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훌리아 Apr 04. 2023

에브리맨 - 필립 로스 저

수많은 별은 그가 죽을 운명이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었다.
모든 곳을 뚫고 들어가던 한낮의 빛이여.

<애브리맨> 필립 로스 저 p37, p188



오랜만에 비로소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하게 내 인생의 주인이 되었다는 느낌이 드는 이 순간에 왜 내가 내 삶을 불신해야 할까? 차분하게 똑바로 생각해 보면 앞으로 훨씬 더 견실한 삶이 남아 있는 것 같은데, 왜 내가 소멸의 가장자리에 있다는 상상을 할까? 그러나 매일 밤 별 아래에서 해변을 걸을 때마다 그런 일이 일어났다. p37



그는 아직 육십 대에 불과한데도 건강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몸은 늘 위협을 당하는 것 같았다. 그는 세 번 결혼을 했고, 애인들과 자식들과 성공을 안겨준 흥미로운 일자리를 가졌지만, 이제 죽음을 피하는 것이 그의 삶에서 중심적인 일이 되었고 육체의 쇠퇴가 그의 이야기의 전부가 되었다. p76



불길한 운명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느낌으로, 다시 충만해지기를 갈망하며 밑으로 내려갔지만, 결국 다시는 깨어나지 못했다. 심장마비. 그는 이제 없었다. 있음에서 풀려나 스스로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어디에도 없는 곳으로 들어가고 말았다. 처음부터 두려워하던 바로 그대로. p188








1959년 유대인의 풍속을 묘사한 단편집 『안녕 콜럼버스』를 발표하며 데뷔한 로스는 이듬해 이 작품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 후 1969년 어느 변호사의 성생활을 고백한 『포트노이 씨의 불만』을 발표하며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성공을 동시에 거둔다.

필립 로스는 1998년 『미국의 목가』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해 백악관에서 수여하는 문화예술훈장(National Medal of Art)을 받았고, 2002년에는 존 도스 파소스, 윌리엄 포크너, 솔 벨로 등의 작가가 수상한 바 있는, 미국 문학예술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에서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상인 골드 메달을 받았다.

필립 로스는 전미도서상과 전미비평가협회상을 각각 두 번, 펜/포크너 상을 세 번 수상했다. 2005년에는 “2003~2004년 미국을 테마로 한 뛰어난 역사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미국을 노린 음모 The Plot Against America』로 미국 역사가 협회상을 수상했다.

 『에브리맨』 소설은 2006년에 발표된 필립 로스의 스물일곱 번째 장편소설이다. 그에게 세 번째로 펜/포크너 상의 영광을 안겨준 작품이다. 한 남자가 늙고 병들어 죽는 이야기인 이 소설을 통해 필립 로스는 삶과 죽음, 나이 듦과 상실이라는 문제에 대한 예리한 통찰과 깊은 사유를 보여준다.



“망각. 더 이상 살아 있지 않다는 것, 살아 있다는 걸 느낄 수 없다는 것. 하지만 내가 열두 살 때 느꼈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지금 느끼는 두려움 사이의 차이점은 지금은 현실에 대한 체념 같은 것이 있다는 겁니다. 전에는 내가 언젠간 죽는다는 게 부당하다고 여겨졌는데, 지금은 아닙니다.”

필립 로스 『에브리맨』 발표 후 가진 한 인터뷰






책 속 이야기


『에브리맨』은 주인공인 ‘그’의 이름을 단 한 번도 밝히지 않는다. 다른 모든 등장인물들은 이름을 밝히고 있음에도 그는 그저 ‘그’일뿐이다.



소설은 황폐한 공동묘지에서 시작한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은 모두 누군가의 가족이거나 친구들이다. 그들은 막 세상을 떠난 한 사람을 추억하고 있다. 소설 『에브리맨』의 주인공은 바로 이 장례식의 당사자인 ‘그’이다.  ‘그’는 미국 뉴저지의 한 유대계 가정에서 태어난다. 그의 아버지는 ‘에브리맨’ 이라는 이름의 보석상을 운영하고 있다. 대공황이라는 어려운 시절에도 손님들에게 스스럼없이 외상을 주는 사람 좋은 아버지, 가족에게 충실한 온화한 어머니, 여러 방면에 뛰어나며 자신에게 한없이 자상하고 듬직한 형. 그는 안온한 가정에서 충분히 사랑받으며 커간다.



그는 오랫동안 화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꾸고 미술학교에 들어가지만, 세속적인 데다 모험을 싫어하는 탓에 그림을 포기하고 뉴욕의 광고회사에 취직해 아트 디렉터로 성공을 거둔다. 그 일은 그에게 경제적 풍요와 아름다운 여인들을 가져다주지만, 그는 결혼에서만은 성공을 거두지 못한다. 세 번의 결혼이 모두 실패로 끝난 것.



자신보다 스물다섯 살이나 어린 ‘뇌가 없는 모델’ 때문에 사려 깊고, 성숙하고, 헌신적이었던 두 번째 아내 피비를 배신했던 일은 그의 가슴을 특히 쓰라리게 한다. 여전히 자신에게 위로와 위안이 되는 딸 낸시를 보면 그 회환은 더욱 사무친다. 게다가 자신에게 그토록 자상했던, 그리고 자신이 누구보다도 사랑했던 형 하위와의 관계가 멀어진 것도 그의 마음을 괴롭힌다. 형이 자신보다 건강한 육체를 물려받았다는 이유만으로, 삶에 대한 의욕을 그만큼 강하게 전달하는 사람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그는 그토록 사랑했던 형에게마저 질투를 느끼고, 형과의 관계도 점점 소원해진 것이다.



