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정민 Sep 05. 2022

7화: 다들 기저귀를 얼마나, 어떻게 쓰고 있을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기저귀를 쓰고 있을까?’

하고 궁금할 때가 있어요. 천기저귀를 쓰게 되면서 더욱 그랬어요. 주위를 둘러보면, 아는 사람들 중에 천기저귀를 쓰는 사람을 거의 만날 수 없었어요. 천기저귀가 아니라도, 기저귀를 어떻게 얼마나 쓰는지 궁금했어요. 이 글에서는 그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아보았습니다.




1. "천기저귀를 쓰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1994년도에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천기저귀만 쓰는 경우가 23%, 일회용 기저귀만 쓰는 경우가 26%, 면기저귀와 일회용 기저귀를 같이 쓰는 경우가 51%였어요(이기정, 1994). 그로부터 6년 뒤인 2000년도에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천기저귀만 쓰는 경우가 14.8%, 일회용 기저귀만 쓰는 경우가 66.2%, 천과 일회용을 병행한다는 응답은 18.3%였어요. 불과 6년 사이에, 일회용 기저귀만 쓰는 비율이 높아졌음이 눈에 띄어요. 그 이후에는 이렇게 기저귀 종류별 사용 실태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어요. 아마도 할 필요가 없어진게 아닐까요? 일회용 기저귀가 워낙 보편화되어서요. 2019년에 이루어진 어느 연구에서는 97.7%가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했고, 2.3%는 일회용과 천기저귀를 함께 쓴다고 응답했어요(김진선 외, 2019). 백 명 중에 두 명 겨우 만날 정도이니, 제가 주변에서 천기저귀 쓰는 사람을 보기 어려운 것도 당연했던 듯해요. 미국에서 95%의 가정이 일회용 기저귀만 사용한다고 합니다(Real Diapers, 2022).


2. "천기저귀와 일회용 기저귀는 어떨 때 주로 쓰나요?"


천기저귀를 쓰는 사람도 오로지 천기저귀만 쓰는 경우는 흔하지 않아요. 아기 낳고 퇴원해서 집에 온 이후부터 줄곧 천기저귀만 썼다는 사람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은 천기저귀를 쓰되 일회용을 같이 써요. 2000년도에 이루어진 어느 연구에서는 천기저귀와 일회용 기저귀를 쓰는 상황을 구분했어요.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천기저귀는 평상시, 낮에 활동할 때나 피부염이 발생했을 때 더 자주 사용하고 외출하거나 밤에 잘 때, 바쁠 때, 대변볼 때에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어요. 이는 현재도 천기저귀와 일회용 기저귀를 같이 쓰는 사람들에게는 비슷할 것 같아요. 제 경우에도 천기저귀를 주로 쓰지만 장거리를 차로 이동하거나 피곤할 때, 아이가 밤에 자주 깨는 시기 등에는 일회용을 쓰기도 해요.      


3. 기저귀 가격 및 하루 사용 개수 

    

일회용 기저귀 한 장은 얼마일까요? 소셜 커머스에서 기저귀를 주기적으로 구입하는 엄마들에겐 기저귀값이 익숙할 것 같아요. 저도 일회용 기저귀를 많이 쓰던 당시에는 여러 브랜드의 기저귀 값을 비교하곤 했어요. 저렴한 건 200-300원, 비싼 건 600-700원대로 기억하고 있네요.


기저귀는 하루에 몇 장 정도 사용이 될까요? 일회용이든 천이든 기저귀는 아이가 용변을 보면 즉시 갈아주는 것이 원칙이예요. 일회용 기저귀는 소변 알림줄이 있어서, 알림줄의 색이 변하면 기저귀를 갈면 되어요. 아기가 울거나 불편한 기색을 보이는 것도 기저귀를 갈아야 할 때라는 신호이지요. 미국의 어느 양육 정보 웹사이트에서는 연령에 따라 하루에 사용되는 기저귀 개수를 소개하기도 했어요. 생후 1개월 내의 신생아의 경우 10-12장, 1-5개월 아기는 8-10장, 5-12개월 아기는 8장이라고 하네요. 아기의 월령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3시간마다 갈아주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Firstcry Parenting). 하루에 기저귀를 8장 사용한다면 한 달에는 240장이예요. 기저귀 한 장이 300원이라고 보면, 하루에 기저귀 값으로 72000원이 필요하네요.   

   

36개월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연구(이명숙 외, 2000)에도 1일 평균 기저귀 수가 제시되어 있어요. 천기저귀의 경우 하루에 1-25개(평균 8.55개, SD = 5.55개), 일회용 기저귀는 1-13개(평균 4.55개, SD = 2.93개)였어요. 하루에 기저귀를 하나만 쓰는 경우도 있나? 하고 의아한 점도 있어요. 아마 질문을 잘 못 이해한 경우가 아닐까요? 극단치를 제외하고 봐도 천기저귀의 경우 일회용 기저귀보다 거의 두 배 넘게 사용되는 걸 알 수 있어요. 천기저귀는 일회용 기저귀만큼 뽀송한 느낌이 덜해서 자주 갈아주어야 하기 때문인지도 몰라요. 또 한편으로는, 천기저귀는 다시 쓸 수 있기 때문에 더 팍팍 쓸 수 있었는지도 모르구요. 저도 일회용 기저귀만 쓰다가 천기저귀를 막 쓰게 되었을 때 사용량을 기록해본 적이 있어요. 특히 돌 이전까지는 아기의 소변 패턴은 어른의 경우와 사뭇 달랐어요. 분명 기저귀를 갈아줬는데 5분도 채 지나지 않아서 또 소변을 보고, 또 몇 분 후에 또 소변을 본 적도 있어요. 기저귀를 자주 확인해보았기에 가능한 일이었어요. 일회용 기저귀를 썼다면 

‘소변 알림줄이 조금 더 선명해지면 갈아줄까?’

하고 고민했을 지도 몰라요.      




이상 천기저귀 사용하는 사람이 전체에서 얼마나 되는지, 천기저귀와 일회용 기저귀가 어떤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지, 기저귀의 가격와 하루 사용량이 어떤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일회용 기저귀가 거의 보편적으로 쓰이며, 하루 평균 8장을 쓰고 한 달에 약 7만원 정도를 일회용 기저귀를 사는데 지출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천기저귀를 쓰는 사람은 매우 적은 비율이며, 상황에 따라 천기저귀와 일회용기저귀를 혼용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전 06화 6화: 천기저귀를 주위에서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