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살, 퇴사하고 대만 한 바퀴
타이중의 첫인상은 잿빛이었다.
비구름 가득한 회색빛의 하늘이 단단히 한몫을 한 듯했다.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것 같아 일단은 숙소에 가서 짐을 놓기로 했다.
타이중 기차역에서 도보로 단 5분. 초역세권에 위치한 숙소는 화장실과 욕실이 공용인 6인실 도미토리였다. 싼 게 비지떡이라고, 1박에 단돈 3만 원도 안 하는 저렴한 가격 때문에 시설에 대해서는 그다지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예상과는 달리 깨끗하고 쾌적한 숙소가 매우 마음에 들었다. 비록 공사장 뷰지만 작은 창문이 있어서 방 안으로 햇빛이 들어온다는 것도 후한 점수를 받을 만했다. 공용 샤워실과 화장실 역시 나쁘지 않았다. 깨끗하게 관리되어 있었고, 무엇보다 따뜻한 물이 잘 나왔다. 스스로의 선택에 무척 뿌듯해하며, 나에게 배정된 침대에 잠시 몸을 뉘었다.
긴장이 풀리니까 조금씩 배가 고프기 시작했다. 일단 버스에서 먹지 못했던 도넛으로 배고픔을 달래 보았다. 가방 속에서 이리저리 눌려 납작해진 도넛으로는 배가 차지 않았다. 대만 여행의 첫끼는 무엇을 먹어야 할까?
아! 타이중에 왔으면 춘수당을 가줘야지.
그렇게 나의 대만에서의 첫 식사는 대만 밀크티의 원조인 춘수당으로 결정했다.
구글맵을 검색해 보니, 숙소에서 춘수당까지는 도보로 약 20분 정도 걸렸다. 천천히 걸어가 보기로 했다.
타이중에 도착하기 전에 한차례 비가 내렸던 것인지 골목이 촉촉하게 젖어있었다. 제법 바람이 불었다. 바람이 목깃을 스치자, 조금 서늘한 기분이 들었다. 한국에서부터 달고 온 감기 때문에 얇은 목폴라 티셔츠에 두툼한 후드티를 겹쳐 입었는데도 조금 춥게 느껴졌다. 아, 캐리어 속에 곱게 개 놓은 경량패딩이 그리웠다.
점심시간이 한참이나 지났는데도 가게 안에는 손님들이 제법 많이 있었다. 가게 안을 들여다보니 직원 한 명이 나와서 잠시 밖에서 기다려달라고 말했다. 야외에 놓인 대기석에 앉아있자, 직원이 나에게 메뉴판을 건네주었다.
그래도 왕년에 중국어 좀 배웠다고 자신했는데, 번체자 앞에서는 패배를 선언하고 말았다. 중국에서 중국어를 배웠기 때문에 말하는 것에는 크게 불편함이 없지만, 역시 문제는 한자였다.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높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번체자를 간체자로 바꾸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 후 1956년「한자간화방안(漢字簡化方案)」이 발표되었고, 그 후로도 몇 년간의 연구를 거쳐, 1964년「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가 발표되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중국어를 배운다.'라고 하면 보통은 간체자를 배우게 된다. 하지만 대만의 경우는 다르다. 대만은 중화민국 수립 이후 여전히 번체자를 '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글씨를 못 읽는다는 것이 이렇게 힘들 줄이야. 중국어 전공자로서 한자로 메뉴판을 읽고 싶었으나, 결국 그 옆에 조그마하게 써진 영어를 더듬더듬 읽으며 메뉴판을 읽어 내렸다. 자존심이 조금 상했다. 내가 한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꼭 번체자 메뉴판만 보고 음식을 주문해 보리라!
내 차례가 되어서 드디어 가게 안에 들어갈 수 있었다. '세계 쩐주나이차(버블티) 발원지'인 '춘수당'에 왔으니, 버블티를 한잔 시키는 것은 당연하고, 일단은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우육면을 한 그릇 주문하기로 했다.
가게 내부를 이리저리 둘러보며 구경을 하고 있자, 버블티와 우육면이 금세 나왔다.
생각보다 버블티의 양이 많아서 조금 당혹스러웠다. 그리고 우육면은 생각보다 양이 적어 보였다. 젓가락으로 몇 번 먹으면 끝날 것 같은 양이었다.
"에이, 이렇게 조금인데, 이걸 누구 코에 붙여?"
나 홀로 구시렁거리며 일단 버블티부터 한 모금 마셔보았다.
"음?"
