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잡러강사 Oct 30. 2022

판단하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

이런저런 인연도 나의 몫

첫째,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는다. 

세상엔 세 분류의 사람들이 있다. 먼저, 불의를 보고 못 참는 사람들이 있다. 한편으론, 불의를 그저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어딜 가나 있는 1%의 빌런들이 있다. 소싯적 나는 불의를 보고 못 참는 성격이었다면 이제는 그 불의를 보고 못 참아서 힘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불의를 보고 못 참으면 일단 많은 사람들 중 튀게 마련이다. 말하지 않아도 내 표정이나 행동에서 감정이 드러날 수 있다. 충분히 빌런에게 감지될 수 있고, 표적이 될 수 있다. 그렇게 당한 나는 처음엔 불의를 그저 지켜만 보고 있는 사람들이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다. 어느 날, 그들 중 한 명에게 물어보았다. 

그는 이렇게 답했다. 

말해 뭐해~

나는 들은 이후로 이 말이 현답이란 생각이 들어 요즘 좀 써먹는다. 그는 말해서 상황이 바뀔 거였음 벌써 불의를 보고 참지 않았을 거란다. 그런데 그런 사람을 두고 비판하는 것도 내 에너지와 감정을 소비하는 것이니, 말해도 바뀌지 않을 사람한테 괜한 에너지를 뺏길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비판적인 시각은 누구에게나 필요하지만, 비판도 잘못하면 비난이 될 수 있다. 비난의 말은 돌고 돌아 나에게 비난의 주파수가 맞춰진다. 소중한 내 감정과 시간을 그깟 빌런 하나 때문에 허비할 필요가 없다. 어차피 가만히 있어도 진실은 곧 밝혀진다. 진짜 빌런이 누구인지 사람은 겪어보면 다 알게 되어있다. 옳고 그름보다는 세상을 넓은 시야로 보고 어차피 내 손바닥 안에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 낫다.  


둘째,  공존의 현실을 이해한다. 

어차피 우리는 세상을 혼자 살아갈 수는 없다. 세상은 넓고 사람은 많고 내가 할 일도 많다. 어딜 가나 이런 사람 저런 사람이 있다. 나를 중요시하고 내 일에 집중하는 사람은 절대 다른 사람에 집중할 수 없다. 정확히 말하면 집중하지 않는다.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은 열심히 사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바쁘기 때문이다. 사람 일은 아무도 모른다고, 내가 싫어하는 사람과도 나중에 어떻게 이어질지 장담 못한다며 얄팍하게나마 자리를 깔아 두라고 한다. 그럴 때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주문을 외워본다.  
이전 07화 서촌 피발 바닥 이야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