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NFJack Aug 15. 2023

교육의 핵심: 비판적 사고

변화하는 현실에 과감히 빠져들다

교육은 무엇일까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교육을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모든 행위를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며 수단'이라고 정의합니다. 교육에서의 가르침과 배움은 모든 사람의 안에 남아서 각 개인의 삶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교육을 통해 내가 무엇을 배웠는지 확실히 보이지 않더라도 말이죠. 그래서 교육은 우리 삶과 분리될 수 없으며 현실과 맞닿아 있어야 합니다.


최근 교육 환경에서 리터러시(literacy)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등으로요. 리터러시는 '읽고 쓸 수 있는 능력(the ability to read and write)'을 뜻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다양한 미디어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지면서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리터러시보다 더 중요한 것입니다.



비판적 사고


먼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비판의 정의를 알아볼까요?


1 현상이나 사물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밝히거나 잘못된 점을 지적함. 

2 [철학] 사물을 분석하여 각각의 의미와 가치를 인정하고, 전체 의미와의 관계를 분명히 하며, 그 존재의 논리적 기초를 밝히는 일.


비판은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며 개별 사물의 의미와 전체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입니다. 우리는 거짓 정보와 편향적인 주장들이 난무하는 사회를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교육은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비판적 사고는 무엇인가요?


지난 글 '2023 글로벌 기업 교육 트렌드'에서 2023년 근로자에게 필요한 핵심 기술(core skill)'이 기억나시나요? 그중 분석적 사고(analytical thinking)와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는 모두 비판적 사고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능력은 학교와 사회를 통틀어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분석력, 종합적 사고력 등을 요구하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에서는 개인과 조직의 역할과 기능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비판적 사고'라는 말은 그리 쉽게 와닿지 않습니다. 한동안 그 뜻을 이론적으로만 이해하던 저는 이 짧은 글에서 분명한 방향을 찾았습니다. 이 글을 천천히 읽어보시고 그 의미를 곱씹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비판적 사고란 세계와 인간의 보이지 않는 연대감을 분명히 인식하고 이분법을 버리는 사고이며, 현실을 정태적인 실체가 아니라 과정으로서, 변화로서 파악하는 사고, 행동과 분리되지 않고 두려움 없이 과감하게 현실 속에 빠져드는 사고를 가리킨다.

(출처: Freire, P. (2018). 페다고지 50주년 기념판 (p. 115). (남경태, 역). 그린비.)


Critical thinking—thinkig which discerns an indivisible solidarity between the world and the people and admits of no dichotomy between them—thinking which perceives reality as process, as transformation, rather than as a static entity—thinking which does not separate itself from action, but constantly immerses itself in temporality without fear of the risks involved.

(출처: Freire, P. (2000). PEDAGOGY of the OPPRESSED 30th Anniversary Edition (M. B. Ramos, Trans.). Continuum. (Origial work published in 1968)


우리는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세계와 우리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고, 매 순간 변하고 있는 현실에 과감하게 발을 디딜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판적 사고는 지금 여러분의 삶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 결코 자신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깨닫게 해주고, 각자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두려움 없이 해내는 동력을 줄 것입니다. 교사와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비판적 사고의 힘을 기른다면, 우리 교육은 앞으로 얼마나 더 나아질 수 있을까요?



나누고 싶은 질문


1. 기존에 '비판적 사고'를 어떻게 알고 있었나요? 이 글을 읽고 나서 여러분의 표현으로 다시 이 용어를 정리해 본다면?


2. 최근 어떠한 현상을 비판적 사고 없이 수용한 적이 있나요? 비판적 수용의 진정한 뜻을 이해하고 난 후 다시 그 현상을 바라본다면 무엇이 다르게 보이나요?



전 세계 45개국 803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근로자에게 필요한 핵심 기술(core skill)'의 순위가 궁금하다면?


작가의 이전글 눈의 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