모 만화책에서 나왔던 것처럼 눈이 번쩍 뜨이고, 입에서 빛이 나올 만큼 맛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오랜 시간 이동하고, 비 온 후의 서늘하고 습한 날씨에 완전히 지쳐버렸던 몸에 한줄기 단비 같은 맛이었다. 적절히 삶아내서 너무 무르지도, 너무 딱딱하지도 않은 쫀득한 타피오카펄이 목구멍으로 한알씩 넘어갈 때마다 "오!"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입안에 감도는 달달한 맛에 조금씩 활력이 생겼다. 단 것을 먹었으니, 이제는 짭짤한 맛을 먹을 차례였다.(원래 단짠은 국룰이라고 하지 않던가?)
중간 굵기의 면과 짤게 썬 배추, 그리고 국물을 한가득 떠서 입안에 한 번에 넣었다. 메뉴판에는 매운맛이라고 되어 있었지만, 매운 라면에도 청양고추를 썰어 넣을 정도로 매운맛을 좋아하는 나에게는 전혀 맵지 않았다. 오히려 조금 짠맛에 가까웠는데, 국물을 마셔보니 끝맛에서 조금 매운 느낌이 들었다. "와! 진짜 맛있다!"정도는 아니었지만, 대만에서 먹는 첫끼로는 나쁘지 않았다. 또한 양이 적어 보인다고 투덜댔는데, 먹다 보니 결코 적은 양이 아니었다.
결국 버블티는 끝까지 마시지 못하고, 남은 음료를 포장하기로 했다.
가게 밖으로 나오자 입구 바닥에 '세계 쩐주나이차(버블티) 발원지'라고 쓰여있는 발판이 있었다. 버블티에 대한 '춘수당'의 자부심이 엿보이는 부분이었다.
배도 부르고, 날씨도 점점 추워져서 일단 숙소로 돌아가기로 했다. 대만에서의 첫날이니 만큼 무리하지 않기로 했다. 아까 왔던 길과는 또 다른 방향으로 숙소까지 걸어가 보기로 했다. 골목 한편에 작은 동네 빵집이 보여서 그곳에서 내일 먹을 아침밥과 내일 먹을 간식거리를 구입하기로 했다. 빵 종류가 무척 많아서 한참을 고민해야 했다. 하지만 결국 내 앞에 있던 어린 여자아이가 구입한 빵을 따라 사기로 결정했다.
빵을 구입하고 나오는 길.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괜히 기분이 좋았다. 여행이 주는 자유로움이 나를 들뜨게 만들었다.
직장에서 근무하는 마지막 6개월 동안에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업무에서 배제되었기 때문이다. 간혹 업무적인 부분에서 의견을 제시하면 철저하게 무시받았다. 그래서 회사에서 생활하는 동안 나는 기계 같은 삶을 살아왔다. 지시를 내리면 처리한다. 그게 나의 회사생활이었다. 무엇인가를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할 때마다 상사의 면박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 모든 것에서 벗어나서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움직일 수 있는 게 행복했다.
한 무리의 꼬마 아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내 옆을 지나갔다. 아이들이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한걸음 뒤로 물러났다. 그러자 꼬마 아이들이 자전거를 멈추고, 뒤를 돌아보았다. 그리고는 "빠이빠이~!"하고 손을 흔들었다. 나는 내 뒤에 다른 누군가에게 인사를 한 줄 알고, 뒤를 돌아보았다. 아무도 없었다. 아이들은 나에게 손을 흔들고 있는 거였다. 나도 활짝 웃으며 큰 소리로 아이들에게 인사했다.
"빠이빠이! 안녕!"
작년, 나는 몇 번이나 죽음을 고민했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죽어야 할지 고민하다가 결국 울어버리고는 했다. 그때 내가 모든 것을 포기하고 죽음을 선택했다면 어땠을까? 그럼 지금 이런 순간을 누릴 수 없었겠지. 타이중의 골목을 정처 없이 걸었다. 두 다리가 조금씩 아파왔지만, 피로감은 느껴지지 않았다. 최대한 많은 것을 눈에 담고자 열심히 사방을 둘러보았다.
아, 자유롭다. 행복하다. 감사하다.
그때 죽음을 선택하지 않았던 나의 소심함에 감사한다.
지금 이 도시가 나에게 선사하는 자유로움에 감사한다.
"내일 날씨가 좋으면 여기서 아이스크림을 먹어야지."
타이중의 유명한 디저트 가게인 궁원안과 앞을 지나갔다. 서늘한 날씨 탓에 아이스크림을 먹지 않았지만, 내일 날씨가 따뜻해지면 토핑이 듬뿍 올라간 아이스크림을 먹어야겠다고 계획했다.
이렇게, 내일을 생각할 수 있어서 너무 행복했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욱 찬란하고,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