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부정적 감정의 달콤함-분노 편

by 무아상 Dec 31. 2024

  분노는 불쾌한 감정이지만 약간의 달콤함이 있다. 하나의 음식에도 매운맛, 단맛, 짠맛, 신맛, 고소한 맛 등 여러 맛이 있고, 그때그때 맛의 조합이 조금씩 달라지듯, 감정도 여러 맛이 섞여 있다. 분노에도 여러 감정이 있다. 

  습관적으로 분노하는 삶은 자신과 주위까지 불행하게 만든다. 그럼에도 만성적으로 되는 건 달콤함 때문이다. 분노 뒤에 숨은 달콤함은 작고 무의식적이라 중독되는 것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살다 보면 화를 내야 할 때도 있지만 '왜 화내는 것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화내는 일을 줄일 수 있다. 



  분노 속 달콤함에도 공통 요소와 약간씩 다른 요소들이 은밀하게 섞여 있다.

  분노의 배후에는 공포가 있다. 두려움이 있으면 불안하다. 큰 개보다 작은 개가 조그만 위협에도 불안하면서도 센 척 짖어댄다. 그렇게 짖고 있으면 누군가 와서 도와줄지도 모른다. 화를 내는 동안은 공포를 잊고 센 것 같은 달콤함이 있다.

  분노에는 자부심도 있다. 자신은 남보다 우월하고 상대는 답답하거나 도덕성이 부족한 인간이라는 입장이다.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상대가 틀리고 자신이 옳다는 달콤함이 있다. 

  때로는 자기가 희생한다는 자부심으로 받을 대가가 있다는 달콤한 기대를 한다. 그런데 받아야 할 것을 상대가 충족시켜 주지 않으면 화가 난다. 이는 상대를 사랑하고 배려해서 주었던 희생보다는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이다. 자기는 착한데 상대가 나빠서 보상받지 못한다는 자기 연민의 달콤함도 있다.

   분노하면 세상과 타인을 조정할 수 있다는 달콤함이 있다. 하지만 뜻대로 된다는 보장도 없고 된다고 해도 일시적이어서 결국 더 큰 역폭풍을 맞게 된다. 화를 내면 세상이나 타인을 맘대로 휘두르고 통제할 수 있다는 달콤함이 있다. 사랑과 주목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아 화를 못 내거나, 반대로 세상을 통제하고 주목받고 싶은 욕구가 커서 자기보다 약한 사람에게 지속적으로 화를 내기도 한다. 

  분노하는 동안 외롭지 않은 달콤함이 있다. 외로운 사람은 집단에서 공감받고 싶은 욕망이 있는데, 옳은 집단에 속한 달콤함을 갖기 위해 상대에게 공격적으로 행동한다. 그 집단과 반대 의견을 가진 상대에게 분노하며 '우리'의식을 강화하려 한다. 사회문제나 집단의식 까지는 좋은데 약자로 몰아세울 수 있는 상대에게 지나치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 중에 있다. 

  분노하는 동안은 불행에 대해 자신이 책임지지 않고 남 탓으로 돌릴 수 있다. 책임 전가는 일종의 의존이다.  상황을 수습하는 어려움을 회피하고 피해자라는 달콤한 자기 연민도 느낄 수 있다. 자기 연민은 달콤한 아픔이다. 자신이 잘못했다는 생각은 견디기 힘들다. 차라리 남이 잘못한 것이 홀가분하다. 불행을 극복하지 못하는 자기 무능감, 열등감을 남의 탓으로 돌리며 빚 받을 게 있다고 생각하고 자기는 착한 사람이 된다.

  분노하면 챙피를 면할 수 있다. 집단에서 챙피한 사실이 드러났을때 화를 내게된다. 당황스러움을 모면하고 싶어하는 마음이 크지만, 자기 정당성을 옹호하고 기가 죽지 않는 약간의 달콤함이 있다. (그렇다고 집단에서 챙피를 당한 사람이 항상 잘못이고 유치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고 생각해서는 않된다. 억울한 상황일 수 있다.)

  지나친 죄의식이나 자책도 잘못된 분노다. 분노를 억눌러 놓으면 상대에게 내야 할 화의 에너지를 자신에게 돌려 자학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무의식적으로 자기에게 불행한 사건을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자책하면서 한편 자기는 올바른 초자아를 가졌다는 달콤함과 자기 연민의 달콤함도 느낄 수 있다. (왜 자기 연민이 달콤한 부정적 감정인지는 다음 기회에 설명하겠다.)




  칼 융은 "무의식을 의식화하지 않으면 운명이 된다"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감정에 대해 이유를 안다고 생각하지만, 무의식적인 요소가 많다. 화가 나는 이유를 생각할 때도 표면적인 자기변명만 강화하고 그치는 경우가 많다. 무의식을 의식화할 필요가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감정과 상황은 복합적이다. 모든 분노가 불필요하다고 할 수 없고 하나로 설명할 수도 없다. 마음을 가라앉히고 한 차원 깊이 분노하는 이유를 정직하게 의식한다면  숨겨진 달콤함을 알 수 있고, 작은 달콤함을 포기하면 무분별한 분노로 인한 불행한 운명을 바꿀 수 있다. 

 이 글이 다른 사람을 지적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데 사용되길 바란다.


 


작가의 이전글 무능으로 절제하는 사랑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