‘그’는 이제 직장에서 은퇴하고 저지쇼의 은퇴자 마을 스타피시비치에 내려와 머문다. 9.11 테러 이후 피신하듯 뉴욕을 떠나 이곳에 자리 잡고 그토록 갈망하던 그림을 다시 그리기 시작한다. 스타피시비치 주민들을 위한 그림 교실도 열지만, 어쩐지 허전한 느낌은 지울 수 없다.




그를 둘러싸고 있는 이 세계는 죽어가는 잿빛 세계이다. 이 은퇴자 마을에서는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그 사람이 무엇을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제 그들의 이력이란 의학적 이력과 똑같은 것이 되어버렸고, 의학적 정보 교환이 무엇보다 중요시된다. 안 그래도 쇠약해져가는 몸은 잦은 수술과 예고 없이 찾아오는 통증을 감당하느라 지쳐 있는 데다, 느닷없는 외로움과 고립감은 그를 한없이 나약하게 만든다.




그 일은 끝난 것이 아니라 계속 진행되었다. 이제 한 해도 입원 없이 지나가지 않았다. 장수한 부모의 아들이고, 토머스 제퍼슨 고등학교에서 공을 들고뛰던 때와 마찬가지로 변함없이 건강해 보이는 여섯 살 위의 형을 둔 동생이었지만, 그는 아직 육십 대에 불과한데도 잰강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몸은 늘 위협을 당하는 것 같았다. 이제 죽음을 피하는 것이 그의 삶에서 중심적인 일이 되었고 육체의 쇠퇴가 그의 이야기의 전부가 되었다. p.76



자신이 없애버린 모든 것, 이렇다 할 이유도 없는 것 같은데 스스로 없애버린 모든 것, 더 심각한 일이지만, 자신의 모든 의도와는 반대로, 자신의 의지와는 반대로 없애버린 모든 것을 깨닫자, 자신에게 한 번도 가혹하지 않았던, 늘 그를 위로해 주고 도와주었던 형에게 가혹했던 것을 깨닫자, 자신이 가족을 버린 것이 자식들에게 주었을 영향을 깨닫자, 자신이 이제 단지 신체적으로만 전에 원치 않았던 모습으로 쪼그라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수치스럽게 깨닫자, 그는 주먹으로 가슴을 치기 시작했다.  p.164



친구들의 죽음과 병에 대한 소식이 하나 둘 들려온다. 그림 교실에 나오던 한 여인은 병이 주는 육체적 고통과 고립감, 두려움을 감당하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그’는 이 은퇴자 마을을 떠나 뉴욕으로 돌아갈 꿈을 꾼다. 그곳에서 사랑하는 딸 낸시와 함께 지내는 꿈을. 하지만 피비가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이 꿈은 시도도 해보지 못한 채 허망하게 깨진다. 경동맥 수술을 며칠 앞둔 어느 날, 그는 부모님이 묻혀 있는 무덤으로 향한다. 그곳에서 무덤 파는 남자와 이야기를 나누며 그는 그 무엇보다도 큰 위안을 얻는다.



그들은 그저 뼈, 상자 속의 뼈일 뿐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뼈는 그의 뼈였다. 그는 그 뼈에 가능한 한 바짝 다가가 섰다. 그렇게 가면 그들과 연결이라도 될 것처럼, 미래를 잃은 데서 생겨난 고립감은 완화되고, 사라진 모든 것과 연결되기라도 할 것처럼. (…) 육신은 녹아 없어지지만, 뼈는 지속된다. 내세를 믿지 않고, 신은 허구이며 지금 이것이 자신의 유일한 삶이라는 사실을 의심이 여지없이 믿고 있는 사람에게 뼈는 유일한 위로였다. p.176



그러고 나서 그저 평범한 일상의 일을 치르듯 그는 수술을 위해 병원을 향한다. 그리고 그 누구도 곁에 없이 홀로 수술실에 들어간다. 자신이 다시 충만해지길 바라면서. 하지만 그는 결국 다시 깨어나지 못한다. 그렇게 이제 ‘있음’에서 풀려나 어디에도 없는 곳으로 들어가고 만다. 그토록 두려워하던 그곳으로.






마무리.


소설이란 여러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데 이 이야기 너무 평범해서 지루하기까지 했지만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 흥미를 일으키고 심각하게 내 이야기가 되게 해서 '그래서 이것이 소설이다'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 애브리맨은 읽어야지 책장에 꽂아둔지 언제인지도 모를 정도로 나에게는 오래된 책이었다.



나에게 다시 돌아온 독서의 계절에서 드디어 읽게 되었다. 별로 이 주인공에 대해 알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서 덮어버릴 뻔했는데 그런 평범한 이야기가 곧 내 이야기라는 생각에 어쩔 수 없이 '읽어야 되지 않겠어'라고 나를 돌려세웠다.



내가 후회하는 일이 산더미 같은데 이 주인공도 마찬가지다. 우리 모두 애브리맨.



이전 11화 죽어가는 짐승 - 필립 로스 '죽음에 대한 복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