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회사에서 잘 나가고 있는가? 아니면 만년 과장, 만년 차장으로 그저 그렇게 지내고 있는가?
소위 잘 나간다는 것은 팀장의 최측근으로 많은 애정을 받으면서 지내고 있고, 그래서 성과가 날 수밖에 없는 일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에 따라 평가도 좋고, 연봉도 높고, 결국 좋은 포지션을 차지할 확률이 높다 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잘 나가는 사람들 중 일부는 타이밍과 하늘의 운이 받쳐주면 '직장인의 별'이라는 임원 자리에 앉게 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엔 자연스럽게 조직 내에서 그렇다 할 만한 주목도 받지 못하고, 따라서 평가도 그저 그렇게 받고 지내면서 승진도 못하고 만년 해당 직급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하게 되겠다. 그리고, 우리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그 사이 어딘가 즈음에 존재하고 있다. 그것이 현실이다.
잘 나가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본 적이 있는가? 대부분 그렇지 않겠지만, 내가 보았던 일부 사람들은 솔직히 좀 별로였다. 회사가 그들 인생에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에 커서 그런 것일까? 회사 안에서 잘 나가는 것이 인간으로서 남들보다 더 높은 인격과 지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듯이 보였다. 심지어는 본인의 생각이 항상 옳다 하는 고집스러운 부분도 가지고 있었다.
문제는 그런 잘 나가는 사람이 타이밍 좋게, 혹은 운 좋게 임원이 되었을 때 심각해지는 것을 보았다. 임원이 되려면 실력은 기본이고, 운이 정말 많이 받쳐줘야 한다는 것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진리 같은 이야기이다. 하지만 임원이 되는 순간 그 진리를 기억 속에서 지워버리는 사람들이 꽤 있는 것 같다. 순전히 자기의 실력이 좋아서, 너무도 뛰어나서 임원이 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말이다.
그런 사람들은 회사에서도 모든 분야에 있어서 자기가 최고의 아이디어와 실행력을 갖추었다고 자만하는 모습을 보인다. 정말 그럴 수가 있을까?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한 가지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교수가 되어도 연구를 하면 할수록 모르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 겸손할 수밖에 없고, 공부를 끊임없이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많은 학자들의 정론인데 회사에서는 그렇지 않은 임원들이 많이 보이는 것 같아 당황스럽다.
어쨌든, 그런 대단하신 임원 분들도 언젠가는 그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 어떤 사람은 일반 직원의 정년인 60세를 넘겨서도 임원 자리를 보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결국에는 임원이 되고 빠르면 3년 내 늦어도 60세 언저리에는 자리를 내려놓고 즉 회사의 소속을 벗어나 한 명의 자연인으로 돌아가야 한다. 이것은 조직 내에서 잘 나가는 사람이나, 잘 나가지 못하는 사람이나 누구나 마찬가지다. 임원이 되지 않는 이상 본인이 아무리 일을 하고 싶어도 결국 현재 기준으로는 만 60세에는 정년퇴직을 하게 된다.
우리가 언젠가는 회사를 반드시 그만두어야 한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지금 이 회사가, 지금 하는 일이 나의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것이지만 결국에는 내 것이 아니고, 손에서 놓아야 하는 것이다.
100세 시대라는 이야기를 많이들 들어보았을 것이다.
60세에 현재의 직장에서 혹은 또 다른 직장에서 일을 그만두고 나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생계를 꾸려가는 것도 문제이고, 남은 40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생각은 해보았는가?
자녀들을 다 양육하고 나면, 즉 대학공부를 시키고 결혼을 시키고 나면 이제 나는 자유의 몸이 되어, 전 세계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상황일 것 같은가? 최소한 나는 그렇지 않다. 정년퇴직 이후의 삶을 생각하면 기대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긴장된다.
