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인사이트트 Nov 04. 2024

광운대역세권 물류부지 개발의 역사

1980년대 시멘트 물류단지에서 2028년 복합지구로

1980년대 광운대역(당시 성북역)은 산업화 시대의 필수 자재였던 시멘트 유통의 중심지로서 서울 경제 발전의 기반 역할을 했다. 그러나 2024년 현재, 광운대역 주변은 주거 지역으로 가득 차 있으며 서울에서 시멘트 공장이 설 자리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2017년 구로구 한일시멘트와 2022년 상수동 삼표시멘트의 철거는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좌) 구로구 한일시멘트   우) 철거 후 아파트 단지로 @아시아경제

삼표 성수공장은 수도권 개발부터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까지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서울의 현대화를 이끌었다. 이처럼 시멘트 물류기지로 활발히 기능했던 광운대역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하고 싶어졌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 광운대역의 역할, 개발 논의 과정, 그리고 현재의 모습을 다룬다. 더불어, 해외 사례를 통해 광운대역세권이 나아갈 방향도 제시할 것이다.


1980년대 시멘트 유통의 중심지 광운대역

1980년대 당시 시멘트 유통 구조는 시멘트가 주요 생산지에서 철도를 통해 수도권의 물류기지로 이동한 후, 건설 현장으로 분배되는 방식이었다. 강원도나 충북 같은 시멘트 생산지에서 벌크 형태로 철도를 통해 서울의 주요 물류기지인 광운대역으로 운송되었고, 도착한 시멘트는 이곳에서 잠시 보관 후 레미콘 공장이나 시공 현장으로 다시 트럭에 실려 이동했다.

@철도물류와 시멘트 운송의 패러다임 변화 오수영(국토해양부 철도운영과 사무관)

이 시멘트 유통 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벌크 시멘트: 시멘트가 대량으로 철도 벌크 차량에 실려 광운대역과 같은 기지에 도착하여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후 레미콘 공장 등으로 트럭을 통해 빠르게 분배되며, 건설 현장까지 바로 이어질 수 있었다.

포대 시멘트: 소량 단위로 포장된 시멘트는 철도나 트럭으로 유통되었으며, 주로 중간 유통상들이 보관하고 이를 건설 소규모 현장이나 개별 소비자에게 공급했다.

양화싸일로가 있는 성북역

광운대역은 서울 전역의 시멘트 수요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주요 거점으로서, 도시 발전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0년대 2000년대 광운대역 개발 필요성 대두

1992년 광운대역 인근 황공사진

1990년대 이후 광운대역 일대는 주거지 확산으로 주택 밀집도가 높아지며 환경 문제와 개발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철도 주변에 위치한 시멘트 유통 시설과 화물 적치 시설로 인해 발생하는 비산먼지와 소음은 주민들의 생활환경에 지속적인 피해를 초래했고, 이에 따라 시설 이전과 개발 요구가 빗발쳤다.


2000년에 들어서는 성북역의 물류기지 역할이 축소됨에 따라 코레일과 노원구가 성북역세권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노원구는 2004년 경춘선 폐선 후 기존 화물 기능이 상실된 성북역을 중심으로 복합 환승 체계를 갖춘 프리미엄 주거 단지 조성을 목표로 개발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성북역 철로의 지하화와 복개 광장 설치가 제안되었으며, 동서 축을 연결해 주민 접근성을 개선하는 계획이 마련되었다.

@노원구청

당시 노원구청장은 "성북역 물류기지 기능을 상실한 상태에서 비산먼지와 소음 문제가 지속되어 역세권 개발이 시급했다"라고 강조했으며, 코레일 역시 철도역의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획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자 세계적 건축 전문가를 초빙한 국제 공모를 추진했다. 이러한 협력은 광운대역을 새로운 경제 및 주거 중심지로 탈바꿈시키려는 초기 노력으로 이어졌다.

2009년 성북역사(광운대역) 사전협상 대상지 선정

2009년, 서울시는 광운대역 물류부지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지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서울 동북권의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도시개발 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초기에는 높은 토지 매각가와 공공기여 부담으로 민간사업자의 참여가 부족했다.


