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별재회 커리큘럼 Feb 28. 2023

우리는 이별을 배워야 한다.



우리는 유년기 시절부터 성인이 되기까지 걷는 법, 말하는 법, 젓가락을 사용하는 법, 글씨를 쓰는 법, 소화기를 사용하는 법, 지진이 났을 때 대피하는 법, 강한 태풍이 왔을 때 대처 방법 등. 많은 것을 배우지만사람에게 필요한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 사람의 감정, 감정 케어하는 법 등은 배우기 드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더욱더 이별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이별에 대해, 이별감정에 대해, 이별 극복 방법에 대해 모른다면 더 많이 아프고, 더 많이 슬프고, 더 많이 고통스러워하면서 건강한 연애를 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저는 이별로 인해 죽음의 문턱까지 간 적이 있었습니다.

그 문턱에서 마지막 한 걸음을 내디디려는 순간, 

저희 휴대폰의 메시지 한 통이 왔습니다.

"나쁜 생각 하지 말고 건강히 잘 살아"

전 애인이 보낸 문자였습니다.

저는 그 메시지를 보자마자 눈물이 흘러나왔고, 

죽음의 문턱에서 나올 수 있었습니다.

문턱을 나오자마자 저를 반긴 건 고통스럽고 슬픈 감정에 이별통들이었습니다.

이별을 처음 접한 저였기에 그 고통들을 오로지 맨몸과 맨 정신으로 받아들여야만 했습니다. 

매일매일을 후회하고, 제 자신을 원망하고, 자책하고, 슬퍼하면서...

그렇게 1년 8개월 지난 지금 저는 모든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때 그 사람이 느꼈을 감정과 기분, 그때 왜 이별을 말해야만 했고, 

왜 그렇게 상처를 줬어만 했는지..

과거를 되돌리기에는 너무나 늦어버렸습니다. 

하지만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들이 어떻게 일어날지 잘 알고 있다면 결과를 바꿀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별에 대해 알려주고 그 결과를 바꿀 수 있게 도와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별을 경험해 본 사람으로서 이별의 감정이 어떻고 어떤 증상이 나타나고 어떻게 받아들이며 어떻게 극복하는지에 대한 많은 이야기 그리고 시간이 된다면 재회 준비 및 재회까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전 07화 성향 차이 연애 이별 심리행동 보고서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