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지그린 Apr 24. 2024

눈물바다

슬픔과 이별하기 위한 나만의 의식 치르기

시간이 흘러 가만히 나의 아픔을 들여다본다. 20주 중기 유산으로 아기를 떠나보낸 일은 나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준 사건이었다. 그런데 어쩔 땐 그 일이 나의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을 만큼 슬픈 일이었냐며 스스로 되묻기도 한다. 이제는 이 슬픔에 대해 조금은 냉철한 시선을 가지게 된 게 분명하다. 슬픔에 까무러쳐 블로그에 쏟아낸 서툰 글들과 슬픔을 적나라하게 그렸던 그림들 그리고 다시 아픔 앞에 무릎 꿇고 모든 걸 내려놓았던 치유의 시간들. 정답인지 아닌지 알 수 없지만 그것은 분명 까꿍이에 대한 애도의 시간이었다. 

아 이만큼의 애도가 필요했던 슬픔이었구나.


슬픔을 떠나보내기 위한 의식을 진행하자.


나는 내가 나의 감정에 솔직하다고 느꼈을 때 '이제는 내가 괜찮구나'라고 깨달았다. 즐겁고 재밌는 순간에도 목구멍으로는 슬픔이 올라왔었다. 나는 그 감정을 억누르며 억지 미소를 짓곤 했었다. 하지만 이제는 즐거울 때 기쁨으로 충만하게 웃을 수 있고 슬플 때는 슬픔을 가득 표현할 수 있다. 내가 지금 슬프구나, 지금 기쁘구나라고 내 감정을 솔직하게 읽어낼 수 있다. 이 간단한 것이 참 어려웠다. 이제는 괜찮냐는 친구들의 질문에 거짓 없이 말할 수 있다. 내 마음이 많이 건강해졌다고. 몸과 마음이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으로 부족하다. 나에게는 뭔가의 의식이 필요하다. 슬픔과 이별하는 나만의 의식이 필요했다. 첫 번째는 휘갈겨 적어 놓은 블로그의 글들을 다시 정리하는 일이었다. 다시 그때의 일을 떠올리는 것이 힘들었지만 용기 내 나의 슬픔과 다시 마주했고 매주 수요일마다 이전에 적었던 글을 꺼내 먼지를 털고 예쁘게 정리를 했다. 서랍 속에 급하게 구겨 넣어 처박아 놓았던 아픔을 청소하는 시간. 1월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약 4개월간 매주 수요일마다 브런치에 글을 적고 있다.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애도의 시간이 아닐까. 


두 번째는 까꿍이를 위해 그림책을 만들기로 했다. 나의 마음을 가득 담아 아이에게 그림책을 선물해주고 싶었다. 아가를 떠나보내고 하루 종일 울던 날, 내 눈물이 바다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그 바다 위에서 까꿍이와 나는 함께 손을 잡고 물장구도 치고 바다도 바라봤다. 나는 그렇게 울면서 눈물바다라는 그림을 그렸었다. 



아가, 엄마의 첫 그림책은 널 위한 책이란다.


눈물바다라는 그림을 다시 제대로 그려보고 싶었었다. 원래는 민화를 배워 커다란 사이즈의 그림으로 그려보고 싶었는데 그것보다는 아가를 위한 작은 그림책을 만들기로 했다. 그림책을 만들기 위해서 그림책 수업을 수강했다. 매 수업마다 까꿍이에 대한 슬픔을 수면 위로 꺼내야 했기에 눈물을 흘리지 않은 날이 없었다. 그림책에 들어갈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고 책을 만들면서 나만의 이별 의식은 완성되고 있었다.


나의 첫 그림책을 까꿍이에게 선물할 수 있어 행복했다. 

매주 수요일마다 나의 슬픔을 덤덤하게 글로 정리할 수 있어 좋았다.

애도의 여정 중에 제일 마지막 단계는 새로운 나를 만나는 단계라고 한다.

슬픔과 이별하는 이 두 가지 의식을 치르고 나니

어쩌면 나도 이제 새로운 나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전 20화 퇴사를 하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