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게 왜 이런 시련을 주시나요
1월 1일 자 인사발령문이 공지사항에 게시되고 주말 저녁이었다. 나는 부면장이 더이상 아니다. 홀가분한 마음으로 가족들과 저녁을 먹고 있었다.
나는 즐거운 마음으로 출근을 했는데 사무실 분위기가 좋지 않다. 새로운 부면장도 나와 비슷하게 사람들 앞에 서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면에서 제일 큰 행사인 주민과의 대화가 1월 중순 이후 있는데 벌써부터 사회 보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회의의 진행은 주민들 대상으로 하니 어떻게든 하겠는데, 시장님 오는 행사는 부담이 된다면서 나에게 부탁을 한다.
나는 눈물이 났다. 회의 진행을 위해 스피치 학원을 다녔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타인에게 이야기했다. 그도 놀란 눈치다. 나는 그 자리에서 확답을 하지 못했다. 집으로 돌아와서 남편과 이야기를 나눴고, 남편은 너도 못하는데 누구를 대신하냐며 화를 냈다.
그렇게 시간이 조금 흐르고 새로운 부면장은 휴직 이야기를 했다. 심리적으로 너무 불안하고 그것이 가정내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었다. 만약 부면장이 휴직을 하면 나는 나의 새 업무 적응도 해야 하고 부면장 대행도 해야 한다. 인사팀에서는 당장 자리를 채워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보다 더 말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구나 싶었고 이 상황이 너무 싫었다.
내가 옆에서 도와줄 테니 휴직하지 말고 다니라고 그를 설득한다. 1월 중순의 중요한 행사 사회는 일단 변동 없이 부면장이 보기로 한다. 나는 혹시 모르니, 몰래 집에서 연습한다. 행사일이 다가오고, 결국 부면장은 면장님께 말해서 사회는 내가 보기로 한다.
못하는 것을 못한다고 말하는 것도 용기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나는 나보다 더 말을 못 하는 부면장 대신 사회를 보았다. 이번에도 많은 연습과 청심환의 힘을 빌렸다. 그 이후로도 나는 부면장 대신 여러번 사회를 보았고, 그때마다 여전히 긴장하고 떨린다.
그렇게 나는 부면장 자리에 한 다리 걸치고 여전히 출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