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한류를 어렴풋이 더듬다? 전주全州

  (한중 동일지명 현상설명서 3-6)

by 오해영 Feb 12. 2025

    

전주全州 지명의 원조는 어디일까?


세계 여러 지방에서 한류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사용되고 있다. 옛날 왕조시대에도 한류가 있었을까당시 우리는 한자문화권에서 속하여 중국의 문화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처지이었다. 그럼에도 우리의 문화가 중국에 영향을 미친 경우도 있지 않았을까?  


특히 통일신라 전성기의 문화는 동아시아의 최고봉이라 불릴 만 큰 매우 융성하였다혹시 우리의 지명문화도 중국에 진출하여 그곳에서 피어났을 수도 있다.


우리나라 전주는 예전부터 호남의 중추도시이며 문화의 도시로 인식되어 있다. 중국에도 전주가 있는데 중국 남쪽 지역인 광서자치구 계림시에 있는 관광도시이다. 이 두 지명의 연관성을 더듬어 보자.


전주 지명의 태어남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에는 소국 연맹체인 마한이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는데 이때 전주지역에 불사분사국(不斯濆邪國)이라는 소국이 있었다. 나중에 백제에 편입되었고 555년 위덕왕이 완산주라 명명하였으나 11년 후 폐지되고 백제는 망국으로 가버렸다. 


통일신라 전성기가 끝나갈 무렵인 757년 경덕왕이 전주라고 개명하였다. 이후 잠시 사라지기도 했으나 940년 고려시대에 전주 명칭이 되살아난다. 1018년 고려 현종시기 안남대도호부라고 하다가 1022년 전주목으로 승격하고 조선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중국의 전주는 진秦 왕조가 영릉현이라 했고 이어 한漢 왕조는 조양현과 영릉군으로 나눴다. 수隋왕조에서 상원湘源현으로 명명했다. 오대십국 시절인 939년 전주 이름이 세상에 나온다. 이후 전주는 행정의 격이 부침하나 전全 글자는 지명에 유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명의 유래를 보자. 한국의 전주에서 전全은 완完에서 왔는바 완은 우리말 온과 같은 뜻으로 온전하다 일백(一百)의 뜻으로 전부 또는 모두까지 의미가 확대된다. 그래서 완산군完山郡에서 완完을 의역해 전全이라고 한자화한 것이다.   

       

중국 전주의 유래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그 지역의 토속어인 천릉泉陵이라는 말을 유사한 음의 한자로 표기의 결과이며 무량수불로 받들어지던 고승 전진화상全眞和尙을 기리기 위해 전全자를 따온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또 오대십국 시대 남초왕 마치범이 전주라고 명명했는데  그는 전주지역의 토가 부족 수령과 동맹을 약속하는 삽혈의식을 맺고 전주지역 백성들이 민족자치를 시작하게 하였다. 남초왕은 이 지역을 풍속에 따라 통치하여 토가족의 존경을 받았으며 이 부족의 여자와 혼인도 하였다이런 과정을 통해 토가 부족은 분열을 종식하고 통일되었다


상산지湘山志에 남초왕 마희범이 전진全眞 화상의 이름을 본떠 본래 상원湘源이었던 지명을 전주全州로 개명한 기록이 있는데 상원이라 함은 사람들의 기질이 우아하고 활력이 넘치며 하는 일이 잘 잘 되고 재부가 넉넉할 것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생김새는 쌍둥이인데 관련이 없다?                

 

양 지역의 전주시내와 주변에 같은 지명이 여럿 있다. 금산사金山寺, 기린산, 완산, 태평 등으로 이들 지명의 유래와 의미도 두 곳 다 비슷하다. 중국 완산의 이전 이름이 발우산鉢盂山인데 한국 전주의 경우 승암산 자락에 발산鉢山이 있다. 둘 다 스님의 바리때를 의미한다.       


전주에는 여러 지역의 사람들이 어울려 살고 있다. 우리 전주는 900년 견훤이 후백제의 도읍지로 삼은 후 상주와 문경 지역 주민을 자발적으로 이주시켰으며 경애왕 살해 후 경주주민을 강제로 이주시켜 살게 하였다. 중국 전주도 한족에게 쫓겨온 묘족이 다수이며 기타 다른 소수민족도 함께 살고 있다.     


전주객사의 이름이 풍패지관인데 명나라 사신 주지번이 쓴 글이며 관우를 신으로 모신 관성묘도 있다. 

중국 전주에도 상산사湘山寺에도 고려 충렬왕이 여러 물건을 보내 시주했다. 


또한 중국 전주지역의 음식도 김치 장아찌 등 우리와 비슷한 발효 식품을 즐겨 먹는다고 한다. 또 우리가 과거에 썼던 절구 맷돌 외다리 방아를 사용하고 솟대 신앙 등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후백제가 936년에 멸망하였는데, 공교롭게도 중국 전주가 그 직후에 등장한다. 여기에 1919년에 설립된 전주고등학교는 전북 전주고와 같은 해 같은 이름으로 만들어진 학교 이름이다.    


그럼에도 한국 전주와 중국 전주 간에 역사적 문화적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 혹시 기록으로 전하지 않는 숨겨진 이야기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전全은 뜻은 많이 모인 구슬 중에서 가장 순수하고 빼어난 구슬을 의미하는데 두 도시의 역할이 글자 뜻을 닮았다.  

      


전주 지명과 옛적 한류 단초 더듬기?


우리 전주 지명의 명명은 중국의 경우 보다 한참 빠르다. 중국이 전주라는 이름을 쓴 것은 939년으로 신라 때인 757년 전주라는 지명을 처음 쓴 것보다 180여 년 뒤다. 후백제가 936년 멸망하고 3년이 지난 뒤다. 

   

완산의 경우 명나라 때 붙여진 것이며, 한국은 그 훨씬 이전의 일이다. 중국 금산사는 명나라말 청나라초에 건립된 사찰이며 한국 금산사는 그 연원이 삼국시대까지 올라간다.    

  

한중의 동일지명을 살펴보면 대부분 중국에서 먼저 시작되어 한국의 지명은 중국의 지명을 가져다 썼다고 하는데 전주는 한국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한국 전주는 적어도 중국 전주의 지명을 가져다 쓴 것이 아니다.  매우 드문 사례이다.     


이런 닮음을 고려하여 양지역의 지방행정 단체 간 역사 문화 관광 스포츠 등 여러 분야에서 우호교류를 하고 있다.                          

이전 25화 지명이 그린 삶의 무늬가 닮은 진주晋州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