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융통성일까?
유튜브에서 아이가 그림을 그리는 영상을 문득 보게 되었습니다. 친구들과 재잘거리면서 크레용으로 그려가는 도화지에는 아마도 가족과 함께 민박하며 인상 깊었던 기억을 주제로 삼은 듯했습니다. 고기 굽는 모습에 맛나게 먹는 모습을 표현하려 맘먹은 모양입니다. 그러다가 저는 어느 한 시점에서 웃음이 터지고 말았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집을 그리는데 지붕부터 그리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제 어릴 때와 너무나 닮았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 때인가 봅니다. 미술학원에서 그렸던 제 그림이 액자에 넣어져 한동안 방에 걸려있었습니다. 다른 건 모르겠는데 배를 그리면서 돛대며 갑판을 먼저 그리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분명히 기억납니다. 그러다 보니 배의 모양이 약간의 비율이 틀어진 이상한 모양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후로 배나 집을 그런 식으로 그리다 보면 한정된 도화지의 크기 때문에 전체적인 비율이 틀어진다는 사실을 스스로 체득한 셈입니다. 그 습관을 교정하는 데 한참이 걸렸습니다.
조금은 다른 맥락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중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한문(漢文) 시간이 되면 선생님께서는 글자의 획순에 신경을 많이 쓰셨습니다. 대부분 어디에서 어디로 향한다는 원칙이 있는데 외워야 할 글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헛갈리는 빈도는 점차 잦아집니다. 게다가 글자의 모양을 예쁘게 쓴다는 이유로 순서를 임의로 바꿔 쓰게 되면 헛갈리는 글자의 양은 점점 많아집니다.
하기야 그림의 경우 어디서부터 그려야 한다는 원칙이 있기는 있을까요? 위에서부터 채우든, 밑에서부터 쌓아 가든, 결국 원하는 목표물을 표현하면 될 일이지만 결과는 미세하게 달라지는 걸 우리는 봅니다. 의도적으로 그렇게 표현하려고 맘먹는다면 모를까, 습관적으로 그렇게 몸에 배었다면 한 번은 생각해 볼 일입니다.
그래도 이 정도면 대세에 지장이 없고 결과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융통성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약간의 틀어짐을 허용하는 시대에 삽니다. 이는 고래(古來)로부터 암묵적으로 허용된 사안입니다. 저는 어릴 적부터, 특히 막내 이모의 혀 끓는 소리까지 곁들여지며 들은 말이 바로 그것입니다. “어이구~~ 하여간 융통성이라고는!” 생략할 건 생략하고 넘어갈 건 넘어가는 묘미도 없이 그거 하날 못한다며 들었던 소리입니다. 이 또한 이 나이가 되어도 쉽게 고쳐지지 않는 거 같습니다. 뒤돌아보면 내내 그리 살았던 거 같습니다.
그림만 놓고 보아도, 한자(漢字) 한 글자를 쓰더라도 딱 요구하는 만큼만 하면 좋으련만 그걸 못합니다. 위에서부터 그리건, 밑부터 올려 그리건 예쁘고 멋지게 그리고 쓰면 될 일인데 세세하게 따지며 살아왔나 봅니다. 이것이 그냥 나에게 교훈만 주면 좋겠는데 주변 사람들을 훈계하고 가르치려고 드는 상황이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환갑도 지났으니 조금은 여유롭게 삶을 꾸려가면 좋겠습니다. 젊은이들을 볼 때마다, 그리고 최선을 다하는 이들을 볼 때마다 격려할 거리를 먼저 내뱉는 노년을 꿈꿉니다. 이 또한 몸에 배어 자연스러워야 할 텐데 왜 그렇게밖에 못하냐고 타박부터 할까 봐 걱정부터 앞서는 요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