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봄밤 May 13. 2023

걸어서 요가 속으로

요가하는 일상

허리가 아파 여자친구와 요가를 시작했다. 시작은 원데이 클래스였다. ‘생각보다 쉬운데?’ 하는 마음에 당장 석 달치 수강료를 지불했다. 무엇이든 뭘 모를 때가 가장 쉬웠다. 내가 수월하게 했던 동작 모두 자세를 바르게 하면 팔, 다리가 후들거릴 만큼 힘든 동작들이었다. 아침에 일어나 기지개조차 켜지 않은 지 어언 십 년. 종일 앉아 모니터만 보는 직장인인 내게 유연성이나 근력이 있을 리 만무했다. 수시로 하는 다운 독(개가 기지개를 켜는 자세)만 해도 다리 뒤쪽이 심하게 당겨 눈물이 찔끔 났다.


요가 선생님은 말했다. 요가하면 옆에 누가 있었는지도 모르고 집에 갈 때가 많다고. 오로지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이기 때문이라나. 나 역시 나만의 시간을 가졌다. 그게 남몰래 남하고 경쟁하는 나만의 싸움이라서 그렇지. 나와 비슷한 시기에 등록한 수강생이 내가 안 되는 자세를 하면 집에 와서 그 자세를 열심히 연습했다. 뒤처진다는 기분을 참을 수 없었다. 집에서 유튜브를 보며 아침, 저녁으로 요가 연습을 했다. 요가 학원에 가서 잘하려고 집에서 요가 연습을 하다니, 뭐 하는 짓인가 싶었지만 몸은 정직해서 조금씩 되는 자세들이 늘어갔다.


선생님은 또 말했다. “요가는 열심히 하는 거 아니에요. 힘들면 블럭을 받히고 하셔도 돼요. 할 수 있을 만큼만 적당히 하세요.” 나는 적당히 하고 싶지 않았다. 열심히 해도 늘까 말까인데, 적당히 해서 어느 세월에 실력이 늘까. 옆 사람이 팔을 쭉 뻗어 발 끝에 손이 닿으면, 나는 더 엎드려 바닥까지 손이 닿아야 직성이 풀렸다. 블럭을 대고 하는 건 의지가 나약한 사람(?)들이나 하는 거라고 생각하고 팔이 닿지 않는데도 끙끙대며 블럭 없이 요가를 했다. 몸 여기저기가 당길 때면 무엇을 위한 요가인가 싶었지만, 안 되던 자세가 될 때의 쾌감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었다. 어려웠던 자세가 될 때는 요가를 다 정복한 듯 기뻤고, 조금이라도 안 되면 ‘이 몸으로 뭘 하나’ 하며 치솟던 의욕이 바닥 치길 반복했다.


하루는 수업에 5분 늦게 도착했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사람들이 블럭을 두 개씩 앞에 두고 앉아 있었다. 선생님이 블럭을 하나를 내게 넘기며 말했다. “봄밤 씨는 하나면 돼요.” 그가 “블럭을 날개뼈 뒤에 넣고 팔을 위로 뻗어 눕습니다.”라고 할 때까지는 아무렇지 않았다. “이 동작이 수월하면, 블럭을 하나 더 넣어서 2단으로 만드세요.” ‘네? 뭐라고요?’ 내게는 하나 더 쌓을 블럭이 없었다. 그가 하나밖에 주지 않았으니까. 네가 2단까지 할 수 있을 리 없다는 건가? 나는 오기가 나서 블럭을 세로로 세워 날개뼈 뒤에 세웠다.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었는데 땅에 닿지 않았다. 기를 쓰고 날개뼈를 모았다. 가슴 앞이 끊어질 것만 같이 당기는데도 그에게 보여주고 싶었다.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그때였다. 처음 보는 수강생에게 그가 말했다. “요가해 보셨어요? 유연하시네요?” 수강생이 말했다. “아니요, 처음 해봐요.” 둘의 대화에 왜 내가 비참해지는 걸까. 그날 담이 든 날개뼈가 두 달이 지난 지금까지 뻐근하다.


