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랑연두 Oct 15. 2024

내 이름이 붙은 자리

왜 안 가셨어요? 7

다시 돌아온 회사는 익숙했고 안온했다. 1년여 만에 자신의 이름이 붙은 자리, 그리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게 얼마나 소중한지 새삼 깨달았다. 물론 1년여의 공백이 안 느껴지는 것은 아니었다. 각종 회사 시스템은 접근 권한이 사라져서 죄다 새로 결재를 올려서 권한을 받아야 했다. 휴직하는 동안에 추가된 회사 프로세스들도 익혀야 했다. 한쳔으로 그 사이 변한 시장트렌드도 따라잡아야 했다. 그래도 어차피 원래 하던 일이었고 십여년째 보고 있는 시장이었다. 한 달 정도 지나지 바뀐 환경에 익숙해졌고 곧 감을 되찾았다.

회사에 나가서 매일 출근하자, 어느새 유모차를 밀고 스톡홀름을 돌아다니던 일이 한여름밤의 꿈처럼 느껴졌다. 스웨덴에 가기 전처럼, 겨울은 아침이면 바쁘게 화장을 하고 출근했다. 화장을 안 한 맨얼굴 위에 두꺼운 안경을 쓰고 아무렇지 않게 나갔던 건 언제였던가 싶었다. 점심이면 회사 밖으로 나가 점심을 먹었고 다 먹고 들어오는 길에 늘 카페를 들려 커피를 샀다. 앉아서 먹을 시간이 있던 없던 상관이 없었다. 쪼들리는 월급 안에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카페에 앉아 커피 한잔을 시켜볼 엄두를 못 냈던 겨울은 더 이상 없었다. 첫째를 등원시키고 난 뒤 둘째를 태운 유모차를 밀고 몇 시간이고 식료품점들을 돌며 할인 상품만 골라 쇼핑하던 겨울도 더 이상 없었다. 그때는 시간을 들여 돈을 아껴 썼다면, 복직한 후에는 돈을 버느라 줄어든 시간을 아껴 써야 했다. 대신 자신이 번 돈으로 매일 커피는 사 먹을 수 있었고 후배 밥은 사줄 수 있었다. 그게 한편으로는 든든한 느낌이 들었다.


내가 버는 돈.

경제적으로 누군가에게
종속되어 있지 않다는 느낌.

나도 한 명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작지만 어떤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

외국인 노동자의 아내가 아니라, 누구의 엄마가 아니라, 겨울 그 자신으로 자신을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더 이상 자신의 쓸모를 보여주며
일자리를 구걸할 필요 없다는 것.



 모든 게 스웨덴에서 돌아와 복직한 뒤 크게 다가왔다. 왜 스웨덴에 안 갔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돌아옴으로써 다시 되찾은 모든 것들을 떠올렸다. 다시 가게 되면 잃어버리게 될 모든 것들을 생각하며, 그래서 안 갔지..라고 속으로 되뇌었다


하지만, 문제는 선우가 함께 올 수 없었다는 것. 새로 이직한 회사는 선우가 한국에서 회사를 다닐 때 답답해했던 많은 것들을 해소시켜 줬다. 소프트웨어 포커스된 회사 분위기, 업계 최고인 만큼 제일 최신의 기술을 이용한다는 것 그리고 위에서 내려오는 거지 같은 일들 마구 헤쳐나가는 대신, 목표를 이루기 위한 아이디어를 실무진급에서 아이디어 내고 검증해서 적용하는 것 모두 다 좋아 보였다. 예전에는 왜 이런 의미 없는 일을, 그것도 매번 하라고 하는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았다면 이제는 더 잘 해내지 못하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았다. 겨울이 볼 때는 너무 심각한 수준만 아니라면 선우를 성장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스트레스였다. 그래서 겨울은 선우가 다시 한국에 돌아와 그 답답한 환경에 있게 하고 싶지 않았다. 몇 년 후라면 생각이 바뀔 수 있겠지만 선우가 이직한 지는 고작 1년밖에 안 되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서 잘 해냈으면 싶은 생각에 선우는 좀 더 이직한 회사에 있는 게 나아 보였다.

하지만, 둘이서도 힘들었던 맞벌이 육아가 아닌가. 남편이 없다면 겨울은 혼자서 일도 하고 아이들도 챙겨야 했다. 마치 고난도의 맞벌이육아가 싱글맘 육아 마냥 초고난이도 레벨로 업그레이드된 셈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