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lohaS Feb 19. 2023

왜?라는 질문

“어떤 감정이나 생각이 들면 왜?라고 계속 스스로에게 물어보래. 그럼 진짜 마음이 무엇인지 알게 된대!”


대학생일 때였다. 가장 친한 친구가 헤어지기 직전 지하철역 앞에서 책에서 본 내용을 말해주었다. 그 당시 우리는 인상 깊게 읽은 책을 추천하고 빌려주기도 하며 서로의 성장을 돕고 있었다. 그 말이 어느 책에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추천만 받고 읽지 않았던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내 감정과 생각의 근원을 향해 계속 질문하는 것은 어느새 하나의 습관이 되었고, 이후의 내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왜?라고 질문하는 것. 사실 친구에게 듣기 훨씬 전부터도 많이 해왔던 것이다. 어릴 적 나는 호기심이 많은 아이였다. “이건 왜 그래?”, “이건 뭐야?”, “왜 이 사진에는 내가 없어?”, “왜 나는 안 줘?” 등 귀찮은 질문을 수시로 했었다. 다행히 자식 일에 무심한 아빠와 관대한 엄마 덕에 왜 자꾸 물어보냐는 핀잔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엄마는 나의 뚱딴지같은 질문에도 늘 성심성의껏 답해주셨다. 덕분에 나는 질문하는 힘을 가진 사람으로 자랄 수 있었다.


그러나 친구의 그 말을 듣기 전까지 나는 그 힘을 나 자신에게 써볼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그런데 스쳐 지나듯 들었던 그 말로 인해, 내 마음속에 있던 작은 문이 존재감을 드러내며 스르르 열리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바깥세상으로만 향해있던 시선을 반대로 돌려, 나의 내면 세상을 향해서도 바라보기 시작했던 것이다. 어떤 감정이나 생각이 들면 한 발짝 떨어져서 왜 그런 감정이 생겼는지, 왜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 스스로에게 계속 질문을 해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친한 친구가 다른 친구와 함께 여행 간 사진을 SNS에 올린 것을 보고 괜스레 울적해진다. 예전 같았으면 그렇게 울적한 상태로 하루를 보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제는 ‘왜일까? 왜 이런 기분이 들었을까? 내게 같이 여행 가자고 묻지 않아서? 나도 같이 가고 싶은데 못 가서? 여행을 갈 수 없는 지금의 바쁜 상황이 싫어서? 나는 평범한 프로필 사진인데 반해 사진 속 그들은 너무나 즐거워 보여서? 내가 아직 못 가본 나라를 그 친구들이 먼저 가서?’ 등 계속해서 스스로에게 질문해 본다.


더 나아가 ‘나는 아직 못 가본 나라를 그 친구들이 먼저 가는 게 어때서? 남보다 무언가를 먼저 해보고 싶다고 생각하는 건 왜지? 관심받고 싶어서일까? 아니면 성격이 급한 게 이런 부분에서도 티가 나는 것일까?’라는 식으로 점점 더 근원적인 답을 향해 내려가보는 것이다. 답은 그때그때 다르다. 어쩌면 계속 질문해도 진짜 답을 못 찾는 경우도 있다. 아니면 진짜 답을 알고 싶지 않거나 귀찮은 마음에 대강 속으로 얼버무리며 결론지을 때도 있다.


그래도 확실한 건 ‘왜?’라고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물어보고 답하는 과정을 통해 그 순간의 피상적인 감정에서 빨리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마치 감정으로 가득 찬 방의 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처럼, 감정의 종료 버튼을 의식적으로 빨리 누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나의 본심도 반복된 질문을 통해 더 깊이 알아갈 수 있다. “그 사람은 예의 없어서 싫어”라고 했지만, 사실 알고 보면 나는 잘하지 못하는 무언가를 그 사람은 잘 해내고 또 그것에 당당한 태도를 보이며 내 기분을 살피지 않았다는 점이 싫었을 수도 있다. “난 그거 별로더라”라고 했지만, 어쩌면 나도 그 물건을 가지고 싶은데 지금 살 만한 상황이 아니고, 상대방이 세련된 그 물건을 능숙하게 잘 다루는 모습을 보니, 내가 괜히 뒤처지는 것 같아 그건 별로라는 생각에 잠깐 기대어보는 걸 수도 있다.




이렇게 내 감정과 생각의 본질을 향해 파고드는 연습을 하다 보니, 순간적인 느낌에 휘둘리지 않고 내 마음을 좀 더 잘 다룰 수 있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타인의 말이나 행동에 영향을 받는 일도 줄어들게 되었다. 쉽게 화를 내거나 센 척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본인의 내면을 진득하게 들여다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나 자신과의 작업을 통해 알아차리게 된 것이다.


물론 타인의 본심에 대한 것은 어디까지나 내 추측일 뿐, 정답은 영원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표면적인 말과 행동의 이면에 또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같은 인간으로서 알기에 초연해질 수 있다. 친구가 알려준 방법은 의외로 나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혀주었다.


계속해서 왜?라고 스스로에게 묻다 보니 내 마음의 민낯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렇게 내 본심을 마주한 순간, 나는 나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애써 나를 변명할 필요가 없어졌다. 나에게도, 남에게도.


나를 변명할 필요가 없으니 그만큼 내면이 더 단단해짐을 느낄 수 있었다. 이전에는 마음속으로, 때로는 입 밖으로 쓸데없는 변명을 하며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하고 살아왔다는 것을 나 자신과의 끊임없는 문답 과정을 통해 깨달은 것이다.


질문의 힘은 강력하다. 특히 스스로에게 하는 질문은 나에게 딱 맞는 답을 알려주므로 확고한 힘이 생긴다. 왜?라고 계속해서 묻다 보면 어느새 나는 답을 알게 된다. 피상적인 답이 아닌 근원적인 답을 알게 된다. 이런 과정을 몇 번 반복하다 보면, 지금 이 순간 조금 힘들거나 고민이 있다 해서 바로 친구에게 연락하지 않는다. 친구와의 만남은 즐겁지만 내 질문의 근원에 함께 내려가볼 수는 없다. 그저 그 주위만 같이 맴돌다 “오늘 재밌었어. 다음에 또 보자.”하고 헤어질 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비결을 알려준 그 친구와 더 이상 만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한때 제일 친하고 의지했던, 베프였던 우리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라고 질문하지 않는다. 내 영역을 벗어난 문제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고 있다.


친구는 잘 지내고 있다고 가끔 소식을 전해 듣는다. 인생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고 믿고, 인간관계 역시 유효기간이 있다고 믿는 나로서는 아쉬움이나 그리움 등의 감정은 남아있지 않다. 다만 그 시절 함께 성장하며 그 친구가 전해준 말이 내 인생의 비결이 되었듯, 내가 전해준 말과 글들도 그 친구에게 비결이 되어 남아있길 희망한다. 왜냐고? 그냥.






이전 01화 스무 살, 독립의 시작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