니 말이다. 


그리고 벌써 청년이 아니라 중년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실감하고 있다. 청년센터 같은 곳은 이미 연령제한에 아슬아슬 닿아있고, 가요 프로그램에 나오는 아이돌들은 이제 내 조카 같고 아기처럼 보인다. 더는 군인 아저씨라고 말하기 미안해진 나이. 아이패드와 애플 펜슬보다 수첩과 펜을 챙기는 것이 더 익숙한 나이. 아니, 그런 사람. 청년이 아닌 중년으로 세대를 갈아입는 나를 종종 목격한다. 그럴 때마다 고백하게 된다. 나이는 정말 속일 수가 없구나.     

 

고백하자면 중년의 시작을 앞둔 상태에서 떠올린 마흔의 이미지란 책임, 쇠락, 아픔, 부정적인 변화 같은 무겁고 어두운 것이었다. 몸이 점점 내 뜻대로 움직이지 않고, 고장 난 곳이 하나둘 생기기 시작하는 나이, 사회에선 젊음의 패기로 치고 올라오는 후배들과 경험을 무기로 장착해 이미 자리를 잡은 선배들 사이에 껴서 어정쩡해진 나이, 변하기엔 늙었고 그대로 있기엔 젊은 나이, 책임감이 더 묵직해지는 나이, 그래서 실패하면 더 질책받고 인정받기 어려운 나이, 성과가 있어야 할 것 같지만 아직은 요원해 보이는 나이, 인생의 베테랑 같지만 실제론 마흔이 처음인 어리바리한 나이.

나는 마흔의 모든 것들의 어정쩡함이라고 규정했다. 이쪽도 저쪽도 낄 수 없는, 그러면서도 양쪽의 성질을 어색하게 띠고 있는, 이제 막 물이 들기 시작해 얼룩덜룩한 단풍나무잎 같은 그런 나이 말이다. 초록색도 아니고 붉은색도 아닌 그 어딘가에서, 청춘은 나이를 먹고 점점 더 붉어지길 바라며 마흔이라는 중년을 사는 것으로 생각했다.     


삼십 대가 되면 세상이 매우 다를 것 같았던 막연한 생각은 이미 깨진 지 오래고, 흐릿하기만 했던 인생이 조금이라도 뚜렷해질 거란 예상도 보기 좋게 빗나갔다. 값진 무언가를 이뤘을 거란 기대도 무너진 지 오래다. 마흔에 가까워질수록 인생이라는 환상이 조금씩 깨지고 있다. 조금씩 현실로 눈을 돌리며 삶을 살고 있다.

어렵게 얻은 현실감각은 막연한 기대와 근거 없는 희망으로 이삼십 대를 맞이한 과거처럼 무책임하게 사십 대를 맞지 말라고 속삭인다. 머리는 하늘에 그렇지만 발은 땅에 붙인 채로, 그렇게 마흔을 살아야 한다고 속삭인다.


어느 날, 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애벌레는 나비가 되기 위해 애벌레로 살기를 ‘포기’해야 한다. ‘포기’는 애벌레였던 익숙한 존재가 사라지는 것까지도 감내해야 함을 의미한다. 아름다운 나비가 되기 위해 애벌레는 자신의 모든 것을 포기하는 그 굳은 결의로 고치를 만들고, 그 안에서 애벌레로서의 최후를 맞이한다. 자기 몸을 녹이고, 그 흐물흐물해진 것들을 재조직해 나비를 만든다. 그렇게 나비가 된 애벌레는 고치를 뜯고 나와 애벌레가 아닌 나비로서의 삶을 산다. 엉금엉금 배를 끌며 기어 다녔던 방식을 버리고 두 날개로 날아다니는 전혀 새로운 방식을 배우고 익히며 전과는 완전히 다른 삶을 산다.


하늘하늘한 날갯짓으로 하늘을 나는 나비를 보며 앞으로 올 게 분명한 마흔이라는 세계는 애벌레가 아닌 나비로 사는 세계일 것이라고, 그래서 마흔을 코앞에 둔 지금, 고치를 만들어 나비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고, 나는 결심한다. 영영 애벌레로 살아도 되지만, 마흔이 중년이 시작이라면 나비가 되어 새로운 삶을 살고 싶으니까. 지금 나비가 되지 않는다면 애벌레의 삶은 점점 더 길어지고 나비의 삶은 그만큼 짧아질 테니까.     


어떻게 나비가 되어야 할까. 이 글은 그 질문에 대한 나만의 답이다. 내가 바라는 40대의 모습, 내가 되고 싶은 40대의 모습이 되기 위해. 언젠가 마흔의 한중간에서 길을 잃고 헤맬 때 오래 방황하지 않고 금방 헤어나올 수 있게. 그리고 언젠가 꼭 오고야 말 오십을 앞뒀을 때 또다시 이대로 오십이 될 수 없다며 비명을 지르지 않기 위해. 나비로서 살아갈 미래의 우리를 위한 다짐이다.



(사진 출처: 픽사베이)


※ 이 브런치북은 기존에 작성한 글을 퇴고하거나 새롭게 쓴 글을 섞어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