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자끄 라깡 세미나 XX Encore : 10

정신분석적 담론의 존재에 의해서만 구조화된 이러한 범주를 적용하려면, 한 담화에서 다른 담화로 넘어갈 때마다 분석담화 출현한다는 이 진리를 시험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나는 사랑 외에 다른 것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사랑은 담화를 바꾸는 증상입니다.


지난번에 대타자의 주이상스는 사랑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여기서 나는 사랑이 하나의 증상(signe)라고 이야기합니다. 현상이 증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에 사랑이 있는 걸까요?



얼마 전 프랑수아 레카 나의 발표에서 언급되었던 포트 로열의 논리가 여기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녀가 이 논리를 제시하는 증상은 - 발표된 지 꽤 지나고 나서도 때때로 이 말들이 무게를 갖는 것을 보고 항상 놀랐습니다. - 공통부분이 없는 두 물질의 분리로 정의되는 것, 즉 오늘날 우리가 교차점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는 나중에 논의할 겁니다.


사랑의 증상이 아닌 것은 대타자의 주이상스, 대타자의 성적인 그것, 그리고 이를 상징화하는 신체의 주이상스입니다. 


담화의 변화, 이것은 움직이며, 당신에게, 우리에게, 그리고 스스로를 횡단하나 아무도 영향받지 않습니다. 이러한 담화의 개념은 언어에 기초한 사회적 유대로 간주되어야 하며, 따라서 언어학에서 문법으로 규정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한편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아마도 이는 아무도 제기하지 않은 질문을 던지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정보라는 개념이 지독하게 성공적이어서 과학 전체가 그 영향을 받는다고 말할 수 있는 그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는 질문을 제기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유전자의 분자 정보 수준과 DNA 막대 주위의 뉴클레오프로틴까지 도달했습니다. 이들은 서로 감아져 있으며, 그것들을 호르몬적인 링크가 연결합니다 - 메시지가 서로 보내지고 기록되는 등의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공식의 성공은 명백히 내재적이지만 잘 조직된 언어학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마침내, 이 행동은 과학적 사고의 근본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부정엔트로피처럼 조직화됩니다.


이것이 내가 기표의 기능을 사용할 때 다른 장소에서, 내 언어학으로부터 모은 것일까요?

이전 09화 자끄 라깡 세미나 XX Encore : 9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