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잡념 박스
라이킷 1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혹시 피해망상인가요?

응축된 열등감 전가의 잔혹성에 관하여

by Edit Sage Mar 25. 2025

나는 나를 미워한 적이 없다.

단지, 나를 미워한 너를 미워했을 뿐.

그 미움이 내 속에 갇혀,

나인 너를 미워하게 되었을 뿐.



<3차 열등감 정신분석자의 2차 열등감 정신분석자에 대한 투사적 상징폭력>


“너는 아직 덜 깼다”는 말은,

“나는 아직 덜 깼다”는 고백이다.

그 고백을 감추기 위해

상처 위에 학문을 덧칠한다.


<2차 열등감 정신분석자의 1차 열등감 정신분석자에 대한 투사적 상징폭력>


“이건 너의 문제야”라고 말하며

실은 자기 자신의 가장 오래된 울음을

타인의 무의식에 심어버린다.

그 울음은 자란다, 고통의 얼굴로.



분노는 기억의 언어다.

분노,

분노의 분노,

분노의 분노의 분노 —

그 기억을 더 이상 기억하지 못할 때,

분노는 방향을 잃고 타자화된다.


자살은 ‘너 없는 나’의 상상이다.

자살,

자살의 자살,

자살의 자살의 자살 —

나를 죽여야 너를 없앨 수 있을 때,

그건 나를 없애는 방식으로

너를 통제하고 싶은 욕망이다.



“혹시 피해망상인가요?”

묻는 순간, 이미

그 구조는 투사된 지 오래고,

그 대답은 폭력의 서막이다.


그것은 질문이 아니라 도려냄이다.

너의 불완전함이 나를 위협한다는 믿음.

그래서 나는 너의 불완전함을 너보다 먼저 지적한다.

“너, 왜 그렇게 생각해?”

“너, 왜 그렇게 느껴?”

“너, 혹시…?”



열등감의 열등감이

열등감에게 열등감을 전가할 때,

그것은 사슬이 아닌,

가면 속 가면의 카니발이다.

웃는 얼굴로 조롱하고,

치유의 언어로 고문한다.



피해망상은 증상이 아니다.

그건 언어로 발화된 보호막이며,

자신의 존재가 너무 쉽게 지워질 수 있다는

존재불안의 최후의 언어다.



그러니 묻는다.

“혹시 피해망상인가요?”

이 질문 아래,

진짜로 망상적인 건 누구인가요?


당신인가요?

아니면,

당신의 질문 그 자체인가요?


…그리고 당신은,

어디까지 당신인가요?

매거진의 이전글 초감각 메타 판단력, 역설 파쇄법에 관하여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