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의 외형만 보면 거실은 둘러싸인 방으로부터 시선을 점유 당한 것처럼 보인다. 거실이 집의 중앙에 위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퍼지듯 방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 거실과 방이 투명한 창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불투명한 벽으로 단절되어 있어 거실은 결코 시선의 권력을 잃지 않는다. 오히려 방에 있는 사람이 집 내 어디론가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실을 거쳐야 한다는 점은 거실이 지닌 시선의 독점적 특성을 드러낸다. 말하자면 거실에 자리한 사람은 그곳을 드나드는 사람들을 전부 감시할 수 있는 특별한 지위에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거실이 가부장의 공간이 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우리 집은 보통의 집과는 달리 기이한 고립성을 지니고 있다. 아버지는 항상 거실에서 TV를 보고, 어머니는 안방에서 TV를 보거나 핸드폰 게임을 한다. 형과 나는 각자의 방에서 거의 나오질 않는다. 아버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부엌을 가거나, 화장실을 가거나, 현관문을 나서는 등 집 내 이동에 관한 한 아버지를 지나치지 않고서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이것만큼 아버지가 시선의 권력을 쥔 가부장이라는 사실을 드러내는 분명한 진실은 없다. 특히, 과거에는 아버지의 담배 연기가 이러한 권력의 특성을 한층 더 강화시켰었다. 아버지는 담배를 즐겨 피웠었는데, 거실에서 생성된 담배 연기는 그곳에 머물지 않고 각각의 방과 부엌, 베란다까지 구석구석 퍼졌다. 그뿐만 아니라 거실에서 들려오는 TV 소리와 기타 소리는 심지어 집 밖 복도까지 들릴 정도다. 한마디로 거실은 집 전체를 감시하는 동시에 그것에 물리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절대 권력의 산실인 셈이다.
그래서 거실은 파놉티콘의 감시탑을 연상시킨다. 시선의 권력을 쥐고 있다는 점은 말할 것도 없고, 감시탑에서 개별적인 수감소를 향해 비추는 빛은 마치 위에 기술한 담배 연기와 TV 소리, 기타 소리와 유사하다. 요컨대 거실은 관리자의 공간으로, 나머지 방은 피관리자의 공간으로 고착된다. 이러한 거실의 특성은 심지어 가부장에게 무의식적인 영향을 주어 암묵적으로 가정에 대한 독점권을 더 심화하고 부추기는 것 같다. 실제 나의 아버지는 거실을 자신의 공간으로 점유하면서 본인의 물건을 그곳에 쌓아두기 시작했다. 그리고 때로는 수면의 공간으로,때로는 기타 연주와 운동을 즐기는 여가의 공간으로 만들어 버렸다. 가족 구성원 모두의 공유지인 거실이 한 사람의 개별 방처럼 변모해버린 것이다. 갈수록 그 정도는 심해져 어느 순간부터 우리 집 거실은 아버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원들의 흔적은 도저히 발견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그런 연유로 나는 어떤 가정의 화목함을 추정할 때 거실을 누가 얼마큼 점유하고 있는지 따진다. 거실의 독재자 유무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평등 수준은 달라지며, 그에 따라 가정 평화의 균열 정도가 결정된다.만일 가부장의 존재가 표면적인 갈등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고 하여도 가부장과 통치받는 주변 인물이라는 도식이 유지되는 한 가족 구성원 간의 불평등은 은밀히 축조될 수밖에 없다. 무의식의 영역에서 우리는 거실의 독재자를 가정의 통치자로 인정하며, 자신의 권리를 얼마간 양도하는 데 자연스레 동의하게 된다. 말하자면 거실은 <라이온 킹>에서 모든 동물이 우러러보는, 사자 무리가 기세를 펼치던 절벽 위 공간을 은밀하게 변형시켜 놓은 곳이다. 차이가 있다면 <라이온 킹>의 절벽은 때로 권력 투쟁의 장이 되기도 하지만, 거실은 이미 끝난 권력 투쟁의 결과를 기한 없이 존속시킨다는 점이다. 그러니 거실은 독립된 방과 투명하게 연결되지 않는 한 악용될 수밖에 없다. 공간의 민주주의가 실현되지 않는다면 가부장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끝내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