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여금 Jan 20. 2024

착하다, 너 T야?

당신은 틀리지 않았다.

착하다는 말을 싫어했을 때가 있었다.




“착하다”라는 프레임을 자기들 마음대로 씌워 놓고선 그들 마음대로 휘두르거나 좌지우지하려는 느낌인 것 같아서. 실제로 그런 사람들도 존재하긴 했었고. ‘넌 착하지 않으면 안 돼. 내 말은 무조건 받아들여야만 하고 내가 어떠한 무례한 말과 행동으로 선을 넘어도 하하하고 웃어 주어야 만 해’라는, 마치 해리포터의 [Impedimenta(임페디멘타) : 상대방을 일시적으로 막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고 또 느리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음] 마법의 주문 같다고나 할까.     

그리고 요즘 세상에 착하다는 말은 바보 같다. 실속을 챙기지 못한다. 계산적이지 못 하다는 말과 동의어인 것만 같아서.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나 역시도 어떤 새로운 사람을 알았을 때 “어, 그 사람 착해.”, “진짜 착해 보여.”라는 말들을 쓰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물론 혹여나 나와 같은 맘일까 봐, 당사자에게 쓰는 건 지양하고 있지만.  

그래서 내가 말했던 그 착하다는 의미는 뭐였을까 곰곰이 생각해 봤다.

     

인간은 누구나 살아남기 위한 생존 본능으로 인해, 새로운 것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갖고 있으며 그것이  어떤 이에게는 공포에 가까운 것일 수도 있겠다. 그 새로운 것은 환경일 수도 물체일 수도 사람일 수도 있겠고 그 대상이 나를 헤치지는 않을지, 상처 주거나 배신하지는 않을지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 그 상대를 탐색한다.     

탐색의 활용 자료로 혈액형별 성격이라든가 별자리성격, 심리학, 사주오행, 샤머니즘, 최근에는 16가지 유형으로 나눈 MBTI까지 활용되기도 하는 것 같다.

시대가 변하면서 자료의 내용만 변하고 진화했을 뿐 오래전부터 꾸준히 사람들이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나 스스로를 방어하고 지키기 위해 나 자신을 알고, 또한 상대를 알아야 한다는 관념이 컸으리라.


적어도 나에게는 그랬다. 이상주의적 사고를 추구하며(동의어로는:현실적이지 못함) 상대방을 찌르는 창을 가지지 못한 나에게 있어서는 공격을 막는 방패를 좀 더 단단하고 견고하고 굳건하게 만들어야만 했다. 그 수단으로 본능적으로 인간에 대해 탐구하게 됐던 것 같다.


사람들은 상대방이 나를 이해해 주지 않았을 때, 공감받지 못했을 때, 반대의견으로 공격받았다고 느꼈을 때 “A형이라서 소심하고 이해심이 없구나?”, “겨울에 태어나서 사람이 따뜻하지 못하고 참 차갑네”, 최근에는 아주 간단하고도 명료한 표현 “너 T야?!”라는 등의 일반화로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진실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듯하다.


나에게는 아무런 잘못이 없지만 너의 그 좁디좁고 유하지 못한 성격이 나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었으니 나의 간접공격을 받아라- 하는 마음으로 던지는 참 하찮은 말들.     

어쨌든 그러한 탐색을 모두 끝내고 ‘그 사람은 최소한 나를 헤치거나 이용하며 다른 마음을 품지는 않을 공격성이 덜 한 사람이다’라는 검증을 마쳤을 때, 확신의 도장을 찍듯 누군가에게 이야기한다.

“그 사람 인상 참 좋아 보여, 되게 착해.”     




그러한 생각에 닿았을 때

“착하다”는 말을 이제는 그다지 싫어하지 않게 되었다.

최소한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지는 않을 무해한 사람. 무례하거나 공격적이지 않고 누군가를 품어 줄 수 있는 아우라를 가진 사람.

그런 사람을 나는 “착한 사람”으로 정의 내리기로 했다. 그런 착함을 이용하는 사람이 나쁜 것이지 착한 사람이 잘못되거나 틀린 것은 아니므로 착함을 더 이상 부끄러워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나의 친절함과 착함은 받을만한 사람,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에게만 베풀어야 한다는 것을 이제는 알게 되었고, 여전히 “착하다”라는 말을 타인에게 직접 쓰는 것은 지양할 테지만.

이전 01화 도피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