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그린 Nov 15. 2024

죽을 사람 앞에서 죽겠다니..

고통이 눈치가 없었다.

아빠는 하루에도 3번씩 마약을 삼키면서 힘든 고통을 견뎠다.

마약보다 더 지독하고 고통스러운 통증 앞에서 아빠도 가족도 할 수 있는 건 없었다.

견뎌내거나 지켜보거나 기도하는 일이 전부였다.


머리 통이 터질 듯 아파서 눈알이 튀어나오고,

기침만 해도 피가 입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그 고통 누가 짐작이나 할 수 있을까.

아빠의 통증을 아무도 짐작도 할 수 없었다.  

짐작할 수 없기에 괜찮냐는 말도, 괜찮아질 거라는 말도 할 수 없었다.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고통을 감당하고 있는 아빠에게 엄마가 말했다.


“나도 지금 허리가 너무 아파서 아무것도 할 수 없어. 새벽부터 나가서 일하고 돌아와 아빠 간병하는 일이 힘들어”

 

 엄마는 평생 신경통과 허리디스크를 안고 살아왔다.

엄마의 일상이 얼마나 힘들었는지는 수십 년간 먹은 약봉투와 다녀간 병원비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었다.

그렇지만 엄마의 허리통증 또한 얼마나 불편하고 아픈지 그 고통을 짐작할 수는 없었다.

나는 아빠의 암투병도 엄마의 고질병도 온전히 알 수 없었다.


어느 날, 내 마음에 불편함이 스몄다. 가족들 모두 아빠의 남은 시간보다 자신의 고통에 더 힘겨워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누가 더 아픈지, 누구의 일상이 더 무너졌는지 우위를 가리기라도 하듯 온 가족이 표정으로 행동으로 내가 더 힘들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았다.


‘지금 하는 일이 너무 안 풀려서 죽겠어’

‘내 마음이 무너져 아픈 상황이라 옆에 있는 사람의 고통을 돌볼 수 없어’


우리들의 고통은 지나가는 것이지만, 아빠의 고통은 조만간 끝이 날 텐데 그때까지 조금만 참아 줄 수는 없었을까?

힘든 인생, 고난의 연속 가운데 우리의 일상은 늘 그렇듯 통증 한두 개쯤 않고 살아가지 않나?

삶이 끝이 보이는 고통 속에 있는 사람 앞에서만큼은 우리의 고통을 내려놓을 마음의 여유가 왜 없었을까?  


아빠가 암투병을 하는 동안 느꼈을 외로움과 서운함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린다.


자식이 잘 살고 있고 모두가 평안한 가운데 천청병력 같은 암선고를 받은 게 아니라

온 가족이 너도 나도 힘든 상황이었다.

각자의 터널 속 그 어딘가를 걷던 중 듣게 된 아빠의 시한부 소식에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

아픈 엄마와 사업이 망한 자식, 취업이 안 돼 힘든 자식, 사기를 당해 돈을 잃은 자식들 사이에서 아빠는 웃으며 남은 생을 즐기지 못했다.

우리보다 더 아픈 아빠를 먼저 챙기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게 더욱 무력하게 만들었다.


날 선 종이에 손가락만 베어도 물에 닿아 쓰릴까 신경 쓰이고, 안 쓰던 허리를 움직였다고 파스 한 장 붙이며 고통을 없애려는 게 인간 아니던가.  

아무리 작고 작은 아픔도 당사자에겐 일상을 마비시킬 수 있는 통증일 수 있지만 때로는 나의 고통보다 타인의 고통에 더 마음 쓸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할 거 같다.

마약으로도 견뎌내지 못한 아빠의 통증도 끝이 났듯, 바람 불면 사라질  우리의 통증도 언젠가 끝은 있는 법.

타인의 힘듦과 고통도 돌아보며  나의 통증을 이겨내며 살아가라는 아빠의 메시지를 가슴에 새겨본다.

이전 02화 아빠를 살 릴수 있는 병원은 없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