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다림 Oct 22. 2021

백제 건국 시조를 찾아서

   한국 고대사의 첫 국가인 단군조선에 관해서는 단군신화 외에 신빙성 있는 사료(史料)가 없어 이를 더 깊이 연구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한국 고대사를 복원하는 구체적인 작업은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신빙성과 역사적 사실성을 재평가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다. 삼국 중에서도 백제의 건국은 부여, 고구려, 마한과 매우 깊이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관한 기록이 한국과 중국, 일본에 모두 남아 있어 교차 검증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백제 건국 관련 기사를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하기로 한다.




    백제 건국 시조에 대해서는 한중일 모두 관련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일견 그 내용이 서로 달라서 학계와 연구자들 사이에는 누가 백제 건국 시조인지부터 논란이 있다. 관련 기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삼국사기 온조왕 본기다. 여기에는 고구려 시조 의 아들 온조왕이 백제를 건국하였다고 하면서, 온조왕이 건국 직후 동명왕 사당을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둘째는 삼국사기 온조왕 본기에 덧붙여진 분주(分註)다. 여기에는 백제 시조를 비류왕(沸流王)이라고 하면서, 그는 북부여왕 해부루의 서손(庶孫)인 우태(優台)의 아들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셋째는 논형(論衡)과 주서(周書) 등 중국 기록이다. 여기에는 부여 시조 동명의 후손인 구태(仇台)가 백제를 건국했는데, 백제 사람들은 시조 구태(仇台)의 사당을 도성 안에 세워 놓고, 해마다 네 번씩 제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넷째는 속일본기 및 신찬성씨록 등 일본의 기록이다. 여기에는 백제 시조를 도모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위 4가지 기록 중 어느 것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할까? 쉽게 대답하기 어렵다. 이에 관한 학계와 연구자들의 견해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삼국사기 온조왕 본기의 신뢰성을 가장 낮게 보는 것 같다. 


   중국 기록은 백제가 존재할 때 중국 사신이 백제 도읍을 직접 방문하여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그 신빙성을 쉽게 부정하기 어렵다. 일본 기록 또한 백제가 멸망한 지 약 150년 후 편찬된 것으로, 백제 왕족의 여러 갈래 후손들이 각각 기록한 가계도에 근거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신빙성을 쉽게 부정하기 어렵다.


   반면, 삼국사기는, 내용은 가장 풍부하지만, 일견 보기에 신빙성은 가장 약하다. 왜냐하면 삼국사기는 백제가 멸망한 지 약 500년 후에 편찬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어떤 소스(source)에 근거한 것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 동명성왕 본기와 백제 온조왕 본기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고, 백제 왕들의 재위 기간이 비현실적으로 길며, 일견 당대(當代) 사료인 삼국지 동이전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 학계가 위 기록들 중 삼국사기 온조왕 본기를 신빙성이 가장 낮은 기록으로 보고 있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삼국사기 기록이 일부 편년(編年)에 문제가 있을 뿐, 그 내용까지 신빙성이 없다고 속단하지 않는다.


   삼국사기를 직접 읽어보면, 편찬자들이 국내에 전승되어 오던 기록을 얼마나 정성스럽고 조심스럽게 다루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들은 중국 사서의 기록과 다르다거나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국내 전승 기록을 배척하거나 자기들 마음대로 고치지 않았다. 오히려 국내 전승을 본문에 그대로 기록하고, 이와 다른 중국 사서의 내용이 있으면 이를 분주로 기록한 다음, 그 기사들과는 별도로 자신들의 견해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기록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는 고려 조정이 공식적으로 편찬한 역사서인데, 고려는 국초에 사관을 설치하여 사서 편찬의 실무를 관장하게 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 현종대에는 이전 왕들에 대한 실록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이런 경험들을 토대로 편찬한 사서가 삼국사기다.




   그러면 위 4가지 기록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신빙성을 판단할 수 있을까? 혹시 위 기록들은 같은 사실을 기록한 것인데, 기록한 사람, 나라, 시기가 달라서 다르게 표현된 것일 수도 있지 않을까? 이 경우에는 위 각 기록들이 서로의 신빙성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런 것을 염두에 두고, 위 일본 기록과 중국 기록을 삼국사기 기록과 차례차례 비교 분석해 보자.

이전 05화 단군신화가 말하는 역사적 사실은 무엇인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