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런치 스토리
매거진
러시아 문학 독서회
실행
신고
라이킷
22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카카오톡공유
페이스북공유
트위터공유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장미
백석 번역의 뿌쉬긴 시집에서
by
김양훈
Mar 03. 2024
나의 동무여,
우리의 장미¹는 어나곳?
생명의 아이
장미는 시들다.
허나 말하진 말라.
청춘도 이렇게 시들리라고ㄴ²!
말하진 말라.
삶의 희열도 이러리라고ㄴ²⁻¹!
꽃 보고 이야기하라,
잘가라, 나는 서러워!
그리고 우리에게
나리꽃³을 가리켜라. (1815년, 15세)
[註]
■장미¹-장미는 한순간의 기쁨을 상징한다.
■시들리라고ㄴ²=시들리라곤
■이러리라고ㄴ²⁻¹=이러리라곤
■나리꽃³-나리꽃은 순결함을 상징한다.
※초기에 푸시킨은 리체이 시절 친구들을 노래했다. 이후 장미에 대해서 노래를 많이 했다. 특히 <겨울>이라는 시에서는 장미를 러시아의 처녀로 비유했다. 1947년도 중국 상해판 「보희금문집(普希金文集)」에서는 시 제목 <장미>를 <매괴(玫瑰)>로 번역했다. 매괴는 장미나 붉은색을 띤 돌 즉 석영을 의미하는 말이거나 또는 해당화를 의미하는 말이기도 하다.
*보희금(普希金·pǔxījīn)은
외래어
푸시킨에 대한
중국
어 표기임.
푸시킨의 아내가 된 나탈리아 니콜라예브나 곤차로바
keyword
장미
백석
푸시킨
22
댓글
댓글
0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작가에게 첫 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브런치에 로그인하고 댓글을 입력해보세요!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
브런치스토리 작가로 데뷔하세요.
진솔한 에세이부터 업계 전문 지식까지,
당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선보이세요.
브런치스토리로 제안받는 새로운 기회
다양한 프로젝트와 파트너를 통해
작가님의 작품이 책·강연 등으로 확장됩니다.
글로 만나는 작가의 경험
작가를 구독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
당신에게 영감을 주는 작품을 추천합니다.
이전
1
2
3
다음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내 브런치스토리 찾기
내 브런치스토리의 카카오계정을 모르겠어요
페이스북·트위터로만 로그인 했었나요?
로그인 관련 상세 도움말
창 닫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
작가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작가의 글을 더 이상 구독하지 않고,
새 글 알림도 받아볼 수 없습니다.
계속 구독하기
구독 취소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