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NNY Nov 07. 2024

김연수 “일곱 해의 마지막”을 읽다.

첫 페이지를 펼쳐든 순간 도저히 읽기를 멈출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순식간에 책장을 덮어 버린 이유는 소란스러운 공간에서 보다 고요하고 안전한 나의 공간에서 비밀스럽게 읽어야 한다는 마음에서였다. 이미 다 읽었지만 나와 물리적으로 가까이 존재해야 할 책, 언제든지 펼쳐볼 수 있도록 혹은 읽지 않더라도 눈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보이는 곳에 놓여있어야 할 책. 내 공간의 사물들은 그렇게 나와 어떻게든 바라봄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곳엔 언제나 김연수작가의 책이 있다.


이토록 평범한 것이 이토록 반짝반짝 특별해질 수 있다면, 나는 어떤 글을 만나 또 다른 내가 되었다.


“아, 좋다. 너무, 좋다. “ 나도 모르게 마음에서 피어나는 말에 따뜻하게 위로받고, 두근두근 가슴이 뛴다. 지금 당장 무엇이든지 할 수 있을 것만 같은 긴장과 설렘에 고양되어 느리고 느리게 문장을 따라간다. 세상과 사람을 품어 빛을 내고 그 빛으로 어떻게든 삶을 살아가게 만들어 주는 단단한 힘을 가진 문장들, 소란스럽지 않게 느린 호흡으로 글을 읽어가다 보면, 삶의 운명을 믿게 되고, 그 운명은 자기 자신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는 희망에 안도한다.


<일곱 해의 마지막>이라는 제목에 끌렸고, 내게 말을 걸었다. ‘일곱 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의심 없이 7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축적되었을 결과물을 상상했지만, 일곱 해의 공백에는 시인의 시가 사라졌다. 압도적인 현실의 무게에 희망 없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절망적인 상황에 그가 가졌을 아름답고 간절한 마음 이 무섭도록 외롭게 느껴졌다. 시인 백석의 시간임을 미리 짐작했더라면 나는 이 책에 마음을 서두르지 않았을 것이다. 읽다 말고 멈추고,  궁금해도 여유를 가진 것은 짧고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시인의 시가 스쳐 지나갔기 때문이다.


살아가다 보면 느닷없이 한 문장이 떠올라 그 문장에 의지할 때가 있고, 살아가면서 항상 곁에 두고 언제든지 펼쳐 들고 싶은 오래 함께하는 책이 있다. 그는 김연수다.



이전 04화 김금희 ‘식물적 낙관’을 읽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