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상희 Sep 10. 2024

예술분과로서의 나르시시즘(2)

그러니까 어디 보자, 처음으로 코바늘에 걸려 나온 실오라기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이었다.    

  

에이젠슈테인은 마르크스의 시나리오에 따라『자본』을 영화화하기로 결정했다고, 작업 노트에 썼다. 그 터무니없는 발상이 울리희를 완전히 사로잡았다. 울리희는 에이젠슈테인의 영화 클립들을 보며 잠을 설치다가 그에 대한 오마주로 작업 노트를 쓰기로 마음먹었다.

<―을 위한 노트> 라는 파일을 만들고 『자본』에 필적할 만한 저작을 영화화하는 것에 대한 노트를 쓰려고 한 것이다울리희는 공란을 채울만한 이런저런 저작들을 떠올려 보았지만, 그 어떤 것도 마음에 차지 않았다. 울리희에게는‘마르크스’같은 것이 없었다. 

그러니까 공산주의 유토피아(라고 그때만 해도 믿었던) 소비에트에 살았던 에이젠슈테인에게 마르크스주의는 신앙이었으나, 소비에트와 함께 이데올로기도 유토피아도 모두 다 멸망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울리희에게는 그 어떤 신앙도 없었다.

『율리시스』의 기법으로 영화를 찍겠다는 에이젠슈테인의 기획은 기존의 영화 예술을 파괴하고 완전히 새로운 영화를 구축하려는 것이었으나, 울리희는 작업 노트를 쓰려고 했을 뿐 영화를 찍을 생각은 없었고 더군다나 혁명적인 예술 같은 것은 꿈도 꾸지  않았다. 

결국 에이젠슈테인을 모방하여 작업 노트를 쓰려던 울리희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그 실패와 함께 울리희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기획에 자신이 매료되었다는 사실 자체를 잊었다세상은 빠르게 돌아갔고 울리희의 관심을 잡아끄는 것은 너무나도 많았다그러니까 550 명의 자녀를 둔 정자 기증 왕조너선 메이어르의 소식이 불현듯 날아와 울리희의 위장을 들쑤시기 전까지만 해도 말이다.     


그래서 다음에 끌려온 실오라기는 조너선 메이어르였다.      


울리희는 조너선 메이어르가 에이젠슈테인의 기획을, 고대로부터 온 것처럼 아득하고 낯설게 느껴지는 실패한 기획을,  완전히 새로운 개념과 도구로 부활시켰다고 결론지었다. 

여기서 울리희는 더부룩한 속을 가라앉히려 코바늘로 손을 따고 다시 한번 트림을 했다. 그러고는 코바늘을 바싹 움켜쥐고 눈을 가늘게 떠 본격적으로 바느질에 집중할 태세를 취했다.

그러니까 조너선 메이어르는 나르시시즘이라는 개념과 유전 공학이라는 도구로 예술이라는 분과를 완전히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이전 01화 예술 분과로서의 나르시시즘(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