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런치 스토리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글 키워드
백제
여행
소설
역사
일본
사진
문화
미술
단편소설
나라
박물관
미소
여행기
불교
교토
공주
역사이야기
사찰
연재소설
국내여행
부여
신라
문화재
문화유산
집순이
고구려
한국사
유네스코
사극
무덤
가야
더보기
글 목록
2025.3.23.일요일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야
백제 여행의 마지막 날이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가서 스탬프를 찍기 전 국립익산박물관을 먼저 구경했다. 이곳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이 굉장히 많다. 조금 더 천천히 보고 싶었는데 아쉽게 오늘도 서둘러야 한다. 미륵사지 석탑 주변은 여전히 발굴 중이다. 스탬프를 찍고 다음 장소로 간다. 이번엔 왕궁리 유적이다. 왕궁터였던 그곳에서는 역시 많은 유물들이 발
댓글
0
Mar 23. 2025
by
덩이
2025.3.22.토요일
백제 옛 도읍의 길을 빠르게 걷다 (feat. 국가유산방문자 여권)
오늘 공주에서 첫 목적지는 마곡사이다. 마곡사는 느낌이 아주 좋았다. 스탬프 찍는 곳에서 처음으로 여권을 들고 온 다른 가족을 보았다. 반가웠다. 마곡사 경내를 걷는 내내 염불소리와 목탁소리가 들린다. 마음을 참 편안하게 한다. 그 소리는 마곡사의 첫인상이다. 김구선생님도 젊은 시절 머무르셨던 곳이다. 다음 일정이 없다면 종일 마곡사에 앉아 있어도 좋
댓글
0
Mar 22. 2025
by
덩이
2부 목차
간략한 소개
2부 목차 4권: 13장 신라新羅 (1) MC-56/04 14장 왜 (0-2) MC-49 15장 한 (3) (MC-40) 16장 고구려高勾麗 (1) MC-36/02 5권: 17장 고구려 (2) MC-18/09 18장 백제百濟 (1) MC-17/10 19장 왜 (0-3) (MC-10) 20장 신라 (2) MC+4/03 6권: 21장 왜 (0-4) M
댓글
0
Mar 17. 2025
by
잡동산이
[방랑] 익산, 백제 최후의 전성기
익산 미륵사지-제석사지-왕궁리사지
2016년 2월 모일의, 무척 오래된 답사기. 당시 누군가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썼던 글입니다. 지금 보니 오래전이라 나름의 시의성이 있어 기록차원에서 올려둡니다. ------- 얼마전에 익산에 잠깐 다녀왔습니다. 먼저 미륵사지에 방문하였습니다. 미륵사지 서탑을 해체복원하는 것은 아시고 계시겠지만, 지난 연말 사리를 재안치하고 심초석이 닫혔습니다. 봉안식
댓글
0
Mar 13. 2025
by
파벽
한강汉江은 어디서 왔을까?
(한중 동일지명 현상 설명서 3-10)
한강은 한반도에 있는 지명 중 가장 광범위한 지역을 담고 있다. 이 지명에 내포된 역사문화는 한겨레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언제부터 이 이름을 사용하였을까? 그런데 중국에도 한강이 있다. 우리의 한강은 중국에 있는 한강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한강 지명의 등장 우리의 경우 백제인이 제일 먼저 한강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사람들은 어떤 일을
댓글
0
Mar 11. 2025
by
오해영
가야 (伽耶) 탐방
국립중앙박물관(5)
가야를 더한 4국 시대의 생활이 궁금하였다. 신라(국립 경주박물관), 백제(한성 백제박물관, 국립 공주박물관, 국립 부여박물관), 가야(고령 대가야박물관, 창녕 박물관-비화가야)를 탐방했었다. 고구려 유적이 있는 아차산 등산 후, 고구려를 좀 더 알기 위하여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2024.11.16와 2025.02.22)하였다. 가야 유물들은 고령 대가야박
댓글
0
Mar 11. 2025
by
애바다
백제(百濟) 탐방
국립 중앙박물관 탐방(4), 위례성 웅진성 사비성의 백제
정약용 선생은 삼한 가운데 백제가 가장 강하고 문화가 발달하였다고 했다.(三韓之中 百濟最强最文, 강역고 疆域考) 단 하나의 예를 들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백제금동대향로를 말하겠다. 백제의 모든 것이 백제금동대향로에 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백제라는 단어에는 뭔가 잃어버린 유물 같이 쓸쓸함과 비애와 고독이 묻어 있다. 그래서 더욱 애착이 간다. 가야를