“자, 등을 바닥에 대고 눕고, 두 팔을 양옆으로 넓게 벌릴게요. 두 무릎을 모아 한쪽으로 넘기고, 머리는 다리와 반대 방향으로 넘깁니다.” 그날은 ‘비틀기 자세’를 했다. 요가원에서는 처음 하는 자세였지만, 나는 매일 아침 “강하나의 기상 스트레칭” 영상을 보며 따라 하던 자세였다. 내 두 무릎이 옆으로 넘어가도 어깨가 뜨지 않고 바르게 붙어있자, 선생님이 놀라며 말했다. “어? 이 자세는 잘 되네요.” ‘네, 잘 되는데 거기에 왜 ‘이 자세는’이 붙을까요?’ 따지지 못하고 가만히 있는데 그가 사람들에게 말했다. “사람마다 몸의 구조에 따라서 되는 자세가 있고 안 되는 자세가 있어요. 잘 살펴보면서 하세요.” ‘아니요, 저 이거 석 달 동안 아침마다 연습해서 되는 거라고요. 제 몸이 원래 그런 게 아니라 노력이라고 노력.’ 벌떡 일어나서 외치고 싶은 마음을 꾹 눌러 담았다. 이래서 요가가 수행이라는 건가. 요가원을 나온 나는 애인에게 말했다. “선생님 안 되겠어. 내가 더 열심히 해서 본때를 보여 주겠어.” 애인은 말했다. “무슨 선생님한테 본때를 보여줘. 본때를 보여줘서 뭐 할 건데?”


그렇게 넉 달 차, 선생님에게 본때를 보여주기도 전에 정체기가 찾아왔다. 처음 한두 달은 달라지는 모습이 확연히 보였는데, 갈수록 변화는 굼떴다. 심지어 되던 동작이 안 되는 날도 있었다. 종일 의자에 앉아서 컴퓨터만 본 날에는 돌아가던 목도 돌아가지 않았다. 결정적으로 <더 글로리>를 침대에 누워 핸드폰으로 밤새 봤다. 그 뒤로는 고개를 뒤로 젖힐 수 없을 만큼 통증이 심했다. 석 달의 노력이 하룻밤 드라마 시청으로 무너진다고? 목에 통증이 느껴질 때마다 요가원 가서 더, 더 못할 내가 떠올라 속이 상했다. 시험 보기 싫어 학교 가기 싫은 학생처럼 요가원에 가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1년 치를 시원하게 결제한 후였다. 뭐든 하기만 하면 더 나아질 거라고,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의 곡선을 그리는 건 당연하다고 믿던 내 신념에 금이 갔다. 운동을 할수록 더 나빠지는 몸이 세상에는 존재했는데, 그 몸이 내 몸이었다.


내가 끙끙대며 요가하는 모습을 지켜보던 애인이 어느 날 물었다. “자기는 요가를 뭐라고 생각해?” 나는 솔직하게 답했다. “솔직히 난 요가가 유연함인 거 같아. 정답이 아닌 건 알지만 지금 나한테는 그래.” 애인은 한숨 쉬며 말했다. “자기는 동작의 완성을 요가라고 생각하는 거 같아. 그래서 지금 자기가 하는 건 요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거야. 그러니까 창피한 거 아닐까? 동작의 완성이 아니라 요가하는 것 자체가 요가지. 왜 있잖아. ‘걸어서 세계 속으로’처럼 이미 세계에 있는데 세계를 찾아가는 것처럼 이미 요가를 하고 있는데 요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거 같아.”


반박 불가. 그럼 난 ‘걸어서 요가 속으로’를 하고 있는 걸까? 매사 현존보다는 미래에 대한 계획, 준비, 구상에 늘 마음이 가 있는 내가 요가를 한다고 쉽게 달라질 리 없다. 애인의 말대로 지금 여기 요가를 하는 나를 느껴본다. 있는 그대로. 요가를 더 잘하고 싶은 나를. 내일은 오늘보다 더, 오늘은 어제보다 더, 나아질 나를 잔뜩 기대하는 나를. 걸어서 요가 속으로.

이전 08화 5년의 연애가 끝났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