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인 09
안토니오 스트라디 바리 (1644 ~ 1737)
이 사람의 현악기 가격이 수 백억원이다. 박물관에 전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최고 연주가들이 연주를 하기 위해 악기를 빌리기 위해 대기줄을 서고 있다. 이 가문은 300년이 지난 지금까지, 호랑이 가죽 이상의 것을 남겼다.
스트라디 바리우스는 과르네리, 아마티와 함께 바이올린 3대 명기로 칭송받는다. 이탈리아 크레모나 지역의 현악기 스트라디 가문에서 만든 현악기를 지칭한다. 현존하는 제품은 바이올린, 첼로 등 약 800개다. 비싼 것은 수 백억원에 달해, 세계 정상급 연주자도 소장하지는 못한다.
연주할 때마다, 제품을 소장하고 있는 재단이나 은행에서 빌려 사용한다. 우리나라 정경화와 정명화 자매도, 이 브랜드 제품을 소유한 적이 있다.
왜 명품인가를 영국 BBC 다큐에서 분석했는데, 이 바이올린은 f형 구멍이 대칭에서 살짝 어긋나 있다고 한다. 시각적 완벽함 보다는 청각적인 완벽함을 추구했던 것이다. 이 제품들이 제작된 시기는 유럽의 소빙하기(1645~1750년)였다.
북크로아티아의 단풍나무는 더욱 추웠고, 나무의 촘촘한 나이테 덕분에 목재의 밀도 역시 높았다. 나무가 자라면서 겪은 진통이,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특수도금 등 다른 악기와의 차이는 아직 연구대상이라고 한다.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과학적으로 제작되는 현악기들의 성능과 스트라디 바리우스의 음의 큰 차이는 없다고 한다. 과학의 힘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제품의 소장자들이 들으면 자존심이 살짝 상할 법도 하겠다. 명품 악기로서 박물관에 전시되지 않고, 현존하는 최고의 연주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 악기는 분명 남다르다.
스트라디 가문의 마지막 장인 안토니오 스트라디 바리는 그 비법을 아들에게도 알려주지 않아, 제조비법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아들이 영국에 유학 당시, 유명 사립중학교에 첼로 장학생으로 지원했던 적이 있다. 한국에서 배우던 악기를 들고 갔는데, 입학시험을 진행하던 선생이 악기를 바꿀 생각이 없는 지를 물었다고 했다. 아들, 미안해! 나중에 아빠가 첼로 소장품이라도 하나 사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