댓글
2
Mar 10. 2025
by
애바다
일본 최초의 술 역사, 그것의 주인공 응신천황의 정체는
일본에 술빚기를 알려준 백제인과 일본의 왕
한국 술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있다. 바로 일본의 15대 왕, 응신일왕(오진텐노, 応神天皇)이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고사기(古事記)』에 따르면, 백제인 수수코리(須須許理)가 술을 빚어 응신일왕에게 바쳤고, 왕은 이를 마시고 크게 기뻐했다고 한다. 중국의 『위지왜인전(魏志倭人伝)』에도 일본인이 술을 마셨다는 기록이
댓글
0
Mar 10. 2025
by
명욱
백강 전투
제1차 동아시아 세계대전
오사카에는 왜 ‘백제’라는 이름이 많을까? 오사카를 여행하다 보면 ‘백제’라는 명칭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백제역, 백제거리, 백제신사, 백제군 등 다양한 장소에 ‘백제’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왜 일본 제2의 도시인 오사카에 이렇게 많은 ‘백제’ 관련 명칭이 존재할까? 이를 이해하려면 지금으로부터 약 1,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660년
댓글
0
Mar 10. 2025
by
예주JUNG
[삼국전쟁연의] 9. 나제동맹, 고구려를 막아라(2)
백제 치양성 방어전
8화 연재에서 고구려 문자명왕대에 처음으로 삼국이 격돌한 것을 보았습니다. 장수왕대 신라를 공격하던 주요 루트는 강원도였지만 문자명왕대에는 바뀌었다는 걸 알 수 있었죠. 삼국은 이제 충주, 괴산, 보은, 상주 일대에서 전쟁을 이어가게 됩니다! 고구려의 백제 치양성 공격과 신라의 구원 견아성 전투 이후에 고구려는 바로 백제를 공격합니다. 기존 5세기의 전
댓글
0
Mar 10. 2025
by
cm
“유네스코도 인정” 봄의 정취 가득한 나들이 명소
공주의 숨겨진 봄 명소
봄이 오면 어디로 떠나야 할지 고민된다면, 역사와 자연이 공존하는 공주는 어떨까요? 백제의 숨결이 살아 있는 유적과 푸른 산, 고즈넉한 사찰까지 공주는 다채로운 매력을 가진 여행지입니다. 특히 봄이 되면 더욱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공주의 대표적인 나들이 명소 3곳을 소개합니다. 공산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은 백제 시대의 성곽으로,
댓글
0
Mar 07. 2025
by
여행을말하다
정읍의 봄 여행
정읍의 봄향기를 맡으며 떠나기에 좋은 정읍시립박물관
제왕의 딸이라는 수백향이라는 드라마에서 노래가 하나 나온다. 그 노래는 OST로 사용되었는데 백제가요인 정읍사라는 노래다. 백제 멸망 이후에 전북 일대를 중심으로 약 천 년 동안 계속 불려져 조선 성종 대에 이르러서 악학궤범(1493년)에 기록되었으며, 따라서 한글로 표기된 노래 중 가장 오래된 노래다. 노래에서 정감 있는 누군가를 그리는 그런 마음이 담겨
댓글
0
Mar 07. 2025
by
나는 누군가
[삼국전쟁연의] 8. 나제동맹, 고구려를 막아라(1)
견아성 전투와 신라, 백제의 협력
지난 연재에서 고구려의 장수왕이 생전 마지막으로 신라를 공격합니다. 이 전쟁으로 신라의 과현, 호산성이 점령당했고 신라는 하슬라 서쪽으로의 진출이 일단은 가로막혔습니다. 이후 고구려 장수왕이 사망하고 손자인 문자명왕이 즉위합니다. 문자명왕대부터 고구려의 남하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신라, 고구려의 살수, 견아성 전투와 백제의 구원 문자명왕 3년, 신라와
댓글
0
Mar 06. 2025
by
cm
[삼국전쟁연의] 6. 신라, 백제의 내실다지기
백제 동성왕의 내정과 신라의 축성
481년, 고구려는 신라의 경주로 진공 하지만 미질부에 신라, 가야, 백제 연합에게 막히고 말았습니다. 이 싸움으로 고구려는 1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내고 말았죠. 이후에 고구려는 대군을 움직이기보다는 신라와 백제를 꾸준히 공격하는 방식으로 전환합니다. 고구려의 공격을 맞으면서 신라와 백제는 내실 다지기에 들어가게 됩니다. 동성왕의 외교 정책과 성곽 점
댓글
0
Feb 27. 2025
by
cm
[삼국전쟁연의] 4. 백제를 멸망시켜라
고구려의 백제 한성 침공과 신라의 구원시도
