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유나 Sep 10. 2024

MZ 세대의 전화 공포증 극복기

서로 다른 모양의 불안에 대하여

윙윙 - 즐겨보던 브이로그 영상이 느닷없는 전화 수신 화면으로 전환되면 느긋하던 표정 역시 동시에 전환된다. 다소 심각한 얼굴로. 전광석화처럼 음량키를 눌러 알림을 끄고 스팸 전화를 신고하고 집계하는 사이트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급한 전화일까, 미처 저장하지 않은 선생님이나 학부모님의 번호일까, 받지 않으면 큰 문제가 생길까, 금방 끊어질까, 급한 일이면 다시 전화하겠지, 수많은 생각들이 빠르게 스쳐 지나간다. 전화가 끊어지고 나서도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빨간색 숫자 1 표시에 쉬이 진정되지 않는 마음이 '보험 광고로 16건 신고된 번호'라는 검색 결과를 보고서야 가라앉는다. 안 받아도 되는 전화였구나. 이내 보험 광고 전화번호를 차단한다. 그렇게 차단한 번호가 스크롤을 내려도 내려도 끝이 없다.


사람들은 혼잣말을 얼마나 할까. 한다면 어떤 말을 할까. 나는 주로 "유나야, 괜찮아.", "사랑해."라는 말을 한다. 생각으로 할 때도 있지만 작게 속삭이더라도 소리를 낼 때가, 더러는 크게 말할 때도 있다. 누군가가 본다면 영화 <트루먼 쇼>의 트루먼을 보는 것처럼 다소 영화적이라고, 어쩌면 작위적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중요한 건 트루먼의 이름이 말해주듯 모든 것이 거짓이어도 트루먼만큼은 자신의 삶에 진실했던 것처럼 괜찮다는, 사랑한다는 혼잣말은 스스로를 비현실적인 망상으로 몰아넣는 나를 구원하려는 또 다른 나의 진실된 목소리이다. 소용이 없을 때도 있다. 그러나 분명히 효과적일 때도 있다. 그게 뭐 그만큼 중요해. 그럴 리 없어. 설사 그런다 해도 괜찮아. 나는 나를 사랑하니까. 그렇게 나는 불안을 토닥여 잠재우곤 한다.


하지만 불안은 섣불리 빠져나와야 하는 해로운 대상일까. '불안한 마음은 어디에서 태어나 우리에게까지 온 건지' 좋아하는 가수의 노랫말을 들으며 생각해 본다. 처음부터 연락이 불안했던 건 아니다. 다섯 식구가 18평 남짓한 공간에 살던 시절. 혼자만의 방도 없었거니와 방문 너머로도 대화 소리가 들리는 환경에서 사춘기 중학생이 친구와 은밀하게 나누고 싶었던 대화는 무엇이었을까. 그때부터 나는 집에 오면 자연스레 전화가 끊어질 때까지 울리는 것을, 어쩌면 초조한 마음으로 지켜보곤 했다. 


교사 2년 차에는 학교의 모든 선생님들이 알게 된, 그래서 두고두고 회자되는 민원을 겪었다. 이유가 무엇이든, 그 이유가 타당했든 아니든, 수업과 수업 사이 10분의 쉬는 시간 동안 "학교로 가겠습니다."와 같은 일방적인 연락을 받는 일에 조금씩 무뎌져 갔다. 그렇게 학기 초부터 시작해 1년 내내, 학급 경영에서부터 시험 문제와 채점에서까지 나의 말을 끝까지 듣지 않는 상대방에게 나의 선택을 실수 없이 증명해내야 했다. 시시콜콜하더라도 시간을 가리지 않는 학생이나 학부모의 연락 역시 짜증이나 공포 - 설사 중요성과 시기 적절성에 대한 나의 판단을 근거로 해서라도 답변하지 않으면 좋지 않은 결과와 그 결과에 대한 중한 책임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생겨난 감정이다. - 로 마음 깊숙이 자리 잡았다. 열심히 일한 만큼 실수도 많았고 그 실수의 재발을 막거나 수습해야 한다는 부담 역시 컸기에 업무적인 연락 역시 초조하긴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출근 시간 전부터 퇴근 후까지 학교에 에너지를 빼앗기고 나면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모든 연락을 기피하고 싶어졌다.


그렇게 이해해 보면 불안은 축적된 경험의 마땅한 결과이며 나를 지키고자 하는 타당한 시도였을 뿐이다. "괜찮아.", "사랑해."라는 말은 불안을 성급히 없애고자 하는 허황이 아니라 불안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나아갈 길을 비추려는 빛의 발화였는지도. 여전히 나는 나를 기꺼이 이해해 주는 친구들의 전화는 받지 않는 대신 실시간으로 카톡에는 답장한다. - 카톡은 그나마의 틈이 있기 때문에 덜 불안하게 느껴진다. - 그래도 사회적 구실은 해야 하니 업무적으로나 사적으로나 불가피한 연락은 받아낸다. 불안을 동반할지라도 한 번은 시도해 보고 이해해 보면 두 번 세 번은 더 쉽고 그 이후에는 자유로워질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지금도 나는 암 진단비를 청구하는 과정에서 보험 회사와 학교에 연락하며 읽던 책에 집중하지 못하고 인스타그램 피드를 내리다가, 그마저도 불안해 휴대폰을 보이지 않는 곳에 멀리 두고는 글 속에 나의 불안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서른이 되어도 여전히 세상은 복잡하다. 아는 척하는 것이 많아지지만 실제로 아는 것은 별로 늘어나지 않은 기분이랄까. 돈을 모으고 투자하고. 아직 일어나지 않는 일에 대비하기 위해 보험에 들고.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났을 때 나의 상태를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고. 내야 하는 돈을 밀리지 않고 꼬박꼬박 내고. 통제 불가능한 일을 통제할 수 있다는 듯 운전대를 잡고. 그렇게 이 어려운 세상에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하고 있는 '척'이 참 많다. 스무 살, 초임 교사, 막내 타이틀이 없어지고 나서 물을 곳이나 용기가 없는 마음은 불안으로 치달을 때가 유독 많다. 그런 나를 처음으로 가만히 응시해 본다.


당신의 불안은 무엇인가. 그 불안은 어디에서 태어났고 어디로 당신을 이끌고 있는가. 어쩌면 당신의 불안이 당신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어찔할 바를 모르는 채 이리저리 요동치는 마음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자. 흔들림은 언젠가는 가라앉을 테니까. 당신에게도 당신만의 "괜찮아.", "사랑해."라는 마법의 단어가 함께하기를 바라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