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6-2. IT 필수 개념들을 본격적으로 연결지어 보기

유기체 같은 IT 서비스, 이 큰 그림을 보는게 중요합니다! 

앞서 필수적인 IT 서비스 개념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는데요,

이 시점에서 아래와 같은 질문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도대체 저 개념들을 얼마나 알아야 할까요?”


각 개념에 대해서 하나하나 깊이있게 알아야 할지, 벌써 막막함이 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절대 모든 개념을 깊이 있게 알아야 하는 건 아닙니다. 저 개념들의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간의 관계만 알면 됩니다.

결국 포인트는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것과 비슷합니다ㅎㅎ


결국 저 개념들은 IT 서비스 속에서 서로 모두 관계가 있는 요소들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저 개념들을 파편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어떻게 서로 엮여 있는지를 서비스 사용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죠.



IT 서비스 개념들의 관계성


우리가 너무나도 쉽게 IT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실제로 IT 서비스는 굉장히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복잡한 IT 서비스는 1년 365일, 24시간 내내 사용자와 “끊임 없는 상호작용"을 해야합니다. 그렇기에, 살아있는 유기체와도 같은 IT 서비스를 이해하려면 IT 서비스가 어떻게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을 이해해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개발지식을 아는것보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와 각 요소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튼 클릭 한번으로 너무나 쉽게 물건을 살 수 있는 일반 사용자 경험 뒤에는 공장처럼 쉴새 없이 가동되는 IT 서비스의 로직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자하는 IT 지식은 주로 이 로직들과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IT 서비스의 구조를 간략히 표현하면, 1)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부분, 2) 상호작용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 3)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다루는 부분, 4) 보안과 관련된 부분, 5) 서비스가 제공될 환경(인프라)에 대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이 모두 갖춰져서 하나의 살아 숨쉬는 유기체처럼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1-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부분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는 영역으로 ,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과 서비스’와 ‘프론트엔드’가 있습니다.

2- 상호작용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

사용자의 정보를 처리하고 정의된 동작을 실행하는 뒷단의 영역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API’ 등이 있습니다.

3-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다루는 부분

서비스의 근간인 “데이터” 처리에 대한 영역으로, 관련 개념으로는 ‘CRUD’가 있습니다.

4- 보안과 관련된 부분

아무나 서비스 정보를 탈취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적인 영역으로, 관련 개념으로는 ‘인증’, ‘인가’ 등이 있습니다.

5- 서비스가 제공될 환경(인프라)에 대한 부분

마지막으로, 서비스가 만들어지고 제공될 환경에 대한 부분입니다. 관련 개념으로는 ‘클라우드/온프레미스’ 등이 있습니다.


유기체로서 보는 IT 개념과 서비스 기획


흔히 앱 혹은 웹이라고 불리는 IT 서비스를 기획하고 이해하려면 단편적인 개발지식이 아니라, IT 지식의 큰 그림과 유기적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개념은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해당 IT 지식과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와의 접점도 알아야 합니다.


여기 저기서 IT 개념을 듣다 보면 그 개념을 파편적으로 검색해볼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주로 그 개념에 한정된 전문적인 글이 검색결과로 노출되죠. 막상 그 글을 읽으면 또 다른 외계어를 마주한 것 같기도 합니다. (기술 블로그가 나쁘다는 게 아닙니다. 잘 모르는 사람에겐 어려울 수 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서비스 기획은 “총체적 기획”의 과정입니다. 어떤 IT 서비스를 만들거나 이해하려면 적어도 이것들 만큼은 이해해야한다는 뜻입니다.


어떤 방식으로 어디에서 서비스를 제공할지 (웹? 앱?)

사용자에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보여줘야 할 지 (디자인과 프론트 엔드)

그 데이터는 어떻게, 어디서 가져올지 (백엔드)

누구에게만 보여줄지 (인증)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는 어떻게 할지 (클라우드)


결국, IT 서비스를 기획하고 이해하기 위한 IT 지식은 “IT 서비스의 구성요소와 그 요소들간의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번에 배워야 하는 IT개념들을 연결지어 생각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각 개념을 너무 깊게 들어가기보다는 총체적인 그림을 그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인데요,

다음 편에서 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로 개발 지식을 쌓아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