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갈렙 Nov 09. 2023

글 쓰는 사람

초보 브런치 작가의 이런저런 생각과 고민


‘글 쓰는 사람’이라는 말의 무게



 요즘은 어디 가서 무슨 일을 하냐는 질문을 받으면, 뻔뻔하게도(?) 글을 쓰고 있다고 답한다. (사실 말하면서 귀가 빨개진다.) 그러면 보통의 반응은 ‘오오’, ‘멋지시네요’ 이렇다. 심지어 ’맞춤법 좀 봐주실 수 있나요?’ 하시는 분도 있었다.

 글을 쓴다는 게 참으로 ‘있어 보이는’ 일이다. 나는 정말 말 그대로 글을 쓰고 있을 뿐인데... 이게 다 나보다 앞서 글을 쓰셨고, 또 쓰고 계신 분들이 만들어놓으신 대단함 덕분이다. 그래서 글을 쓴다고 말하는 건 한편으로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일이다. 왠지 그 선배님들처럼 나 또한 지적이어야 할 것 같고, 논리적이어야만 할 것 같은 부담감이 있다. 나만 느끼는 건지 모르겠지만.



내 글에 만족할 수 있는 순간이 올까?



 아직까지는 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게 부끄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래서 브런치 링크를 달라고 했음에도 부끄러워서 주지 않은 적도 있다. 바보처럼.) 물론 글을 읽은 후 긍정적인 피드백이 오면 정말 그 순간만큼은 세상을 다 가지게 된 것처럼 좋다. 하지만 글을 보여줌으로써 혹시라도 다른 사람들이 내게, 나의 글에 실망할지도 모른다는 게 지금은 좀 더 두렵게 느껴진다. 이것은 즉, 지금 시점에서 내가 내 글에 완벽하게 만족하지 못하고 당당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자신감이 부족한 것이다.

 그러면서 또 한편으로는 이런 생각을 한다. ‘작가로서 내가 내 글에 완벽하게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날이 올까?’ 하는.

 어쩌면 글을 쓰면서는 ’평생 동안 완벽하게 만족할 수는 없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다른 작가님들도 좋은 글을 써놓고도 더 수정할 부분은 있는지, 이러한 내용이 들어가면 더 좋을지, 혹은 반대로 이 내용은 빠지는 게 흐름이 매끄러울지 등등 끊임없이 고민하고 수정하며 타의든 자의든 정해놓은 마감기한까지 고민을 하다가  ’그래. 이 정도면 나쁘지는 않다.’는 생각을 근거로 마감을 하지는 않을까.

 대작가님들이나 작가 선배님들께서는 어떤지, 추후에 만나 뵐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꼭 여쭤보고 싶다. ‘정말 내 글에 자신감을 갖고 다른 사람들에게 내 글을 보여주는 게 부끄럽지 않은 시점이 오는지, 올 수 있는 것인지.’



생각을 놓치는 게 무섭다.



 글을 쓰며 생긴 습관이 있다. 어떤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면(‘명탐정 코난‘에서 생각이 촥 스쳐 지나가는 것처럼) 바로 메모 앱을 켜서 메모장에 기록하는 것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너무나도 멋진 습관으로 보이지만, 막상 그 이면에 있는 이유는 마냥 멋있지만은 않다.

 ‘이 생각들을 놓치는 게 무서워서’ 기록한다. ’떠오르는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정리해서 새로운 기획에 활용해 좋은 작품을 만들어야겠다.‘라는 누구나 봐도 멋진 이유면 좋으련만, 나는 지금 떠오르는 생각들이 다시 나에게 와주지 않을까 봐, 그게 두렵고 한편으론 무서워서 그 생각들을 내 메모장에 잡아두고 싶어서 허겁지겁 메모 앱을 켠다.

 머릿속 생각들, 문장들을 메모장에 옮겨 적은 후에야 크게 숨을 내쉰다. 생각이 떠오르면 그걸 텍스트로 옮겨 적기 전에는 무슨 큰일이 난 것처럼 숨을 잠깐 멈추고 빠르게 손가락을 움직인다. 그리고 마치 오늘 할 일을 다 끝낸 것처럼 뿌듯하게 메모장을 바라본다. 이 생각과 문장들이 또 다른 아이디어로 내 안에서 태어나기를 기대하며.



나만의 색



 글을 좀 더 잘 쓰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글을 쓰기 위해 글쓰기 수업을 들어야 할지 고민하는 중에 있다. 글쓰기가 나의 일이라면,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들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망설이고 있는 이유가 있다. 그 이유는 바로 글쓰기 수업을 통해 ’나만의 고유한 글맛이 희석되면 어떡하지?‘라는 혼자만의 괜한 걱정과 착각과 핑계가 결합된 것이다.

 글을 아직 많이 써보지 않은 만큼 나만의 스타일이 잡혀있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를 수업을 통해 잡아가면 좋을 것 같으면서도, 반대로 많이 써보지 않았기에 말랑말랑해서 만지기 좋은 상태인 나만의 글쓰기를 소위 ‘잘 나가는 글’의 형식으로 정형화시키고 싶지 않다는 약간은 재수 없는 생각이 있다. 정형화된다면 나만의 색이 옅어지기 때문이다.


이 배우는 연기를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아서 나오는 다른 배우들과는 차별화된 아주 색다른 매력이 있어요.


 영화나 드라마 감독님들의 이런 인터뷰도 종종 볼 수 있지 않은가. 아무래도 내겐 아직까지 이렇게 ‘특별함‘을 지닌 글 쓰는 사람이 되고 싶은, 천재가 되고 싶은 열망이 남아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나의 개성을 잃지 않으면서 실력을 키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한 방법이 있을까?‘라는 질문은 항상 던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고민과 노력 또한 지속적으로 해나가게 될 것이다. 어찌 보면 가장 중요한 공부를 말이다.



‘글 쓰는 사람’이라는 정체성



 글을 쓰면서 이전에는 하지 않았던 생각과 고민들을 하게 된다. 그 시간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 때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는 ‘글을 쓰는 사람이기에’ 이러한 생각과 고민들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고 마땅히 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글에 대해서 생각하고 고민하는 나 자신이 멋지다고 생각한다. (이 정도의 자아도취면 심각한 수준이다.)

 ‘글 쓰는 사람’이라는 정체성. 너무나도 멋지다. 그리고 내가 이것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 자체에 감사하다. 그래서 더욱 이 정체성에 어울리는 사람이 될 것이다. 어디 가서 누가 무슨 일을 하냐고 물었을 때, 지금보다 더 뻔뻔하면서도 당당하게 ‘글을 쓰고 있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도록. 귀가 빨개지지 않으며.


 

이전 01화 난 브런치 작가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