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NFJack Aug 14. 2023

2023 글로벌 기업 교육 트렌드

트렌드를 알면 우선순위가 보인다

교육은 학교에서만?


대체로 교육은 학교와 연결 지어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 다룰 주제는 기업 교육의 트렌드이다.


학교에서 기업 교육을 아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학교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속 교육도 있지만,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혹은 조직] 차원의 교육도 필요하다. 따라서 기업의 효율적인 교육 전략이 있다면 학교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 기술이 사회 각 분야에 적용되면서 학교 교육과 기업 교육은 매우 유사한 환경을 공유하고 있다. 그래서 기업 교육의 트렌드를 알아보는 것은 학교 교육과 전혀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교육은 사람을 위한 것이므로 인적자원(HR)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기업의 인적자원관리(HRM: Human Resources Management)와 관련한 주요 용어를 먼저 살펴보자.


Onboarding


온보딩

신입 사원이 채용되어 새로운 직책을 시작하기 전 회사 서비스와 업무 설명, 사무실 투어, 동료 소개 등을 받아 역할 수행에 도움을 받는 과정. 직원의 업무 적응도와 직무 효율성은 곧 기업 전체의 수익성 및 기업 문화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온보딩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음.


DEI(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성별, 인종, 사회 계층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직원들이 존중받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직장 문화를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는 데 사용됨. DEI는 학교 교육에서도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어서 INFJack의 관심 키워드임.


Hybrid work


직원이 주당 근무 시간을 사무실 근무와 원격(재택) 근무로 나눌 수 있는 선택권

코로나19 풍토화(endemic)와 맞물려 대부분 글로벌 기업이 하이브리드 근무를 실시하면서 더욱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 중임.


Zoom fatigue


대표적인 화상 회의 소프트웨어인 줌(Zoom)의 이름을 딴 줌 피로

화상 소통 플랫폼의 지속적 사용과 관련된 피로감, 걱정 또는 번아웃을 설명하는 데 사용됨. 기업에서 뿐 아니라 학교 교육에 있어서도 화상 수업 및 소통 방식은 여러 한계와 약점을 보이고 있음.



참고자료

Human Resources Management Glossary: Key Terms HR Pros Should Know



기업 교육의 트렌드는?


스킬(업스킬링, 리스킬링, 소프트 스킬), 하이브리드 러닝, 마이크로 러닝, 워크플로우 러닝을 소개한다.


업스킬링, 리스킬링, 소프트 스킬


업스킬링(upskilling)

개인이 현재 가지고 있는 스킬을 확장하거나 개선함으로써 직종이나 역할에서의 성과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과정

기존의 업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최신 기술이나 도구를 익히거나 새로운 전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그 예임.

리스킬링(reskilling)

개인이 새로운 직종이나 역할에 적응하고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의 스킬을 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스킬을 배우는 과정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변화로 인해 일자리가 없어지거나 스킬의 수요가 줄어들 경우, 리스킬링은 필수적인 선택임.

소프트 스킬(soft skill)

개인의 성격, 태도, 의사소통 능력 등과 같은 비기술적 능력

협동, 문제 해결, 리더십, 시간 관리 등의 능력을 포함하며, 직무 수행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함.


Core skills in 2023


조사 대상 기업이 2023년 근로자에게 필요한 핵심 기술(core skill)로 보는 기술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분석적 사고(analytical thinking)

2.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3. 탄력성, 유연성, 민첩성(resilience, flexibility and agility)

4. 동기와 자기 인식(motivation and self-awareness)

5. 호기심과 평생 학습(curiosity and lifelong learning)

소프트 스킬에 해당하는 공감과 적극적 경청(empathy and active listening) 기술이 8위로 총 26개 기술 중 상위에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함.

2023년 근로자에게 필요한 핵심 기술(core skill) 순위

(출처: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3. 2023-2027년에 대한 45개국 803개 기업의 전망을 조사함.)


하이브리드 러닝(hybrid learning)


학습자가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환경

주요 이점으로는 학습자가 어디서든 참여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유연성을 제공하고, 대면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효율성을 제공하며, 학습자가 시간을 관리하고 앞서 나갈 수 있으므로 시간 관리가 용이하다는 점임.

(출처: 2023 L&D Trends: Hybrid Learning)


마이크로 러닝(microlearning)


짧은 길이의 한입 크기(bite-sized) 수업으로 최대한의 지식을 배우는 접근법

간결하고 쉽게 소화 가능한 분량의 학습 내용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집중력을 유지하며 습득한 정보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함. 연구에 따르면 마이크로 러닝이 전통적 학습법보다 5~10배 효과적일 수 있음. 그러나 수업 시간만 짧게 줄인다고 마이크로 러닝은 아니며 학습 내용의 핵심을 담은 재구성이 필수적임.

(출처: eLearning Industry)


워크플로우 러닝(workflow learning 또는 learning in the flow of work)


업무 현장 속에서 다양한 학습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학습 전략

업무 교육을 위해 따로 시간을 내어 다른 장소로 이동했던 것과는 달리 업무와 동시에 직무에 도움이 되는 학습이 가능함. 2022.10. 세계적 HR(Human Resources) 전문가이자 워크플로우 러닝 패러다임을 정립해 발표한 Josh Bersin의 한국 최초 강연이 있었음.

(참고: Harvard Business Review)



나누고 싶은 질문


1. 현재 속한 곳에서 하이브리드 러닝이 이뤄지고 있는가? 사무실 근무와 재택근무의 적정 비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가?


2. 현재 속한 곳에서 직원 교육(직무 역량 강화 교육)은 효율적으로 제공되고 있는가? 아쉬운 점은 무엇이며 어떤 것을 제안하고 싶은가?


3. 현재 속한 곳에서 어떤 핵심 기술(core skill)이 가장 필요한가? 그 기술을 향상할 수 있도록 조직에서는 어떠한 제도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가?



기업의 HRM 주요 용어와 교육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알 수 있는 것은 역시 학교 교육과 기업 교육의 주요 트렌드가 상당수 일치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인재 개발과 관리의 차원에서 교육 업무 담당자뿐 아니라 모든 조직 구성원이 알아둬야 할 내용이 많다고 생각한다.


트렌드를 알면 우선순위가 보이기 때문이다.



2023 핵심 기술(core skill)에서 5위를 차지한 평생 학습이 궁금하다면?


작가의 이전글 평생 성장을 돕는 교육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