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별은 그가 죽을 운명이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었다.
모든 곳을 뚫고 들어가던 한낮의 빛이여.
<애브리맨> 필립 로스 저 p37, p188
1959년 유대인의 풍속을 묘사한 단편집 『안녕 콜럼버스』를 발표하며 데뷔한 로스는 이듬해 이 작품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 후 1969년 어느 변호사의 성생활을 고백한 『포트노이 씨의 불만』을 발표하며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성공을 동시에 거둔다.
필립 로스는 1998년 『미국의 목가』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해 백악관에서 수여하는 문화예술훈장(National Medal of Art)을 받았고, 2002년에는 존 도스 파소스, 윌리엄 포크너, 솔 벨로 등의 작가가 수상한 바 있는, 미국 문학예술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에서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상인 골드 메달을 받았다.
필립 로스는 전미도서상과 전미비평가협회상을 각각 두 번, 펜/포크너 상을 세 번 수상했다. 2005년에는 “2003~2004년 미국을 테마로 한 뛰어난 역사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미국을 노린 음모 The Plot Against America』로 미국 역사가 협회상을 수상했다.
『에브리맨』 소설은 2006년에 발표된 필립 로스의 스물일곱 번째 장편소설이다. 그에게 세 번째로 펜/포크너 상의 영광을 안겨준 작품이다. 한 남자가 늙고 병들어 죽는 이야기인 이 소설을 통해 필립 로스는 삶과 죽음, 나이 듦과 상실이라는 문제에 대한 예리한 통찰과 깊은 사유를 보여준다.
“망각. 더 이상 살아 있지 않다는 것, 살아 있다는 걸 느낄 수 없다는 것. 하지만 내가 열두 살 때 느꼈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지금 느끼는 두려움 사이의 차이점은 지금은 현실에 대한 체념 같은 것이 있다는 겁니다. 전에는 내가 언젠간 죽는다는 게 부당하다고 여겨졌는데, 지금은 아닙니다.”
필립 로스 『에브리맨』 발표 후 가진 한 인터뷰
『에브리맨』은 주인공인 ‘그’의 이름을 단 한 번도 밝히지 않는다. 다른 모든 등장인물들은 이름을 밝히고 있음에도 그는 그저 ‘그’일뿐이다.
자신보다 스물다섯 살이나 어린 ‘뇌가 없는 모델’ 때문에 사려 깊고, 성숙하고, 헌신적이었던 두 번째 아내 피비를 배신했던 일은 그의 가슴을 특히 쓰라리게 한다. 여전히 자신에게 위로와 위안이 되는 딸 낸시를 보면 그 회환은 더욱 사무친다. 게다가 자신에게 그토록 자상했던, 그리고 자신이 누구보다도 사랑했던 형 하위와의 관계가 멀어진 것도 그의 마음을 괴롭힌다. 형이 자신보다 건강한 육체를 물려받았다는 이유만으로, 삶에 대한 의욕을 그만큼 강하게 전달하는 사람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그는 그토록 사랑했던 형에게마저 질투를 느끼고, 형과의 관계도 점점 소원해진 것이다.
자신이 없애버린 모든 것, 이렇다 할 이유도 없는 것 같은데 스스로 없애버린 모든 것, 더 심각한 일이지만, 자신의 모든 의도와는 반대로, 자신의 의지와는 반대로 없애버린 모든 것을 깨닫자, 자신에게 한 번도 가혹하지 않았던, 늘 그를 위로해 주고 도와주었던 형에게 가혹했던 것을 깨닫자, 자신이 가족을 버린 것이 자식들에게 주었을 영향을 깨닫자, 자신이 이제 단지 신체적으로만 전에 원치 않았던 모습으로 쪼그라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수치스럽게 깨닫자, 그는 주먹으로 가슴을 치기 시작했다. p.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