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안 Mar 06. 2023

동지팥죽



   눈이다. 붉은 팥죽에 사뿐사뿐 내려앉는 새알심이 함박눈이다. 아궁이 불에 동지팥죽 뭉근히 끓어 복닥대면 뜨끈한 구들방에서 기다리는 마음도 덩달아 복닥댄다. 모락모락 피어나는 굴뚝연기처럼 두런두런 이야기꽃 피어나고 동지팥죽 한 그릇에 가슴까지 포근해진다. 소복이 쌓인 눈마저 온기가 느껴지던 동짓날 고드름처럼 찬 동치미 한 모금에 비로소 겨울을 느낀다. 

   걸쭉한 팥죽맛 같이 가슴 툭툭해지는 고향집 동짓날의 풍경이다. 동지가 가까워오면 마치 기억된 오랜 통증처럼 그 정서가 그리워진다. 추억에 몸살이라도 나는 날이면 길 잃은 아이처럼 시장골목을 헤매다 새알심팥죽 앞에서 발길을 멈춘다. 듬성듬성 묻혀있는 새알심을 먹으며 쫀득쫀득한 추억을 건져 올린다. 

   동지팥죽의 꽃은 새알심이다. 치대어 둔 찹쌀반죽을 가운데 놓고 온 식구 둘러앉아 새알심을 빚는다. 노련한 어머니의 손끝에서 몽글몽글 흰 눈송이가 피어난다. 고사리손으로 어머니 속도를 따라잡으려다 새알심이 일그러져 엉망이다. 멀찌감치 앉아 구경만 하시던 아버지는 동네잔치를 하고도 남겠다는 우스갯소리를 간간히 되풀이 하신다. 새알심 백여 개면 부모님 나이를 합하고도 남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어머니 홀로 그 세월을 채워가고 있다. 

   동짓날 옹기종기 모여앉아 새알심 빚는 추억이 드문드문해졌다. 편리하고 좋아진 세월은 시절음식의 특별한 의미를 희석시킨다. 산골의 유년시절에는 동짓날에나 구경할 수 있었던 동지팥죽이 지금은 즉석요리 형태로 연중 내내 볼 수 있다. 손만 뻗으면 웬만한 것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세상이지만 정녕 그리운 것은 시절음식의 정취다. 

   동지팥죽은 정이다. 서로 마음을 나누는 징표처럼 동짓날이면 가까운 이웃끼리 동지팥죽 한 그릇씩 나눠먹던 시절이 있었다. 팥죽 쑬 기운도 없이 홀로 사시는 이웃할머니는 팥죽 한 그릇에도 고맙다는 인사를 연신 하신다. 살강 위 그릇도 얼어붙는 썰렁한 부엌에서 큰 양푼에 팥죽을 옮겨 담는다. 빈 그릇으로 돌려주는 것이 겸연쩍은 할머니는 머리를 쓰다듬어주는 것으로 마음을 대신하셨다. 동지팥죽에 넘쳐나는 새알심만큼이나 이웃 간의 정도 깊었다. 

   동지팥죽의 토속적 정취는 액운을 막는 의미에 있다. 어머니는 집안 곳곳에 팥죽을 흩뿌리는 액막이를 계속 이어오셨다. 대문을 시작으로 곳간과 부엌을 지나 우물가 장독대를 돌아 소 우리와 측간까지 빼놓지 않으신다. 발길 멈추는 곳마다 나지막한 목소리로 집안의 안녕을 비는 고삿말을 올린다. 올망졸망 새알심 같은 자식들 걱정에 어머니는 그 세월 얼마나 손을 많이 비비며 애태웠을까. 동지팥죽 새알심은 세월 한 점 기도 한 점이다. 수십 년을 들어도 똑같이 따라할 수 없는 그 고삿말은 어머니 마음으로 빚어내는 어머니만의 주술언어다. 

   그 겨울의 동짓날이 떠오른다. 시골집이 아닌 외지에서 맞이한 동짓날 분위기는 가족 모두에게 낯설었다. 아버지 간호에 몸이 묶인 어머니를 대신해 딸들이 쑨 팥죽으로 동지 기분을 내본다. 어디에 있든 어머니에게 동지팥죽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액막이다. 병실 문 입구에 팥죽을 조금 덜어다 뿌리신다. 어쩌면 삶과 죽음의 문턱과도 같은 병실 문 앞에서 어머니는 유난히 오래 서계신다. 붉은 팥죽보다 더 불그죽죽한 얼굴로 돌아서는 어머니의 눈가가 젖어있다. 창가에는 새알심 같은 눈이 내리고 있었다. 

   음(陰)의 정점에서 다시 양(陽)으로 나아가는 동지의 섭리처럼 저무는 생에도 다시 봄기운이 돋아나리라 믿고 싶었다. 어머니도 내심 새로운 기운이 있다고 믿는 듯이 싫다는 아버지께 자꾸 팥죽을 권하신다. 새알심 하나도 제대로 삼킬 수 없어 묽은 팥물만 겨우 몇 숟갈 드시는가 싶더니 아버지는 도로 그릇을 내미신다. 드시다 만 팥죽을 창가에 두니 틈새바람에 금세 싸늘해진다. 새알심 백 개까지는 거뜬하리라는 아버지의 삶의 의지도 그렇게 식어갔다. 

   지나간 모든 것들은 새알심을 닮아간다. 흰 눈 한 움큼 떼어다 눈사람을 만들듯 동글동글 빚노라면 문득 오래전 일들이 섬광처럼 스친다. 누워계시던 아버지에게 뜨끈한 팥죽처럼 따뜻한 말 한 마디 제대로 해드리지 못한 후회가 명치끝을 찌른다. 손바닥에 들러붙는 찹쌀반죽처럼 회한의 기억들이 덕지덕지 머릿속을 맴돈다. 새알심 빚는 손이 약손이다. 동짓날 수없이 원을 그리는 행위에서 아픈 기억 둥글둥글 빚어가는 주문을 걸었다. 

   온 가족 모여앉아 이야기꽃 피어나고 아버지의 빈자리는 어린 손자가 채운다. 고사리손으로 찹쌀반죽을 덜어다 뭉뚱그린다. 앙증맞은 새알심 세 개가 예쁜 눈꽃송이 같다. 화룡점정 같은 새알심을 팥죽에 퐁당퐁당 흩뿌리자마자 눌어붙을 새라 어머니는 긴 나무주걱으로 휘젓는다. 용암이 분출하는 듯 끓어오르면 얼추 익은 새알심이 동동 떠오르고 옹기종기 둘러앉은 가족들 얼굴에도 웃음꽃이 핀다. 

   동지팥죽은 부모님의 삶의 체취에 눅눅한 흙내음 묻어나는 고향집에서 먹어야 제 맛이다. 마당에서 뒤꼍까지 곳곳에 뿌려둔 붉은 팥죽조차도 객지의 마음 허한 자식들에게는 위안이 된다. 그 고향정취가 동지팥죽에 가장 잘 맞는 간간한 간이다. 

   해마다 동지팥죽은 어머니 고삿말이 곁들어지는 고향집에서 먹고 싶다. 하얀 새알심 같은 함박눈을 보며 동글동글 추억을 빚으며.         


이전 13화 염색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