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이 Oct 11. 2024

‘독’이 던진 화두

―장욱진의 <독>

장욱진의 <독>을 처음 보았을 때, 느닷없이 ‘0’이 떠올랐다. 화면을 가득 채운 중배가 볼록한 독, 둥글넓적한 운두, 살포시 독 뒤에 떠오른 보름달, 호기심 가득한 까마귀의 눈동자까지 모두 ‘0’으로 보인다. 보름달을 배경으로 독의 중배에 걸려 있는 가냘픈 나무 한 그루가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세상은 둥글고, 또 둥근 것들로 가득 차 있는데, 유독 그의 그림에서 ‘0’이 연상된 것은 형태 때문만은 아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내 그릇으로는 이해가 요원한 말이 입속에 맴도는 걸 보니 그림이 내게 던지는 화두가 ‘존재’와 ‘무(無)’인 것 같다.     


생성

 독은 흙으로 만든 그릇이다. 우리를 먹여 살리는 고추장, 된장을 담는 그릇이다. 그림 속의 독은 흙에서 태어나고, 나무는 동산 같은 독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나 있다. 새끼 까치는 둥지에서 노는 듯 독 앞에서 편안하다. 동그란 눈을 데굴데굴 굴리며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하다. 부러질 듯 가는 다리가 생명의 연약함으로 보여 안쓰럽지만 어미 품 같은 독이 감싸주고 있어 든든하다. 집을 ‘짓는다’라고 하듯 흔히 독을 ‘짓는다’라고 말하는데, 정말 ‘독’으로 새끼 새의 ‘집’을 지어 주었다. 그 집에서 만물이 태어났다.    

 

소멸

 가득 찬 것은 반드시 기운다. 보름달은 그믐달이 될 것이다. 먹거리를 넉넉히 채워 생명을 살렸을 독도 다시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 그림 속의 독은 이미 늙었다. 땡볕에서 평생 밭일한 늙은 농부처럼 시커멓고 거칠다. 자글자글한 주름 같고 툭 튀어나온 혈관 같은 실금. 우리네 시골 할머니의 얼굴이다.     


그리고 색즉시공 공즉시색

 생성과 소멸을 숙명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유한한 존재를 바라보는 시선에는 슬픔이 깃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그림에는 애틋함은 있어도 연민은 없다. 왜일까? 화면을 가득 채운 독, 독이 배경을 다 밀어내고 거대하게 혼자 우뚝 서 있다. 그런데, 다른 존재들을 주눅 들게 하는 게 아니라 어우러져 있다. 독과 배경을 나누는 색과 선은 있는데, 경계는 없는 듯하다. 독이 땅의 연장인 것 같고, 땅이 잠시 독이 된 것 같기도 하다. 언뜻 보면 하늘만 있는데, 그 노란 하늘에 더 노란빛이 모여 잠시 달을 이루고 있다. 달도 곧 하늘이 되어 사라질 것 같다. 가득 찬 것 같은데 비어 있고, 비어 있는 것 같은데 가득 차 있다. 


 ‘0’이라는 숫자는 인도에서 처음 만들었다. 태양 모양에서 유래했다는, 시작과 끝이 같은 모양의 ‘0’에는 공허를 없는 것이 아니라 있는 것으로 본 인도인들의 철학이 담겨 있다. 불교 경전인 《반야심경》에 있는 문장인 ‘색즉시공 공즉시색’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지만, 색을 ‘존재’로 ‘공’을 ‘무’로 해석했을 때, ‘존재’와 ‘무’는 같다는 뜻이 될 것이다.      


 장욱진은 성홍열 치료차 충남 예산의 수덕사에서 거처한 것을 계기로 불교적 세계관을 담은 그림을 평생에 걸쳐 그렸다고 한다. ‘독’의 주제의식이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에 둔 것인지는 확인할 길은 없다. 하지만 그의 종교관을 모르고 그림을 봤던 내가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느낀 것을 우연의 일치라고 치부하고 싶지는 않다.


이전 07화 너는 왔네, 나에게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