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우 Sep 30. 2022

들어가며

  미리 목표나 한계를 정해놓고 시작해야 하는 일이 있다. 되는 만큼만 하면 되지 억지로 그럴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몇몇 일은 먼저 설정을 해 두고 거기에 맞추려 노력했을 때 그러지 않았을 때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번째로 운동이 그렇다. 한 번에 길어야 5분 정도니 평생을 할 줄 알았지만 몇 달 하고 그쳤던 플랭크는, 1분도 못 버티던 초창기부터 최종 목표는 5분이었다. 5분을 겨우 할 때도, 5분이 가뿐할 때도 있었다. 5분을 정해두지 않았다면 그에 도달하는 날은 몇 되지 않았을 것이다. 걷기나 뛰기 기타 다른 운동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두번째는 글쓰기다. 작년 한 해 동안 뛰어쓰기와 공백 포함하여 800자 글쓰기를 거의 매일 했다. 내가 쓰는 글의 양이 얼마나 되는 지 헤아려 본 적이 없으니 초반에는 글을 다 쓰고 나면 복사해 몇 자나 되어보는 지 확인하는 게 일이었다. 할 말을 다 했는데도 800자에 못 미칠 때는 허탈했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적을 말이 떠올랐다. 억지춘향으로 채운 적도 많았지만 점차 어느 정도의 이야깃거릴 부려야 양이 채워질 지 감이 왔다. 이제는 글자 수를 세지 않는다. 오히려 수다가 길게 이어져 읽는 사람이(훗날의 나를 포함해)지치지 않을까.


  마지막은 아이를 사랑하기이다. 사랑을 정해놓고 해야 하다니 오해가 생길 수 있겠다. 하지만 내게는 그랬다. 사랑한다고 크게 말해야지, 꼭 안아주어야지, 미안하다고 사과를 해야지, 사과만 해야지, 단서를 달지 말아야지, 잘못한 일만 말을 하고 감정은 담지 말아야지, 뽀뽀를 해 주고 무조건 너를 사랑해 라고 소리내어 말해야지 라고 정해놓아야 했다. 그래야 실천이 되었다. 그리 하지 않으면 내 눈에 들보는 보지도 못하면서 아이의 작은 실수에 벼락같이 화를 냈다. 내 오해에서 비롯된 일에도 사과를 하지 않는 날이 늘었다. 안아달라며 다가와도 시늉만 할 때도 있었다. 

  소리내어서 엄마가 미안해 너를 사랑해 라고 외치면 정말로 그 순간엔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가득차서 '그래 뭣이 중헌디'의 마음이 되어 너그러워질 수 있었다. 그러지 못한 밤에는 늘 반성문을 썼지만 후회로 시작해 내일은 더 소리내 말해야지 하는 다짐으로 마무리 지었다.


  평소 말이 많은 편이지만 미처 하지 못한 말이나 사실 하고 싶었던 말은 글로 적어버릇 한 지는 오래되었다. 그 많은 글들 속에서 나는 천천히 성장해 연애도 하고 결혼도 하고 아이를 낳아 키웠다. 이 때에 아이들에 대해 쓴 글은 색으로는 파스텔톤, 만질 수 있다면 솜사탕, 표정으로는 단연 미소이다. 쉽게 솔직하게 할 수 있었던 사과도 이때는 자주 보인다.

 

 허나 지난 일 년간 매일 썼던 글에서 아이들에 대해 쓴 부분을 추리며 읽어보니 상당부분이 아이들에게 미안한 일이다. 이런 이야기만 모아놓아도 될까 하는 걱정이 될 정도였다. 혹시 나중에 아이들이 보게 된다면, 엄마가 자기들에게 이렇게 화만 내었는가 하며 원망하면 어쩌지. 그러나 곧 다시 생각했다. 몇 백일 동안 글을 썼는데 그 중 몇 십일이면 그 나머지는 다 좋은 날이 아니었을까. 그리 믿고 싶다. 그리고 그게 아마 사실일게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