지난 연재에서 고구려가 드디어 신라의 실직성을 공격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후 15년 만에 대외활동을 시작한 백제와 성을 축성하면서 야금야금 영역을 넓혀가는 신라의 모습도 보았지요. 그리고 고구려 장수왕이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사건을 백제가 터뜨렸다고 했었죠? 무슨 사건인지 지금 확인하러 가겠습니다! 백제의 북위 사신 파견과 고구려 정복 사주
댓글
0
Feb 20. 2025
by
cm
나주의 음식문화 속 마한의 흔적(1)
역사적 연결고리 (1)
남도의 음식문화 중 한 번쯤 다뤄보고 싶었던 주제가 ‘마한(馬韓) 문화’이다. 특히 나주는 한반도 남서부에서 번성했던 마한(馬韓) 문화 중심지 중 하나로, 마한의 생활 방식과 농업, 제천 의식 등이 현대의 음식문화에도 깊이 반영되었을 거라 추측하는데, 이에 대한 기록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한은 기원전 2세기경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 존재했던 여러 소국들
댓글
2
Feb 16. 2025
by
길가영
백제 개로왕의 죽음과 개로왕 국서
개로왕은 멍청한 바둑 바보는 아니었다
이 글은 https://www.fmkorea.com/best/7121182203 아래의 인터넷 화제글을 보고 작성한 글이다. 고구려와 백제 사이의 기나긴 마찰 이야기는 다음에 하도록 하고, 일단은 개로왕 이야기만 해보겠다. 개로왕은 455년에 즉위했고, 이 때는 고구려 장수왕(421-491)의 치세가 절정이던 시기다. 장수왕은 국왕이 바뀌어 혼란스러웠
댓글
0
Feb 16. 2025
by
이메다
[삼국전쟁연의] 2. 고구려에게서 벗어나기
삼국전쟁의 시작과 신라의 고구려세력 축출
고구려의 신라 공격 시작과 백제, 신라의 연합 지난 화에서 신라 눌지 마립간대에 있었던 하슬라성주 삼직의 고구려 장수 살해사건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사건에 크게 분노한 장수왕은 군을 이끌고 신라의 서쪽 변경을 침입합니다. 이 사건은 눌지 마립간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면서 우선 일단락 났습니다. 하지만,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가 다시 예전처럼 우호적으로 회복된
댓글
0
Feb 13. 2025
by
cm
고대 영산강 유역의 '옹관왕국'은 찬란했다
1. 개요 한반도 영산강 유역에 백제와는 다른 정치체제와 문화를 가진 고대왕국이 6세기 초반까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관, 금동신, 은팔찌, 옥장신구로 치장해서 영산강 유역을 강력하게 다스리던 지배자는 '옹관왕국'의 왕이었다. 영산강 유역의 옹관시대는 한국사 시대 구분으로는 삼국(고구려·백제·신라)과 가야시대에 속한다. 지금껏 고고학적 발굴의 성과
댓글
0
Feb 13. 2025
by
박사력
"선함이 있어 멈춘 것이로구나"
(5)소서노의 아들 비류
내가 대답한다. "그것은 선함(善)입니다. 우리들 모두의 마음속에 있는 착함!" 그 순간, 사람들의 표정이 일시 '멈춤' 한 것처럼 느껴졌다. 내가 낸 문제이니 답도 내 답이 정답이다. "하하하. 착함이라?!" 일시 멈춤을 풀고 먼저 말한 사람은 고주몽이었다. 나는 그의 표정이 어이없는지, 대견하다 여기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강대국은 안다. 비류가 말한
댓글
0
Feb 06. 2025
by
이기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
브런치스토리 작가로 데뷔하세요.
진솔한 에세이부터 업계 전문 지식까지,
당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선보이세요.
브런치스토리로 제안받는 새로운 기회
다양한 프로젝트와 파트너를 통해
작가님의 작품이 책·강연 등으로 확장됩니다.
글로 만나는 작가의 경험
작가를 구독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
당신에게 영감을 주는 작품을 추천합니다.
이전
1
2
3
다음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내 브런치스토리 찾기
내 브런치스토리의 카카오계정을 모르겠어요
페이스북·트위터로만 로그인 했었나요?
로그인 관련 상세 도움말
창 닫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