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알아가는 시간 글쓰기
쉬지 않고 글을 써야만
마음의 문을 열 수 있고,
자기를 발견할 수 있다.
-위화
글쓰기라고 생각하면 초등학교때 매일 같이 일기를 쓴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아직도 나의 일기는 친정에 한가득 존재한다. 그 당시에는 일기를 매일 써서 선생님께 검사를 받아야 했었다. 나는 제법 성실한 아이였다. 일기를 매일 쓰고 검사도 맡았다. 나의 일기는 조금 특별했는데 그 이유는 엄마가 내가 쓴 일기들에 매일 같이 답글을 남겨 주셨다. ‘오늘은 진희가 참 즐거웠겠구나…’, ‘진희가 많이 속상했겠구나…’ 등 여러 가지 답글을 성심성의껏 달아주셨고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꽤 긴 문장으로 매일 같이 일기에 작은 편지처럼 남겨 주셨다.
선생님은 그런 모습에 감동을 하셨는지 나에게 일기상도 주셨다. 그래도 나는 어렸을 때부터 글쓰기와 그렇게 멀지 않은 삶을 보내지 않았나 싶다. 어렸을 적 친구에게 표현하지 못했던 부정적인 감정들을 글로 다 쏟아냈다. 그렇게 글쓰기는 오래된 나의 내면 친구였다. 글쓰기테라피라는 말도 있듯이 나의 마음을 치유해주기도 한다.
최근 독서를 하면서 글쓰기가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독서를 계속 하면 할수록 글쓰기를 함께 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아웃풋이 나오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판단이 되었다. 하지만 혼자만 보고 쓰는 글쓰기는 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부족하다는 것을 알기에 도서관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듣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나의 글은 우물안의 개구리 같은 글이었구나 라고 생각을 했다. 나만의 생각에 갇혀 나만의 세계에 있는 글만 써온 글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크게 공감을 일으키지 못했다. 처음에는 ‘왜 공감을 못하는가?’ 하고 속상하기도 했지만 생각을 바꾸어 ‘다른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소재를 꺼내지 않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라는 판단을 했다.
글쓰기를 하면서 좋은 점은 첫 번째, 누구에게도 말 못할 고민을 나의 글쓰기 노트에 고백할 수 있다. 고민이 생기거나 걱정거리가 생기면 항상 누군가와의 대화로 생각을 정리했었는데 이제는 노트에 고백을 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배려이기도 하였다. 나의 고민이나 걱정으로 그 사람들의 시간을 뺏는 것이 미안해졌고 노트에 고백하니 아무런 필터도 거치지 않고 쓰는 점이 좋았으며 나의 마음을 제대로 볼 수 있었다. 묵혀있던 것이 다 씻겨나갔다. 나는 아주 든든한 고민 고백 친구가 생긴 것이다.
두 번째, 나의 꿈에 대한 글쓰기를 통해 시각화를 할 수 있다. 나의 미래와 나의 꿈에 대한 내용을 계속해서 써 내려가다 보면 말로 하고 끝내는 것보다도 더 생생하게 나의 미래가 그려지게 되었다. 아주 가까운 미래에서부터 아주 먼 미래까지 내가 원하는대로 생각하는대로 이루어 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긍정적인 방향들에 대한 생각을 필요할 때마다 적었다. 예를 들어 학점에 대한 소망이라면 학점이 나오기 전부터 계속해서 말과 글쓰기로도 ‘나는 분명히 A+ 받을 거야’라고 적기 시작했다. 신기하게도 글로 적은 것들은 대부분 이루어졌다. 글쓰기 시각화는 램프의 마법 지니처럼 내가 원하고 바라는 대로 이끌어주는 끌어당김의 법칙을 도와주는 요정이 분명하다.
글쓰기의 시작은 아직 글쓰기가 두려웠던 나도 그냥 일단 무조건 적는 것부터가 시작이었다. 일단 그냥 적고 보는 것이다. 적다 보면 생각이 떠오르고 그 생각이 꼬리를 물어 글을 계속해서 적어나간다. 계속해서 적다 보면 뭔가가 되긴 되는 것 같다. 글쓰기는 매일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한 줄이라도 내가 느끼는 감정, 내가 생각하는 것, 영감받은 것들을 적는 것이 글쓰기의 향상과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가장 중요한 행동인 것 같다. 계속해서 꾸준히 글을 쓰는 사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