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햇살나무 Apr 01. 2023

나는 나를 어떻게 대하고 있을까?

이제는 나로 살아갑니다.

그동안 나는 나를 어떻게 대하며 살아왔을까?

 내 마음의 눈은 타인을 향해 있었다. 타인에게 좋은 사람이란 소리를 듣고 싶어 했고 타인이 놀자고 하기를 기다렸었고 타인이 나를 빼고 놀면 속상하면서도 괜찮은 척했다. 그렇게 해야 나를 보호하는 거라고 생각했었다. 타인에게 내 삶의 주도권을 주고 있었다. 그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을 뿐.


그러느라 나에게는 무관심했다. 진짜 내 마음은 긴장하고 불안하고 속상하면서도 겉으로 보이는 나는 상처받지 않은 척 웃고 있었다. 그들에게 너희들 없어도 나 잘 살고 있어라고 말하는데 집중하느라 진짜 내 마음은 내가 무시한 것이다. 엄마가 나에게 무관심해도 괜찮은 척했던 것처럼. 어쩌면 나는 내가 무관심해도 되는 사람으로 대하고 있었는 지도 모른다.


는  나를 어떻게 대하고 있었을까?

 외면하고 무시하고 참으라고 감정을 억압하고 욕구를 포기해야 좋은 사람이라는 신념하에 강제로 착한 사람을 만드는 폭력을 썼다. 나 자신에게는 가해자이고 방임자였던 것이다.


물론 평정심을 유지하는 순간에는 누구보다도  자신의 마음을 돌보고 위로하고 응원하며 지냈지만 스트레스 상황과 내 핵심감정을 건드리는 불안한 상황이 되면 내 마음을 외면하고 싸워보기도 전에 감각으로 공포를 느껴 온몸이 아프다는 핑계로 이불킥을 하며 좌절하고 포기했었다. 그랬더니 깊은 슬픔이 마음에 뿌리를 내린 것이다.


앞으로 나를 어떻게 대하며 살면 좋을까?

정답은 없다. 그러나 내 인생이기에 나만의 정답은 내가 쓸 수 있다. 내가 쓰고 내가 수정하고 내가 책임지며 살면 되는 것이다.


내가 쓰는 나만의 정답 하나

순간순간 마음의 근육을 키워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나를 지켜낼 것이다. '별거 아니라고 너는 너를 지켜낼 힘이 있다고, 이 문제를 해결할 힘이 있다고 '말해주며 지켜 낼 것이다.  불편한 감정이 올라오면 회피하거나 무시하지 그 감정에 직면할 것이다.

내가 쓰는 나만의 정답 둘

 내 마음의 관점은 나를 향해 있고 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신뢰한다. 괜찮은 척하는 보여주기 위한 에너지를 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나를 대할 것이다.

내가 쓰는 나만의 정답 셋

지나치게 도덕적인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지 않을 것이고 지나친 친절함도 포기할 것이다. 순간순간 내 감정과 욕구에 집중하고 타인의 욕구와 감정도 소홀히 하지 않으며 균형 잡고 살아갈 것이다. 상대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 선에서 나의 자유를 누리면 살 것이다.

내가 쓰는 나만의 정답 넷

누군가에게 잘 보이려 했던 했던 그 노력을 나에게 먼저  잘 보이려 할 것이며 타인을 존중하지만 나에 대한 존중도 놓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쓰는 나만의 정답 다섯

일 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하듯 하루에 5분 내 마음을 검진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슬퍼하면 위로해 주고 지쳤으면 충분히 수고했다고 말해 주는 시간을 통해 상처를 그때그때 치료해 줄 것이다. 


이제는 오롯이 나로서 살아갈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 눈을 감고 운전을 하면 사고가 난다. 아니 운전할 수가 없다. 눈을 감고도 내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법은 딱 하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그 사람이 운전하는 차에 타고 내가 원하는 목적지를 알려주며 협업하며 가는 것이다.


그런데 부작용이 생긴다. 그 운전자가 내가 원하는 대로 가도록 하기 위해 운전자의 컨디션을 살펴야 하고 기분을  춰야 하며 잘 가는지 긴장해야 한다. 내가 길을 수정해서 가고 싶어도 운전자가 아니라고 하면 갈 수도 없고 쉴 수도 없다.  또한 목적지에 도착해도 만족스럽지 못할 수도 있다. 내가 운전해서 온 것이 아니기에.


내 인생이 저 자동차고 내가 저 자동차의 주인인데 나는 조수석에 타서 누군가가 운전하는 대로 간다면 그건 내 인생이 아니다.  운전자의 컨디션을 살피고 기분을 맞추는데 쓰는 에너지를 불안하지만 내가 직접 운전하는데 쓰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낫지 않을까? 내가 선택하고 내가 책임져야 내가 주인인 내 인생이 되는 것이다.


나무님들

나무님들은 누구의 인생을 살고 있나요?

나무님들은 나무님들을 어떻게 대하고 있으신가요?

우리 지금 가는 길을 잠시 멈추고 나에게 집중해 봐요.

조금은 힘들고 서툴고 두렵지만 우리 인생의 주인이 되어 살아요.

아~ 다들 그렇게 살고 계신다고요?

그럼 이젠 저도 그렇게 살게요.


나에게 무관심한 시간들이 많으면 내 인생이 타인에 의해 좌우되기에 불안이 높아져요. 그 불안은  시간이 흐를수록 습관으로 우리의 몸에 익숙해지고요. 그리고 익숙해진 그 불안은 우선 당장의 안전함만을 추구하며 살아가게 합니다. 이제는 그 안전함에서 벗어나 보려 합니다. 나답게 살아보려 합니다.


배는 항구에 정착해 있을 때 가장 안전하지만 그 배는 어쩌면 배의 기능을 포기한 것일 수도 있어요. 우리 인생도 그래요.. 누군가에게 했던 과한 의존 관계에서의  안전함을 포기하면 설렘이 찾아올 거예요. 그리고 그 뒤엔 자유로움과 뿌듯함이 선물로 올 거예요.  이제 그 선물을 향해 나만의 항해를 조심스럽게 시작해 보려 합니다. 이제는 나답게 살아보려 합니다.

이전 16화  '말하길 잘했어!'마주하니 치유가 시작됩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