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uri Sep 26. 2024

"아무 생각 없는데요..."

  각반 회장, 부회장들과 학생자치회 임원들을 데리고 대의원회를 진행한 적이 있었습니다. 회장이 청중에게 의견을 내라고 말하는데 아무도 의견을 내지 않아 회의장에는 적막감만 흘렀습니다. 그때 한 용자가 당당하게 본인의 의견을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 자리에 앉아있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터무니없는 의견이라고 생각했는지 ‘너는 왜 그런 말도 안 되는 말을 하니?’라는 눈빛으로 그 아이를 쳐다보더군요. 그 뒤로는 학생들은 더더욱 아무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회의를 진행할 때 현실 가능성을 떠나서 본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라고 하는 편입니다. 그래도 의견을 말하지 않으면 한 명씩 마이크를 쥐어주며 본인의 의견을 말하게 합니다. 그러면 처음에는 쭈뼛쭈뼛하다가도 이내 자신의 생각을 또박또박 말합니다. 안 시켜서 그렇지 시키면 잘합니다. 의견이 없는 게 아니라 의견을 안내는 거더군요….


  학생들에게 “너는 꿈이 뭐니?”라고 물어보면 많은 아이들이 “저는 꿈이 없어요”, “뭘 해야 될지 모르겠어요…”라고 답합니다. 처음에는 그 말 그대로를 받아들여 본인들이 뭘 할지를 몰라서 그런 대답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진로 수업 시간에 최대한 직업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던져주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생각이 살짝 바뀌었습니다. 뭘 해야 할지 모르는 게 아니라, 하고 싶은 게 있는데 그걸 한다고 말하기에는 성적도, 능력도 안 되는 것 같아서 “모르겠다”라고 말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작년부터 작가가 돼보겠다고 열심히 소설도 쓰고 에세이도 써서 출판사에 투고를 했습니다. 결과는 예상하시는 데로 올반려를 받았습니다. 남편에게 이 이야기를 하니 “아직 네 이야기로 책을 내기에는 너무 어리다”, “재미없다” 등의 말을 들어 그 뒤로는 "더 이상 글 안 쓴다."라고 말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남편 몰래 글을 쓰고 있습니다.


  간혹 부모님 중에 자녀의 현재 상태는 생각하지 않고 이상을 강요하는 분이 계십니다. 하루는 학부모 상담을 하는데 "우리 아이는 과학고를 갈 거니까 선생님께서 누가 봐도 이 아이는 과학에 재능이 있는 아이구나 할 정도로 생기부를 써주세요"라고 요청했습니다. 제가 살펴본 그 아이는 공부를 못하는 것은 아니나 과학, 수학 과목의 성취도가 과학고에 진학할 정도로 좋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아이도 그 과목 공부를 좋아서 한다기보다는 엄마가 하라고 하니까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쉬는 시간에 교실에 조용히 그 아이를 살펴보면 친구들과 어울려서 놀기보다는 자리에 앉아 조용히 소설책을 읽는 아이였습니다.  


  아이가 아무 말 안 한다고 의견이 없는 게 아닙니다.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했을 때 주위 사람들이 자신에게 보일 반응이 싫어서 안 하는 것입니다.  

 "나 이번에 뭐 해볼 거야"라고 말하면 "니 주제에 너무 큰 꿈을 꾸는 거 아니야?'"라고 말하며 자라나는 새싹을 잘라버리거나, 반대로 "넌 할 수 있어. 엄마는 너 믿는다"라고 과도한 기대를 보여주며 아이가 그 기대에 짓눌리게 만드는 사람도 있습니다.


  혹시 아이가 다른 사람과는 말을 잘하는데 나랑만 말을 안 한다면 ‘내가 과도하게 아이의 의견에 태클을 걸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애들도 눈치가 있어서 말이 통할 것 같은 사람하고만 대화를 합니다. ‘소귀에 경 읽기’라고 말해봤자 들어주지 않고 본인말만 주야장천 하는 사람에게는 “네, 네”라고 대답만 할 뿐 어떤 의견도 제시하지 않습니다.


  저는 질문이 많고 의견이 많은 아이로 기르는 게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질문을 하고 의견을 많이 내게 하기 위해서는 내가 어떤 의견을 내더라도 타인으로부터 비판받지 않을 것이라는 안전감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교실이건 집이건 와글와글하며 자유롭게 수다 떨 수 있는 곳이 건강한 장소라고 생각합니다. 말이 안 되고 허무 맹랑한 의견도 잘 수정해서 수용가능 범위로 들어오게 만들어주는 게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돼”가 아니라 “현실적으로는 이런 게 힘드니까 이렇게 바꿔보면 어떨까?”라고 말하면서 아이의 생각과 의견을 다듬어주면 아이는 한 뼘 더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 것입니다.


  며칠 전 진로 수업 시간에 아이들에게 "요즘 청소년들은 어떤 게 고민일까?"라는 질문을 던졌는데 한 아이가 자신 있게 "엄마랑 대화가 안 통하는 거요"라고 대답하더군요.

 아이들은 꿈은 많지만 경험치가 적어 실현 가능성을 잘 가늠하지 못합니다. 돈키호테 같다고 할까요… 그래도 세상은 돈키호테가 있기 때문에 변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산초 판사만 있으면 세상이 너무 삭막해질 것 같습니다.


  "안돼"라는 말만 하면 아이는 무시당했다는 생각에 반항하거나 회피하지만 왜 안되는지 이유를 알려주면 해법을 찾기 위해 열심히 노력합니다. 물론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귀찮고 힘든 일이지만 그런 경험이 쌓여야 아이는 원석에 가까웠던 자신의 의견을 잘 다듬어서 보석 같은 답을 내놓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전 20화 비언어적 표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