2010년대 이후 광운대역 개발 본격화

1990년대부터 주거지 확산에 따른 환경 문제와 함께 광운대역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본격적인 개발 논의는 2009년 서울시가 광운대역 일대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지정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서울시는 두 차례에 걸쳐 민간 사업자 공모를 진행했지만, 높은 토지 매각가와 공공기여 요구 비율로 인해 2012년과 2014년 공모 모두 유찰되었다. 개발 사업 초기에는 민간사업자들이 투자 대비 수익성 문제를 우려하여 참여를 꺼렸기 때문이다.

2017년 업무협약 @서울특별시

그러나 2017년, 서울시, 노원구, 코레일은 광운대역세권 개발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3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공공기여 비율을 낮추고 비주거 용도 비율을 조정하는 등 민간사업자 유치를 위한 새로운 조건을 마련했다.


이러한 조정 끝에, 현대산업개발이 단독으로 입찰에 참여하여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다. 현대산업개발은 주거, 상업, 업무 시설을 명확히 구분하는 개발 계획을 제안하며, 서울 동북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단독 입찰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산업개발의 명확한 개발 구상은 광운대역을 새로운 경제 거점으로 변모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였다.

2021년 사일로 해체 @지역연합신문

이어지는 2021년부터 시멘트 사일로 철거 작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개발이 진행되었고, 2022년까지 모든 사일로가 순차적으로 철거되면서 광운대역은 주거 및 상업 지구로 재탄생할 준비를 마쳤다. 2023년에는 지구단위계획 확정을 통해 개발이 구체화되었고, 2024년 10월 25일 드디어 광운대역세권 착공이 시작됐다.


2028년 광운대역역세권 개발의 미래

광운대역 물류개발 조감도 @서울특별시

2028년, 광운대역세권 개발은 서울 동북권의 새로운 경제 중심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현대산업개발 본사의 이전은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변 상업과 서비스업의 동반 성장을 촉진할 것이다. 특히, 본사 이전으로 인한 고용 증대와 유동 인구의 증가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발을 통해 오랜 시간 광운대역을 중심으로 단절되어 있던 역의 동쪽과 서쪽 지역이 연결될 것이다. 새로운 접근성과 통합된 생활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는 새로운 상업 지구와 공공 공간으로 변모한다.

광운대역 물류개발 조감도 @서울특별시

광운대역세권 개발은 공동주택인 '서울원 아이파크'와 일부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을 현대산업개발에서 직접 운영하고 관리할 계획이다. 개발 구역 내에는 소공원과 경춘선 숲길 연장 계획이 포함되어, 주민들이 쉴 수 있는 녹지 힐링 공간도 생긴다. 이러한 공공 기여는 광운대역세권이 단순한 개발을 넘어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돕고 있다.



도시인사이트의 감상
허드슨야드 프로젝트 과거 모습 @릴레이트 홈페이지

허드슨 야드 프로젝트는 과거 철도 기지로 사용되던 넓은 부지를 혁신적인 도시 재개발을 통해 뉴욕 맨해튼의 새로운 경제 중심지로 변모시킨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저밀도였던 도심 공간을 고밀도 복합 개발 지구로 재탄생된 허드슨 야드. 이는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도시 재생을 이루어낸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허드슨야드 프로젝트 @나무위키

이러한 점에서 광운대역세권 개발과 허드슨 야드 프로젝트는 유사해 보입니다. 광운대역은 서울 동북권의 유휴지로, 주거, 상업, 업무시설이 복합적으로 조성되는 재개발이 계획되어 있기 때문이죠. 광운대역세권 개발은 고밀도 복합 개발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동북권 주민들에게 새로운 중심지를 제공하며 지역 전체의 활력을 불어넣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허드슨 야드가 하이라인 파크와 연결되어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듯이, 광운대역세권도 경춘선 숲길 연장, 소공원, 그리고 동서 지역을 잇는 보행로를 통해 시민들이 모이는 휴식과 여가 공간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굳어있던 시멘트 대신

따스한 온기를

품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참고문헌

오수영. (2008). 철도물류와 시멘트 운송의 패러다임 변화. 시멘트, 179, 25-29.

서울특별시. (2024). 광운대역세권 개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청.

서울시 보도자료

노원구 보도자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