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무경 May 20. 2024

예지적 정조인 숭엄(崇嚴)

성(聖)스러운 정조

숭엄(崇嚴)의 뜻

숭엄은 숭고함과 엄숙함의 복합적인 심정으로 초월적인 존재인 예지계를 이상으로 삼고 초월적 존재*인 신[神 • 한울 • 하느님 • 일자]를 향한 이성적 피조물로서의 인간이 지니는 영적 의식에 따르는 정조로 대부분은 종교적인 믿음[신앙]에서 일어난다.


*여기서는 그 대표적인 이름으로 신(神)이라 부를 것임  

   

신비(神祕) •  숭고(崇高) • 경건(敬虔) • 사랑[자애(慈愛)  • 자비(慈悲)]     

종교적 정조의 대상들, 대개가 절대자나 이미 고인이 된 성현들을 접할 수는 없으므로 종교적 이념을 지닌 사람들이 종교적 성지를 가 본다거나 성지에 세워진 사찰이나 사원 • 교회 • 성당 등의 종교적 건물 의 안에 들어가 설치되어 있는 비품이나 집기 등을 접하거나, 또는 종교적 예술품, 기록물과 신도들의 집회 등의 분위기로 인한 자극을 접하지 않으면 정조적인 반응을 나타내기 쉽지 않다. 


또 그러한 계기가 되는 사물이나 종교, 신자마다 감회가 다르기에 일의적으로 기술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종교적 정조의 설명은 다만 종교 일반에 관한 기술자(記述者)의 주관적인 상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칸트의 숭고가 그러하듯이 하늘이나 신에 관한 정조인 숭엄에는 절대자를 숭경하고 자기를 보호하고 지원해 주는 절대자의 매력에 다가가려는 긍정적 심정과 자기의 잘못에 대해 준엄하게 심판하는 공의에 대한 경애심과 경외심이라는 부정적?인 감정이 동시에 일어나는 소위 양면 감정이다.


신이나 하늘은 완전성 개념의 대상인 동시에 감정을 느끼는 당자의 운명을 좌우하는 절대자로서의 표상이 같이 떠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아마도 오토가 정립한 [누미노제]에 해당하는 감정일 것이다.   

   

성리적 정조인 숭엄의 정동인 [정엄(情嚴)]

정엄의 뜻

예지계는 객관적 세계가 아닌 주관적 의식에 의한 사유의 세계이다. 다만 이성의 가장 높은 이상에 관한 관념으로 이성의 모든 기능이 동원된 본질적 핵심이기에 중요하다. 숭엄의 의식은 예지계의 주체인 자아의 영혼이 예지계 최고의 존재인 신[神]에 관해 사유하는 데다가 예지적 의지와 예지적 감성을 주도적으로 통제하는 기능이어서 결국 예지계 자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 실체이다. 

    

예지계의 의식인 정엄의 유형

성스러움] 함부로 가까이할 수 없을 만큼 거룩하고 숭고하고 고결하다. 

[누미노제]: 독일의 신학자인 오토(Rudolf Otto, 1869~1937)가 사용한 용어로 순수하게 비합리적이고 종교적인 의미에서의 성스러움을 이르는 말. [국어사전] 1.종교 일반[국어사전] 1.종교 일반


오토는 누미노제에 관해 "두려움과 매혹이 동시에 전개되는 신비" 그리고 "전혀 다른 어떤 것"에 관한 느낌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피조물인 인간은 창조주 앞에서 자신이 얼마나 보잘것없는지 절감하면서 조물주의 절대성에 엄청난 두려움을 느껴 떨리는가 하면, 알 수 없는 매혹에 사로잡혀 다가가고 싶은 신비’(Mysterium tremendum et fascinosum)로운 양가적인 감정이다“ 라고 말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성과 속 [The Sacred and the Profane] - 성과 속의 범주로 본 인간, 호모 렐리기오수스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2006. 5. 22., 강정인, 고봉준, 고정갑희, 곽차섭, 김영건, 김영한, 민문홍, 박의경, 서병훈, 유원기, 이남석, 장석만, 정정훈, 최광렬, 황경식)   

  

신비(神祕): 보통 사람의 힘이나 지혜가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상상에 의해 의식의 영역을 뛰어넘어 절대자나 성현을 접하고 나타나는 신묘한 일이나 비밀을 알게 되어 놀라 느끼는 주관적인 정오(情悟).

---------------------------

 理性의 종교적 만족감: 理想과 理念에 따르는 예지적 세계의 우주적  숭고. 신비감. 경외심. 神性함

 인격 감정: 자존감 자부심 신뢰 자기 제시의 반응: 우월감과  열등감. 명예심과 치욕감./ 성공에 대한 기쁨과 실패에 관한 실 망감 낙망감과 절망감.에 관한 의미가 뚜렷할만큼 다르게 나뉘어 느껴지지는 않는다. 

----------------------------

거룩함매우 성스럽고 위대하다. [민중 국어사전] 거룩하다  

뜻이 매우 높고 위대하다. [유의어] 고결하다2, 고귀하다2, 귀중하다1. 자기의 운명을 좌우하는 절대자의 통제에 대한 공경과 두려우면서도 신비롭고 매혹적인 마음.

