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평균 대비 지피터스 웹사이트 성과 분석
"우리 웹사이트의 진짜 성과는 어떻게 측정해야 할까?"
방문자수나 페이지뷰만으로는 웹사이트의 진정한 성과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실제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어떤 페이지에서 이탈하는지, 얼마나 깊이 있게 콘텐츠를 소비하는지 등 더 깊은 인사이트가 필요하죠. AI 스터디 커뮤니티 '지피터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웹사이트 성과 측정을 위한 5가지 핵심 지표와 그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분석은 ‘뷰저블(Beusable)’을 통해 수집된 국내 주요 기업들의 웹사이트 데이터를 활용해, 지피터스의 성과 지표와 업계 평균을 비교한 결과입니다. 뷰저블은 업계 평균 벤치마크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표들의 현재 상태와 산업 내 위치를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탈률(Exit Rate)
전이율(Transition Rate)
평균 체류시간(Average Time on Page)
새로고침률(Refresh Rate)
롤백률(Rollback Rate)
이탈률이란?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서 더 이상 탐색을 진행하지 않고 사이트를 떠나는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한 후 다른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 브라우저를 닫거나, 경쟁 사이트로 바로 이동해버릴 경우에 집계됩니다.
현재 지표: 20.90% (업계 평균: 48.14%)
평가: 지피터스의 이탈률은 업계 평균보다 27.24%p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방문자가 단순히 페이지를 보고 끝내는 대신, 사이트 내 다른 페이지로 활발하게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인사이트: 낮은 이탈률은 사용자들이 콘텐츠에 만족하고 더욱 깊은 탐색을 유도하는 UX가 잘 갖춰져 있음을 시사합니다.
평균 체류시간이란?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서 머무르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페이지에서 발생한 클릭이나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측정해 평균값을 낸 지표입니다.
현재 지표: 1분 12초 (업계 평균: 40초)
평가: 지피터스의 평균 체류시간은 업계 평균보다 33초 길어, 콘텐츠를 꼼꼼히 확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인사이트: 체류시간이 길면 사용자 관심도와 참여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특히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지피터스 특성상, 사용자들이 학습 내용을 충분히 소비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이율이란?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비율입니다. 사이트 구조와 콘텐츠 유입 동선이 얼마나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 지표입니다.
현재 지표: 79.10% (업계 평균: 52%)
평가: 지피터스 전이율은 업계 평균보다 27.1%p 높은 79.10%로 우수한 수준입니다.
인사이트: 높은 전이율은 사용자들이 한 페이지를 본 뒤, 적절한 CTA(Call To Action)나 링크를 통해 원활히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는 의미입니다.
롤백률이란?
사용자가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는 비율입니다.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거나, 페이지 상단 혹은 헤더를 통해 직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현재 지표: 7.1% (업계 평균: 12.8%)
평가: 지피터스의 롤백률은 업계 평균보다 5.7%p 낮아, 사용자가 이미 이동한 페이지에 만족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인사이트: 사용자가 한 번 선택한 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를 즉시 찾을 수 있다면 굳이 이전 페이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됩니다. 이는 사이트 메뉴와 구조가 직관적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UX를 갖추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새로고침률이란?
사용자가 같은 페이지에서 새로고침(F5)이나 브라우저의 새로고침 버튼을 사용하는 비율입니다. 이 값이 높다면,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한 콘텐츠가 많거나 페이지 로딩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현재 지표: 20.3% (업계 평균: 11.8%)
평가: 지피터스의 새로고침률은 업계 평균보다 8.5%p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사이트: 해당 페이지가 본래 새로고침이 필요 없는 페이지임에도 빈번하게 새로고침이 있어, 페이지 로딩이 느리거나 다른 문제로 인식한다고 보여집니다.
지피터스의 서비스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낮은 이탈률과 롤백률: 필요한 정보를 찾고자 할 때, 불만 없이 사이트를 이용한다는 증거입니다.
높은 전이율: 사이트가 단계별로 사용자를 이끄는 구조가 잘 갖춰져 있어, 페이지 간 이동 흐름이 원활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충분히 긴 체류시간: 사용자들의 몰입도가 높다는 좋은 신호입니다.
다소 높은 새로고침률: 본래 새로고침이 필요 없는 페이지임에도 잦은 새로고침이 발생하여, 로딩 및 에러 처리를 보완하는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숫자에는 사용자들의 진짜 목소리가 담겨 있습니다.”
지피터스 사례에서 보았듯, 작은 지표 하나에도 서비스 개선의 실마리가 숨어 있어요. 데이터 뒤에 숨은 이야기를 놓치지 마세요. 그 미묘한 변화를 발견하는 순간, 웹사이트 운영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거에요.
'뷰저블 서포터즈 1기로 제품을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된 솔직한 후기입니다.' #뷰저블 #뷰저블서포터즈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운동과 술을 사랑하는 자유로운 영혼. 석유화학회사를 때려치우고 와인 공부하다 스타트업에 정착했다. 창의성과 영감이 샘솟는 삶을 위해, 인생을 변화시킨 사람과 문장들을 수집 중이다.
(현) 국내 최대 인공지능 커뮤니티 지피터스, 커뮤니티 리더
'일곱잔' 와인바 사장 @신사
(전) 와이아웃 커뮤니티, 운영 리드
와디즈 경영추진팀
패스트파이브 커뮤니티 크리에이터팀
독일 UNCCD(유엔사막화 방지기구) FCMI 팀
석유화학회사 환경안전경영팀
서울대학교 과학교육, 글로벌환경경영 전공
산림청 주관, 유네스코 - DMZ 지역 산림 생태 연구 인턴
한국장학재단 홍보 대사
4-H 동시통역사, 캐나다 파견 대표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 1기 인턴 팀장
서울대학교 국제 협력본부 학생대사 이벤트 팀장
와인 21 객원 기자, 레뱅드매일, 파이니스트 와인 수입사 홍보 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