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he Soul Searcher Apr 22. 2024

나는 언제 행복한가?

소울서칭:나를 찾아서

자기연민(self-compassion)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연민이란 주변의 고통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생스러운 마음을 함께 나누는 것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 멈추지 않고 타인의 고통을 줄이려 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연민의 감정이 스스로를 향할 때, 우리는 이를 ‘자기연민’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자기 자신을 연민의 태도로 대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런 태도를 수립할 경우, 자신의 실수에 가혹한 잣대를 들이미는 대신 보다 관대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명백한 잘못을 저질렀을 때도 나만큼은 자신에게 충직하고 든든한 친구가 되어주는 것이다.
-The Psychology Time


흔히들 성공의 잣대는 ‘자존감(Self-Esteem)’에서 출발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난 조금 다르다. 우리가 진정한 행복을 느끼고 오래 성공하기 위해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자존감이 아닌 ‘자기연민(Self-Compassion)’이다.

자존감은 자신감과 연관되어 있다. 반면, 자기연민은 내가 나를 어떻게 대하는가에 대한 행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자기연민은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신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연민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실수나 부족함을 비판적으로 대하지 않고, 실수를 하는 내 자신도 나의 일부로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그래서 자기연민이 강한 사람은 자존감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것이다.


나는 내 스스로를 엄격하게 대하는 경향이 짙다. 항상 내가 가진 강점이 보다, 타인의 그것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언제나 내가 부족하게만 느껴졌다. 그래서 쉬면서 아무것도 안 할 때면 불안했다. 내가 잠시 쉬는 동안 다른 사람들은 나를 제치고 앞으로 나아갈 것 같았다. 내 자신을 낮춰서 바라보니 남들보다 뛰어나야 한다는 것에 메이고, 쉬고 싶은 나를 채찍질하며 더 몰아세웠을 때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으면 내 자신을 비난하는 굴레에 빠져버린 것이다.


하지만 이런 태도는 나를 불행하게 만들었다. 행복의 역치가 너무 높아져서 어떤 행동도 나의 만족을 가져다주지 못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결과로 ‘번아웃’이 찾아왔다. 이제는 자기연민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더 나은 행복과 성공을 찾아가야 할 때임을 직감했다.


나는 언제 행복한가?

30년의 세월을 돌아볼 때,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바로 수능이 끝난 다음 날 아침이었다. 그 순간, 나를 구속하던 모든 것이 사라진 듯한 해방감과, 늦잠을 자고 일어난 늦은 오전의 상쾌함이 내 마음을 가득 채웠다. 방안을 비추는 따뜻한 햇살은 아직도 내 감각에 각인되어 있다.


또 다른 순간은 2017년 한 겨울 저녁, 상해의 와이탄에서 퍼지는 종소리를 들으며 야경을 감상했던 때이다. 그 순간, 내 속에 담아두었던 꿈들이 현실로 이루어진 느낌이었다.


이 두 순간을 되돌아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꿈'이라는 것이다. 첫 번째 순간은 내가 꿈을 이룰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된 순간이었고, 두 번째 순간은 그 꿈을 실현한 순간이었다.

나는 고등학교 1학년 때 처음으로 상해를 방문했을 때 목표를 세웠다. 하늘 높은 빌딩과 빛나는 야경을 보며, 나는 언젠가는 그곳에서 일할 것이라는 꿈을 품었다. 그리고 금수강산이 한 번 바뀌는 긴 시간 동안, 나는 단 하루도 내 삶을 다른 사람과 비교한 적이 없었다. 목표가 뚜렷하니 모든 순간이 도전과 성취로 가득 찼다. 내 꿈을 이루기 위한 기회라면 언제라도 무조건 도전했다. 수많은 면접과 레쥬메 속 노력들이 떨어질 때마다 나는 흔들리지 않고 꿈을 향해 달렸다.


저 멀리 서해안을 넘어 들려오는 친구들의 대기업 취업 소식에도 난 굴하지 않았다. 내 생활은 이미 출발선이 달랐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조금 늦더라도 난 이미 해외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숱한 실패를 경험하며 남들보다 앞서가고 있다 믿었다. 그리고 정확히 10년 뒤, 난 상해 황포강이 보이는 루자주이의 한 빌딩에서 외국인 동료들과 근무하고 있었다.


30대가 되어서 행복한 순간들을 돌아보면서 느낀 것이 있다. 20대의 나는 자기연민을 가지고 행동했던 것 같다. 실패할 때마다 '뭐 어때. 나는 젊고 시간은 많으니 다시 도전해 보면 되지. 안되면 말고, 되면 되는것이고.'

한 번 마음먹은 일이 있으면 안 될 가능성보다는 마음먹은 것을 어떻게 성취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고 그런 태도가 꿈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했던 것이다.


퇴사 후, 직업도, 돈도 잃을 것 없는 난 이제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할 때가 되었다.


이전 06화 진정한 자유를 찾아서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