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정은 Jan 07. 2022

아이들에게 장미가시를 허하라

아이 곁에 끝까지 남아 인생의 위험을 제거해 줄 사람이 아니라면

독일의 프뢰벨은 유치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프뢰벨의 킨더가르텐(Kindergarten)은 전 세계로 퍼져 나가 오늘의 유치원, 어린이집에 이르렀다.


독일어 킨더가르텐은 아이들(Kinder)의 정원(garten)이라는 뜻으로

영유아가 자유로이 뛰어놀 수 있는 마당, 놀이터를 의미한다.

프뢰벨 사상의 핵심이다.

아이들은 즐거이 뛰어놀면서 배운다.



그런 면에서 일반적인 독일 유치원은 프뢰벨이 이름 지은 그 원 뜻을 그대로 잘 살리고 있는 듯하다.

아이들의 자유로운 놀이가 일어나는 정원이라기보다는

성인의 교육적인 지도에 무게중심이 많이 기운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기관과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코로나가 창궐하기 몇 해 전, 독일의 킨더가르텐을 한국의 유아교육 관계자들과 둘러본 적이 있었다.

유치원 건물과 시설은  눈길을 끌만큼 세련되고 쾌적하다.


반면 유치원마다 붙어있는 실외 놀이터는(유치원 건물에 들인 공에 비하면) 깔끔한 모습이라기보다 다소 밋밋하다.


우리 일행이 방문했던 킨더가르텐잘 가꿔진 놀이 터라기엔 뭔가 비어있었다. 대부분 자연 그대로 방치한 듯 보여서 다소 충격적이었다.


독일의 실외 놀이터, 마당은 잘 정돈되어 있지 않다.

정리정돈이라면 둘째 가면 서러워할 정도의 독일 사람들이 놀이터를 손대지 않고 자연스레 둔다.


우리 같으면 이미 예쁘게 궁굴려졌을 법한 화단의 모서리가 그대로이다. 치워도 벌써 치웠을 법 한 마당 이곳저곳에 있는 크고 작은 돌덩이 하며,  


아이들에게 위험하다며 아예 심지도 않을 굵은 가시가 돋아있는 복분자(는 주로 야생이며 독일에서는 특히 두꺼운 가시와 억센 줄기 때문에 자연 울타리 구실을 한다),


아이들의 여린 살갗에 닿을 것을 염려하고 부모의 항의와 정부기관의 시정명령에

장미 가시마다 포일로 감싸았고 나중에는 모두 없애버렸다는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예쁜 장미 나무들이 마당 여기저기 가지를 뻗치고 있다.


아이들 교실과 맞닿아 있고

자주 드나드는 실외 놀이터로 연결되는 통로에도,

아이들이 미끄러지기 쉬운 흙바닥이 경사 지거나 움푹 파인 채 놓여있기도 하다.


물론 아이들은 이곳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즐거워하기에 매번 이곳을 오르락내리락한다. 어떤 아이들은 넘어지는 경험을 한두 번 하고는 그 주위를 돌아가는 깜찍한 지혜를 갖기도 한다.



킨더가르텐의 원장이나 교사들에게 묻는다.


이렇게 위험하게 가시를 제거하지 않고 놔둬도 되나요??

(가시를 제거하라는 행정지도나) 규정이 없나요? 이런 게 지적사항이 안 되나요?

부모들이 이걸 보고 아이들에게 위험하다, 제거하라며 기관에 항의하지 않나요?


특이한 것은 우리도 동일한 질문을 하지만 독일 유아교육 관계자들도 대부분 동일하게 대답한다는 점이다.



아이들에게 위험은 자연스럽다.

위험은 우리 인생 모든 곳에 있기 때문이다.


부모나 교사는 아이들 주변의 모든 위험요소를 전부 제거할 수 없다.

인생의 크고 작은 위험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아이들은 배워야 한다.


부모나 교사의 역할은,

아이 주변의 위험을 없애는 게 아니라

닥친 위험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가르치는 것이다.



이렇게 대답한 후 그들도 다시 반문한다.  



너희는 왜 이런 것을 묻느냐?




그러게 말이다.

이렇게 당연한 것을 왜 가는 곳마다 묻느냐 말이다.


부모나 교사가 아이와 끝없이 함께 있을 것도 아니면서,

그 아이 인생의 매 순간마다 나타날 위험과 문제를 일일이 다 풀어줄 수도 없을 거면서,

어른 손바닥에 평생 있을 것처럼 키우는 걸까? 어쩌자고.




작은 장미가시에 긁힐 때 아이들은 아프다, 위험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피하게 된다. 아이가 가시를 직접 경험하지 않고 우리는 그림책으로 영상자료로 그것이 위험하다고 '설명'하려 든다. 아이들에게 이렇게 가르치는 게 맞나? 생각해보자.

부모는 유치원, 어린이집 마당에 장미의 드러난 가시를 보고 항의하지 말기를,  

교사는 아이가 한 손으로 나뭇가지를 잡고 살짝 넘어가는 지혜를 발휘하는 그 순간을 포착하고 격려해주길. 인생의 여러 어려움을 다루는 시도에 성공한 꼬마 과학자의 스승으로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