           

예지적 정신인 숭엄의 意志 [신앙]

①신앙의 뜻     

믿음신불의 주장이라고 생각되는 교훈과 교리에 관한 의혹 없는 확신. 

헌신심신을 던져 교리나 경전을 지키고 봉사함

 우럴어 믿음

 육바라밀의 실천   

  

예지적 정조인 숭엄의 정동인 [정성(情聖)]

정성의 뜻

위와 같은 전제에 따른 종교적 정조에 관한 정감을 나름대로 정리해 보겠다.

     

숭엄의 정취 정외(情畏

거룩한 존재로서의 성인이나 절대자에 관해 일어나는 성스러운 정취.

     

숭엄의 정동 정성(情聖

거룩한 존재로서의 성인이나 절대자에 대해 일어나는 성스러운 정동.


정성의 정감과 정애

[정감거룩한 존재로서의 성인이나 절대자에 관해 내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성스러운 감정.     

[정애거룩한 존재로서의 성인이나 절대자를 사유하거나 영접할 때에 그 대상에 대해 일어나는 성스러운 정동.  

   

긍정적 정애

다른 의식에 따르는 정동들도 마찬가지이지만 예지적 정조인 숭엄에서의 정감과 정애는 서로 비슷해서 구별하기 어렵다. 곧 자기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감정이 또한 대상에 대해서 일어나는 감정인 정애의 내용과 거의 같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경외(敬畏): 신을 공경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두려워하는 감정. 외경(畏敬).

인격적인 측면의 지덕이 가장 뛰어나 천하가 우러러 사표로 삼을 만큼 거룩함.

     

경건(敬虔): 자신이 믿는 절대자나 위인들의 성스러움에 관한 마음. 위인을 삼가 섬기려 할 때 일어나는 주관적 감정. 잡생각을 하거나 헤찰부리지 않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조심스럽고 엄숙하고 진실된 마음과 자세에서 우러나온다.

“인간의 삶과 문화 속에 있는 '근본적이고, 쉽게 식별이 되는 통합적 요소', 곧 유한한 것들을 통하여 그리고 그들 속에 모습을 드러내는 무한한 것에 대하여 전적으로 의존하는 감정.

*슐라이어마흐: http://www.kcm.kr/dic_view.php?nid=38918     


법열(法悅)

* 불교에서는 설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마음속에 일어나는 기쁨. 

 종교 전체로서는 자각 ∙ 설법 ∙ 또는 설교 ∙ 기도 등을 통해 참된 이치를 깨달았을 때에 느끼는 황홀한 기쁨.  

    

숭고감당할 수 없을만큼 위대한 대상을 높이 떠받들 때 마음 깊이 감동되어 일어나는 정조. 자연이 예지적 존재[하느님] 또는 적어도 이성적 존재라는 관념과 연결되지 않으면 자연에 대한 숭고감은 일어나지 않는다.


 롱기누스는 상대방을 "압도"하며 "도취"를 야기하는, 아울러 "순간" 같은 시간성의 양식을 취하는 말의 힘이라고 지적.*. 

*문학비평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30362&cid=60657&categoryId=60657     


 실러는 전율에까지 이르는 아픔과 환희에까지 이르는 기쁨이 혼합된 감정 [네이버 지식백과] 숭고와 이성능력 (칸트 『판단력 비판』 (해제), 2005., 김상현)

     

칸트는 감성적으로 크기를 평가함에 있어서 상상력이 이성에 의한 평가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에서 비롯하는 불쾌의 감정이며, 또 그와 동시에 이성 이념에 도달하려는 노력이 우리들에게 대하여 법칙인 한에 있어서 최대의 감성적 능력도 부적합하다는 바로 이 판단이 이성 이념들과는 일치하고 있다는 데에서 일깨워진 쾌의 감정이라고 지적했으며* 이것은 숭고에 관한 표준이 될 정도로 유명한 주장이다. 

    

③숭엄을 표현하는 예술

[문학] 신화를 비롯해 경전 • 전기 •  전설 • 소설과 시 • 금언  우화

[미술] 기독교에서의 성화(聖畫) 불교에서의 선화(禪畵)  종교의 사원 건축과 조각품인 성상 • 불상 등과             공예품 등이 있다. 

[음악] 기독교에서의 성가(聖歌) • 불교의 범패 • 유교에서의 문묘제례악

[무용]    


A사랑

A사랑의 뜻

의지적 존재에 대해 느끼는 숭엄의 정애인 무조건적 긍정의 정조.

대상인 의지적 존재를 아끼고 베풀어 주려는 따뜻한 감정. 특히 대상을 무조건적으로 긍정하여 공감해 주는 마음. 아가페. 

*자매서인 졸저 《사랑 이야기》 제5부 A 사랑 참조.     

     

②A사랑의 유형     

기독교의 아가페     

묵가의 겸애     

불교의 자비          

유가의 인         

                

③A사랑의 특성

A사랑:      

여러 종교나 인류에 대한 큰 가르침 ⸺[겸애(兼愛: 묵가)] [아가페(agapē: 기독교)] [인(仁: 유가)] [자비(慈悲: 불교)] 등⸺ 에서 강조하는 덕성으로써의 사랑 


                    



이전 07화 성리적 정동인 정조(情操)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