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부조리극

2025. 3. 22

by 지홀 Mar 24. 2025

햇빛이 따스한 봄날, 그것도 주말은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 날이다. 그래서 같은 서울 하늘 아래여도 거주지와 생활반경을 벗어날 수 있어 즐거웠다. 남산 아래 피크닉(picknic)에 다녀왔다. 재미있는 전시를 많이 하는 곳인데 이번에 <희곡극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을 낭독하는 것으로 <양손 프로젝트>가 공연한다. 네 편의 희곡낭독을 모두 보고 싶었지만 시간 상 두 편만 보게 되었는데 오늘 그중 한편을 봤다. 


부조리극의 대표주자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두 번 보고 조금 이해했는데 역시 오늘 낭독한 <해피데이즈(Happy Days)>도 한 번 더 봐야 할 것 같다. 아니 낭독이 아니라 연극으로 봐야 더 이해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해피데이즈>는 2인극이지만 거의 1인극에 가깝다. 허리까지 파묻힌 여주인공의 상황은 불가항력적 상황에 놓인 사람을 상징한다.  흙에 파묻힌 채로 아침에 눈을 뜬 여주인공 '위니'는 어제보다 나빠지지 않은 상황을 감사하고 오늘도 행복한 날이 될 거라고 말한다.  언덕 아래 누워있는 남편 '윌리'에게 말을 걸고 혼잣말을 하며 일상의 루틴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아무리 낙천적으로 상황을 받아들이려고 해도 문득문득 불안하고 절망적인 마음이 싹트는 것을 막을 수 없다. 2막에서는 목까지 흙에 잠겨 눈만 껌뻑이게 된다. 사지를 쓸 수 없는 상황. 1막에서처럼 오늘도 행복한 날이 될 거라고 하지만 '위니'의 희망은 절망에 가까운 말이 된다. 


중간에 좀 졸았다. 고개가 내 의지와 상관없이 뒤로, 앞으로 확 젖혀졌다가 숙여졌다. 그때마다 깜짝 놀라 자세를 바로 하고 손을 움직이며 잠들지 않으려 했으나 어쩔 수 없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여주인공처럼. 잠이 서서히 깬 후 관람객의 표정을 둘러봤는데 나처럼 조는 사람이 몇 명 있어 안심했다. 장소가 공연장이 아니어서 방음이 잘 되지 않고 조명도 없었다. 실내조명을 활용했을 뿐. 그래서인지 음악이 나오는 것인지, 밖의 소리가 들어오는 것인지 처음에 헷갈렸다. 객석은 무대를 중심으로 둥그렇게 의자를 배치했는데 세어보니 50~60명이 되는 것 같았다. 적은 규모의 객석이 꽉 찼다. 아마도 <양손 프로젝트>의 공연을 믿고 보는 사람들 같았다. (나는 처음이다) 


관람 후 극을 온전히 다 이해하지 못했지만, 단순히 읽기만 한 낭독극이 아니라 배우의 표정과 대사톤을 연극처럼 그대로 보여주어 재미가 있었다. 신선한 체험이었다. 수요일에 사무엘 베케트의 <엔드게임>을 본다. 역시 <양손 프로젝트>의 낭독극이다. 토요일 낮 공연을 졸아서 수요일 저녁 공연을 졸지 않고 볼 수 있을지 걱정이다. 퇴근 후라 더 피곤할 수도 있기에. <엔드게임>역시 부조리극이다. 


인터넷으로 부조리극이 무엇인지 읽고 나니 요즘 사회 모습과 겹쳐져 이해된다. 방향과 탈출구를 잃은 작금의 사회 모습이.  부조리한 세상에 불확실성은 커지고 인간은 더 모순적이고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수 없다. 연극에 등장하는 인물이 각자의 서사를 배경으로 사건을 대하는 것만으로는 이 부조리한 사회를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부조리한 세상을 얘기하기에는 부조리극이 더 적합한 듯싶다.

 주말의 봄날씨는 어디론가 떠나고 싶게 만든다(12:11, 14:07, 14:08)
매거진의 이전글 연극 좋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