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리 Jul 08. 2023

요가를 잘하는 몸

삿구루 하타요가 7일 차

이제 딱 일주일이 지났다. 이제 찬물 샤워도 익숙해졌다. 하루에 2-3번씩도 한다. 공복으로 요가를 해도 배가 고프지 않았던 적은 오늘이 처음이었다. 점점 가벼운 음식을 찾는다. 밀가루와 고기가 맛있긴 한데, 방귀쟁이가 된다. 저녁을 무겁게 먹으면 다음 날 아침 요가가 끝날 때까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게 느껴져서 불편하다. 더부룩함이 계속 남아 있다고 해야 할까?


마음은 여전히 많은 것들이 오고 간다. 감정적으로 더 열리게 된 것 같기도 하다. 가끔은 그게 너무 무방비로 노출되어 버리는 것 같아 힘들기도 하다. 기복이 있는 건 아닌데, 뭐랄까, 내 감정을 다루기가 더 어려워진 느낌이다. 애초에 '다루겠다'는 생각이 잘못되었을 수도 있겠다. 그냥 느껴주고 흘려보내면 되는 건데.  


수업적으론 어제부터 요가아사나를 시작했다. 자비가 없다. 앞으로 몸을 숙이는 다양한 전굴 자세를 하는데, 팔을 등 뒤로 깍지를 낀다. 등허리도 무조건 곧게 펴고 올라와야 한다. 물론 선생님께선 할 수 있는 만큼, 무리하지 않고, 숨을 쉴 수 있는 만큼만 하신다.


눈을 감고 하기에 다른 사람들이 얼마만큼 따라오는지는 잘 모르지만, 햄스트링을 강하게 자극하는 자세에선 다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조금 더 쉬운 변형 동작을 알려주지만 그것도 사실 어렵다.


이게 바로 아시아와 서양의 차이일까? 한국도, 이샤 하타(인도)도 '이상적인 자세'가 정해져 있다. 이 자세를 제대로 만들기 위한 정교한 방법이 정해져 있다. 해야 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분명하다. 덕분에 아주 자세히 동작을 배울 수 있다. 작은 근육의 움직임까지 챙길 수 있기에 빠르게 좋은 동작을 만들 수 있다.


반면 발리에서 만난 서양권의 선생님들의 수업엔 '무조건'이 없었다. 내가 졸업한 로카 요가스쿨에서도 가장 강조하면서 배웠던 부분이 '다양한 몸'에 대한 이해였다. 추구해야 하는 바른 자세라는 건 분명 존재하지만, 거기에 다다르기 위해 최소 2가지 이상의 선택지를 준다. 동작의 완성도가 떨어지더라도 다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어떤 방법이 더 좋고, 나쁘고는 없을 것이다. 분명 자세히 배우는 것도 중요하고, 다치지 않는 것도 중요하고, 동작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바른 자세를 배우겠도 중요하다. 지금 나에게 필요한 방법이 다를 뿐.


결국은 둘 다 해봐야 한다. 무리를 해서 아파보기도 하고, 너무 가볍게만 해서 효과가 있는 건가 의심해 보는 경험도 필요하다. 내 몸이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계속 부딪히다 보면 자연스레 몸에 대한 이해(body awareness)가 높아지게 될 것이다. 요가는 결국 스스로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확대하는 과정이니까.


지난 일주일 동안 나는 다른 의미로 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 같다. 예전에는 동작(아사나)을 더 잘하게 되었다면, 지금은 신체기관으로서 동시에 에너지로서 더 잘 알아가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앞으로 남은 2주의 시간은 어떻게 흘러갈까? 나는 어떤 가능성을 발견하게 될까? 진짜 요가를 잘하는 몸이 되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보름달이 떠오르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