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사로운 인간 Apr 16. 2024

2020년, 11월. 수습기간을 끝내다

장거리 출퇴근 서사

3개월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다. 아니 정확히는 정신을 차려보니 시간이 많이 지나 있었다. 야근이 많은 탓에 어두울 때 일어나 어두울 때 퇴근하는 일상의 반복이었다. 출퇴근 거리 탓에 저녁술자리는 피했고 사람들과 친해질 접점을 만들어주기 위한 내 상사의 노력을 매번 거절로 돌려세웠다. 당시 나에겐 일과 출퇴근에 익숙해지는 게 무엇보다 우선이라고, 그 외는 사치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장거리 출퇴근은 어떻게 적응이 되고 있는데 정작 중요한 일이 잘 손에 안 잡히는 것이었다. 절대적인 일의 양의 문제인지 시간의 문제인지 사람의 문제인지 나의 문제인지 도통 원인을 알 수가 없었다. 힘이 들었다. 그런데도 쉽사리 놓을 수도 없다. 쉬운 결정이 아니었던 만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외통수에 봉착한 것이다. 다시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스스로를 매 순간 자책하며 5시간 남짓한 시간 눈을 감고 뜨는 4시간 출퇴근길에 올랐다.

그렇게 두 달이 지나갈 무렵, 근심은 한층 깊어졌다. 이렇게 계속할 수는 없을 것 같아, 출근하자마자 팀장님과의 담배타임에서 어렵사리 고민을 꺼냈다. 주어진 기획성 과제가 10개 내외인데,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잘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못 정하겠다는 고민을 처음으로 꺼내 들었다. 8년 차 직장인으로서는 부끄럽기도 했지만 진심이었다. 질문을 들은 상사는 조금 어이없다는 듯 연거푸 담배 두 대를 피우더니, 그런 건 없다고, 다 중요한 과제라고, 머리와 눈이 핑 도는 대답을, 무덤덤하게 내뱉었다. 진짜 눈물이 돌았지만, 이 악물고 꾹 참았다. 그래도 3개월은 버텨야지. 고민하지 말고 일단 하자, 그렇게 1달을 더 보냈다.


죽으라는 법은 없나 보다.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변수가 등장했다. 팀에 과장 한 명이 이직을 해 큰 프로젝트 하나가 나에게 툭 떨어져 나온 것이다. 떠올려보면 이것이 나의 숨 쉴 구멍이 될지는 몰랐다. 결과적으로는 그랬다. 비교적 익숙한 일이고 운영만 잘해도 결과가 어느 정도 답보되는, 무엇보다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상황으로의 전환이 버텨낼 자그마한 동력을 차츰 만들어냈다.

그렇게 3개월이 지났고, 수습기간은 마무리되었다.

쿠키 스토리.
담배를 피우지 않지만 담타(담배타임)는 늘 따라다닌다. 처음에는 배려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나를 흡연자로 알고 담배를 건네기도 한다. 이 시간에 생각보다 많은 정보가 오고 간다. 건강을 내주고 정보를 얻는 담타. 나는 물려주고 싶진 않다.


이전 06화 2020년 9월, 퇴근길은 더 지옥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