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멋짐멋짐 Mar 24. 2023

주식 부동산 스태그플레이션 투자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면서 투자자들은 기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당시에 투자방법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경제라는 것이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다 보니 기존에 발생했을 때와는 다른 상황이 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언제나 퇴로를 열어두고 투자하는 마인드가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너무 좌절할 필요가 없는 것이 일단 스태그플레이션에 진입한다면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함께 온다는 점에서 부정적이긴 하나 투자는 이러한 위기 속에서 오히려 기회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잘 고민해 보시면 오히려 평소보다 높은 수익률을 가져올 수도 잇기 때문에 평소에 공부해 두시고 준비하시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로 국민소득이 감소하는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보통 경기가 좋아지면 사람들은 호주머니 사정이 좋아져서 소비를 늘리게 되므로 물가가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호주머니 사정이 나빠져서 지출을 줄여 물가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금융당국은 물가가 오르면 시중에서 돈을 거두어들이고 이자를 올리는 등의 물가를 잡기 위한 행위를 하게 되며 반대로 경기가 침체되면 시중에 돈을 풀고 금리를 인하하게 됩니다. 그러나 경기가 침체하고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닥치면 이런 처방이 효과가 없어지게 되는데 정부가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해도 실업은 줄어들겠지만 물가는 더욱 불안해지기 때문에 도움이 안 됩니다. 결과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상승하므로 국민들의 경제적 고통은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 주식 부동산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시 투자

일반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해법으로 금리 인상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은행주나 보험주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 이겠지만 금리가 상승하면 은행이나 보험사의 이익이 늘어나면서 주가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종목들이 주목받을 가능성도 높은데 왜냐하면 화폐의 실질가치는 떨어지는 반면 해당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실물자산의 가치는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1970년대 오일쇼크 당시를 돌이켜볼 때 금이 최고의 투자처가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1970년 1차 오일쇼크 이전에 온스당 30달러대였던 금 시세는 1980년에는 800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는데 이때 금이 안전자산으로 가치가 급부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최근 금이 차지하고 있던 안전자산의 위상을 대체하고 있는 만큼, 스태그플레이션이 장기화되면 가상화폐 역시 급등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시대에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기 때문에 현물 투자 역시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장지수증권(ETN)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ETN은 증권사가 발행하는 파생상품으로 금, 은, 원유, 천연가스, 원자재, 농산물, 환율,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스태그플레이션 시대에는 부동산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 시기에는 물가상승, 금리인상에 이어 경기하강과 소득감소에 따른 자산 디플레이션(가격하락)의 공포가 엄습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급매물을 사더라도 가격의 추가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하고, 환금성 높은 상품과 고정적 임대수익이 나오는 수익형 상품을 선별 매수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스태그플레이션 관련주     

전문가들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대안으로 안전자산 등이 부각될 수 있겠지만 원자재의 가격 상승분을 상품가격에 전가할 수 있는 원자재주도 일정 부분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앞서 설명드렸듯이 일반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해법으로 금리 인상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은행주나 보험주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찾아보면 의외로 관련주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몇 개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은행 보험 관련주에는 KB금융, 우리 금융지주, 신한지주, 삼성생명, 삼성화재, 현대해상등이 있으며 원자재 관련주로는 LS, 포스코, 무림페이퍼 등이 있습니다그리고 골드만삭스는 최근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주식 수익률도 결국 마이너스를 기록한다고 분석했으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총 41개 분기가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 놓였는데 이 시기의 주식 수익률은 연 -2.1%였다고 합니다. 이는 인플레이션만 나타난 기간보다 좋지 않은 수치이며 업종별로는 에너지, 헬스케어 주식이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수익을 창출했는데 이는 경기에 민감하지 않은 필수재이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전 06화 신혼부부 필수 아이템 스텔스 통장을 아시나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