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삼국전쟁연의] 8. 나제동맹, 고구려를 막아라(1)

견아성 전투와 신라, 백제의 협력

by cm Mar 06. 2025

 지난 연재에서 고구려의 장수왕이 생전 마지막으로 신라를 공격합니다. 이 전쟁으로 신라의 과현, 호산성이 점령당했고 신라는 하슬라 서쪽으로의 진출이 일단은 가로막혔습니다. 이후 고구려 장수왕이 사망하고 손자인 문자명왕이 즉위합니다. 문자명왕대부터 고구려의 남하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신라, 고구려의 살수, 견아성 전투와 백제의 구원


 문자명왕 3년, 신라와의 첫 전쟁이 시작됩니다. 흥미로운 점은 기사 내용을 봤을 때에 신라의 선공으로 보인다는 점이죠.


 秋七月, 將軍實竹等, 與髙句麗戰薩水之原, 不克, 退保犬牙城, 髙句麗兵圍之. 百濟王牟大遣兵三千, 救解圍.

 16년(494) 가을 7월에 장군 실죽 등이 고구려와 살수의 들판에서 싸우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나 견아성을 지켰는데, 고구려 군사가 그곳을 포위하였다. 백제왕 모대가 군사 3,000명을 보내 구원하여 포위를 풀어주었다.


 위의 글을 살펴보면, 신라의 장군 실죽이 이끄는 군대가 살수의 들판에서 싸웠고, 후퇴해서 견아성으로 도망가자 고구려가 여기를 포위했다고 합니다. 이걸 백제군이 지원을 와서 구원해 준 것이 살수, 견아성 전투입니다. 여기서 적힌 백제왕 모대는 제가 6편에 적었던 동성왕을 얘기합니다.


 살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습니다. 현재 유력한 설은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보은군 청천현이 원래 살매(薩買)현이었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살수와 연결하는 학설입니다. 보은군 청천현은 현재 충북 괴산군 청천면으로 비정하고 있습니다.


 견아성도 여러 견해가 있는데 현재는 상주의 견훤산성이라고 많이들 얘기합니다. 괴산 청천에서 동쪽으로 도망가면 나오는 산성이 상주 견훤산성이라는 점을 주로 들었습니다. 위치가 여러 군데라서 헷갈리시죠? 그래서 이 지역을 정리해 둔 지도를 가져왔습니다.

 이 시대를 전공하신 윤성호 선생님의 박사논문에서 가져온 지도입니다. 제가 적었던 지역들이 전부 정리가 되어있죠. 살수를 기준으로 서쪽으로 이동하면 보은이 나오고, 더 서쪽이 백제의 영역인 청주시 부근입니다. 살수와 견아성 부근을 고구려에게 뺏기면 신라와 백제의 연결이 끊기게 되는 거죠.


 이러한 상황과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야 한다는 공통의 목표 때문에 백제는 신라를 구원해 줍니다. 고구려 입장에서도 자기들의 영역인 국원에서 거리가 있는 견훤산성에서 굳이 신라, 백제군을 모두 상대할 필요가 없기에 후퇴한 것입니다.


 고구려를 방어해 냈지만 고구려의 공격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다음 장에서도 고구려의 공격을 막는 신라, 백제를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표지 사진 견훤산성:https://sangju.grandculture.net/sangju/toc/GC0910056

그림 1 서지사항: 윤성호, 「新羅의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4쪽.

이전 06화 [삼국전쟁연의] 6. 신라, 백제의 내실다지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