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영호 Mar 09. 2024

나에게 퇴직에 대하여 묻는다면

2024년 3월 9일 토요일

1년 전 퇴직을 하면서 조직과 시간의 틀에서 벗어나 온전한 자유를 얻었다. 초등학교 입학 시점부터 퇴직 전까지 평생을 일정한 틀 안에서 생활을 해왔고 그 틀을 통해 개인적인 목적을 이루며 여기까지 왔다.


일차적인 목적은 이 세상에서 살아남는 것이었고 나아가 부의 축적 등을 통해 행복을 이루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느 시점부터 그 틀에 안주하기 시작했고 많은 시간을 무의미하게 흘려보낸 것 같다. 물론 가장으로서 가정의 경제를 책임진다는 막중한 의무를 다하는 것이기에 어떤 시간도 무의미하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이미 식어버린 열정과 내 삶이 더 나아질 것 같지 않다는 생각 등을 안은 채, 시간의 흐름을 무기력하게 바라보는 내 모습 속에서 시간의 무의미함을 느꼈던 것 같다. 심지어 10년이라는 시간이 한순간에 훌쩍 가버렸으면 하는 그런 생각을 간혹 하기도 했다.


이렇게 그 틀 속에서 나는 점점 시들어갔지만, 그 틀은 여전히 사회적/경제적 책임에서 나를 자유롭게 해 주었고 사회적 정체성을 부여했다. 또한 주어진 시간에 대한 책임과 삶의 불확실성에서도 상당 부분 자유를 주었다.


반면 틀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긴 세월 그 틀 속에서 누리던 모든 것을 온전히 나의 책임 하에 새롭게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생각만으로도 엄청난 부담감과 두려움이 나를 엄습했었다. 그래서 오랜 기간 새로운 토양을 찾기보다는 내가 있던 그 자리에 축 쳐진 내 몸을 맡기고 계속 머무는 것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그 책임을 감당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고, 아울러 지금이 아니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그 당시를 돌아보면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나왔는지 너무 의아스럽다.


퇴직 후 1년이 지난 현시점에, 내가 다시 퇴직 전의 상황으로 돌아간다면 어떤 결정을 내릴까 생각해 본다. 객관적으로 보면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더 나아진 것은 없고 오히려 다운그레이드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있고, 가족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삶을 살아가고 있기에 나는 주저함 없이 같은 결정을 내릴 것 같다.


누군가 나에게 퇴직에 대하여 묻는다면 경제적으로 준비가 충분히 되어있는지에 대한 부분이 아니라, 우선 마음속에 있는 여러 가치들의 무게를 재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 같다. 현재 자신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가치들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 그 시작점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그 가치가 중심이 되는 삶을 위해 퇴직이 필요한지, 퇴직 이후 그 가치를 지켜나갈 수 있는 여건이 되는지 등의 현실적인 부분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 같다. 마지막으로 아내와 가족들이 그 생각에 동의할 것인지, 아울러 나의 퇴직으로 나와 가족 모두의 삶이 더 나아질 것인지에 대한 부분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퇴직을 결정할 당시, 나는 가족과의 시간이 가장 중요한 가치였으며 가족 안에서 내 존재의 의미와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결과론적으로 보면 경제적/사회적으로 손실이 있었고 한동안 정신적인 고통이 있었지만 나는 행복해졌고 가족들 또한 여전히 행복하다. 아울러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으며 새로운 꿈을 꾸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직장인 분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퇴직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난 그분들에게 어떤 도움도 드릴 수 없고 그럴 능력도 없다. 단, 진심으로 모두가 각자의 소중한 가치를 중심으로 행복한 삶을 찾아가기를 바랄 뿐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