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개울음뱅이 Jan 08. 2019

남의 불행을 자양분삼아 살아가는 불행

나이트 크롤러, 댄 길로이, 2014

SNS를 잘 하지 않던 친구가 페이스북에 글을 올린다. “오늘 낮에 OO기업 최종합격 통보를 받았습니다. 그동안 징징대는 거 받아주신 분들 고맙고 연수 들어가기 전에 내가 꼭 밥 살 테니까….” 같이 올라온 사진은 ‘최종합격’이란 말과 회사 이름이 함께 보이는 캡처 이미지. 

갑자기 소화가 잘 안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좋지만은 않은 마음을 감추기 위해 ‘좋아요’도 누르고, 감탄사와 느낌표를 남발해가며 댓글을 단다. “우와, 대박!!!! 진짜 축하해. 넌 될 줄 알았어!!!!” 그러곤 드러누워 자책을 시작한다. ‘이제 동기들 중에 나만 남은 건가? 아, 명균이가 있구나. 이번에도 다 떨어졌댔지…. 그나마 다행이다. 뭐야, 나 쓰레긴가?’ 

기어이 취시오패스(취업준비생+소시오패스)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취업준비생이 취업한 친구를 보며 배 아픈 정도야 자연스러운 일일 텐데. 

나만 해도 취업한 애들 꼴 보기 싫어서 타임라인에서 죄다 빼버렸던 기억이 난다. 무의식적으로 친구의 업무 환경이 나쁘기를, 못된 상사 만나기를, 그래서 얼마 못 견디고 퇴사하기를 바랐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때의 내가 ‘소시오패스’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땐 불행이 좀 필요했다. 나 말고, 다른 사람들의 불행. 그래야 나를 미워하지 않고 버틸 수 있었다. 그 후론 더 이상 ‘남의 불행이 곧 내 행복’이란 우스갯소리가 우습게 들리지 않는다. 

남의 불행을 자양분 삼아 살아간다는 점에서 <나이트 크롤러>의 루 블룸(제이크 질렌할)도 일종의 ‘취시오패스’다. 반(半) 백수처럼 살아가던 루가 새롭게 찾은 일은 사고 현장 촬영. 경찰의 무전을 도청해 현장으로 제일 먼저 달려가면, 생생한 영상을 방송국에 팔 수 있다. 현장이 참혹할수록 가격이 뛴다. 방송국 보도국장 니나(르네 루소)는 점점 더 자극적인 영상을 요구하며 루를 이용한다. 종일 차 안에서 누군가의 불행을 기다리고, 그 불행을 카메라에 담아 팔아먹는 일에 중독된 루는 결국 폭주한다. 

니나가 루에게 준 미션은 하나였다. 최대한 자극적인 영상을 찍을 것. 보도 윤리나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 같은 건 요구 받지 않았다. 그는 니나의 신뢰를 잃을까봐 두려웠고, 그저 미션을 완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미친놈이네’라고 손가락질하면 그만인 걸까. 

한국 사회에서 졸업을 앞둔 20대에게 주어지는 미션도 딱 하나다. 반드시 취업에 성공할 것. “친구를 소중히 여길 것”, “나를 사랑할 것” 등은 보너스 게임에 불과하다. 메인 미션도 통과하지 못했는데 보너스 게임 따위에 눈 돌릴 여유는 없다. 

다만 미션을 완수하지 못하고 취준생으로 남아있는 나를 너무 미워하게 될까봐, 그게 두려웠다. 그래서 취업한 친구를, 정확히 말하면 친구의 취업을 미워했다. 취시오패스도 뭣도 아니다. 단지 두려울 뿐이다.

이전 09화 나와 너의 가성비를 따지는 불행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