퇴직 이후의 삶을 위해서 젊은 시절부터 연금을 넣고, 적금을 들고,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요새는 많다. 좋은 트렌드다. 하지만 요즘같이 30살이 다 되어서야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상황에서, 정년퇴직까지 겨우 30년을 일해서 번 돈으로 100세까지, 이후 40년을 버텨야(?) 하는데 이것이 과연 가능할까? 아주 단순하게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고서 계산을 해보아도 30년 번 것을 70년(일하는 30년 + 은퇴 후 40년)으로 나누면 1년 벌이의 절반 이상은 저축을 해야 한다. 지금 그렇게 하고 있나? 나만 그렇게 못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난 버는 것의 반을 저축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이런저런 재테크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그 마저도 여의치가 않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
여기저기서 많이들 얘기한다. 평생직장은 불가능 하니 평생 직업을 가지라고. 그런데 이것도 지금과 같이 급변하는 세상에서 가능한 이야기인지 의문이다. 어떤 것을 해서 정년퇴직 이후에 안정적인 소득을 만들어 낼지 모르겠다. 부동산 투자, 주식 투자, 유튜브, 블로그 등이 유망하고, 정년퇴직 이후에도 할 만하다며, 그것을 평생 직업이자 재테크 수단으로 삼으라는 이야기도 종종 들리긴 하는데, 그것들 중에 나도 아직 해보지 않은 것들이 더 많아서 솔직히 잘 모르겠다.
다만, 우리 직장인들이 하루하루의 일에만 매몰되어서는 그것을 준비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다가오는 운명의 순간을 더 이상 모른 척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안다. 이것은 회사에서 상사도, 동료도 잘 이야기를 하지 않는 부분이다. 당장 해결해야 할 일이 산더미 같이 많이 쌓여 있는데 누가 다른 사람이랑 제2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겠는가?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동생이 들려준 이야기이다. 병원에 그렇게 삼성그룹의 전직 임원이 많이들 오는데, 오시는 분들마다 '내가 누군지 아냐'는 질문을 많이 던진다고 한다. 그런 이야기는 듣기에도, 그런 상황은 보기에도 썩 아름답지가 않다. 아마도 빨리 진료받고, 더 친절하게 응대받고 싶어서 그런 것 같고, 좀 더 나를 인정하고 대우해 달라는 의미도 어느 정도 배경에 깔려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면 그렇게 전직 임원이라고 말하면 무엇인가가 바뀔까? 그렇지 않다고 한다.
이분들의 그런 주장과 행동, 그리고 병원에서 실제로 조치를 해줄 수 없다는 것을 보고 느껴지는 것이 있는가? 나는 그 대단했던 임원들도 퇴직을 하고 나니, 뭔가 붙들 만한 혹은 남들에게 설명할 만한 자기의 정체성이나 타이틀이 없어서 불안해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다. 그래서 퇴직을 했음에도 아직도 '내가 삼성 임원이(었)다'를 외치는 것 같다.
그분들이 그렇게 지금도 의지하는 그 타이틀도 회사를 나온 순간 아무런 의미가 없다. 병원에서 진료를 할 때 아무런 영향이 없다. 한 명의 환자로 동일하게 대기하고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 든든하게 여기고 있는 회사 내에서 잘 나간다는 것의 실체이다. 실제로는 내 것이 아닌 것이다.
나중에 회사를 떠나서 나는 어떠한 삶을 살아갈 것인지? 생계는 어떻게 유지하고 사회생활은 누구와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지금 회사에서의 나는 이런데 실제 자연인으로서의 나는 어떤 사람인지? 이런 것들을 우리가 고민해봐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런 맥락에서 생각해보면 우리가 회사에서 조금 잘 나간다고 해서 으쓱거릴 필요도, 누군가를 무시하거나, 혹은 반대로 누군가에게 무시당하거나 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그리고, 지금 당장 회사에서 인정받지 못한다고 해서 서운해할 필요도, 더 인정받기 위해서 마음을 졸일 필요도 없는 것 같다. 우리 인생의 목표는 우리 생각보다 조금 더 먼 곳에 있다. 지금보다 조금이나마 마음 편하게 직장생활 하는 우리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