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종문 Oct 23. 2016

식물공장 흑자달성 방안

[반도체공장은 식물공장에 적합하지 않다.]파나소식의 강의

이글은 아래 주소의 불로그에서 글을 읽고 원문을 찾아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원문의 내용은 불로그에서 잘 정리해주신것을 간단하게 인용하였습니다.


http://blog.naver.com/esjpark/220510634286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半導体工場は植物工場に向かない」パナソニックが講演

[반도체공장은 식물공장에 적합하지 않다.]파나소식의 강의

ワークス社 副社長の杉田卓也氏と同アグリ事業推進室 主幹の松葉正樹氏が行った。

「現在の植物工場の7~9割は赤字と思われる」

[현재 일본식물공장의 70~90%는 적자로 생각된다.]

(松葉氏)とする中、同社では

「補助金に頼らず黒字化できる」とうたう植物工場の設備事業を展開しており、その極意を解説した。

"보조금에 의지하지 않고 흑자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식물 공장 시설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비법을 설명했다.

http://techon.nikkeibp.co.jp/atcl/news/15/101500740/?P=1

パナソニックが「農業ワールド 2015」「第2回 国際 次世代農業EXPO」で展示した棚。同社の福島工場実証栽培エリアは面積1200m2、高さ5m、長さ15mの栽培棚が15列あり、日産1800株。採算ラインは面積1000m2以上、日産2000株以上の工場で、投資額2億円以上、回収に約7~8年といったケースを想定している。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위의 그림은 파나소식이 [농업월드2015][제2회 국제 차세대농업EXPO]에 전시한 식물재배시설입니다.]



黒字化に向けた3ポイント

[흑자화에 대한 3가지 포인트]

 松葉氏は

「植物工場は“農業”ではなく“工業”」と言い切り、「黒字化」のポイントを「歩留り95%以上」と「垂直立ち上げ」、「ランニングコストの圧縮」の三つとする。

[식물 공장은 "농업 "이 아니라 "공업 ]이라고 단언하고 [흑자화]의 포인트를  [수율 95 % 이상]과[수직구조화], [운영유지비 절감]의 3가지이다.

저는 3가지 흑자포인트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구나 또는 그정도면 흑자를 달성할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식물공장을 '농업'이 아니라 '공업'이라고 단언하는 부분에는 정반대의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식물공장(Plant Factory)라는 단어를 만들어내고 사용하고 있지만 그 단어가 네덜란드의 시설농업에서 유래한것과 같이 식물공장은 '공업'이 아니라 '농업'입니다.

식물공장이 식물에 대한 공장형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식물은 생명을 가진 생명체입니다.

생명체인 식물을 기르는 일이 공업이 될 수 는 없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농업에 공업의 기술이 접목될 수 는 있어도 식물공장에서 식물을 재배하는것은 '공업'이 아니라 '농업'입니다.


植物工場における歩留りとは、一定期間に基準重量となる株の割合のこと。

식물공장에서 수율이란, 일정기간에 기준중량까지 성장하는 식물의 비율을 말한다.

従来の植物工場では歩留りが6~7割と低いという課題があった。

종래의 식물공장에서는  수율이 60~70%수준으로 낮은 것이 문제였다.

歩留りを下げる主因となるのが、栽培環境の不均一性。

수율이 낮은 주요원인은 재배환경의 불균일성때문이다.

顕著なのは温度で、天井高さ5mの工場の場合、植物を設置する最上段の棚と最下段の棚では4~6℃の温度差があるという。

가장 큰 요인은 온도로 천정높이 5m의 공장의 경우, 식물공장을 설치할때 가장 높은 단과 가장 낮은 단 사시에 4~6도의 온도차이가 발생한다.

현재 우리나라 식물공장 시설업체중에는 천정높이 5m의 경우 가장 높은 단과 가장 낮은 단 사이에 온도차이가 1도 이상 나지 않는 시설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同社では特殊空調と施工前のコンピュータシミュレーションにより、温度差を1.5℃以内に収められるとする。

(동사 : 파나소닉)는 특수공조와 시공전에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온도차를 1.5도 이하로 낮출 수 있다.

照明などほかの要因も組み合わせ、場所によらずすべての株が均一に成長する環境を作り上げられるとする。

조명 이외의 요인도 고려하여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식물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一段の棚の中でも、手前、奥で生育状況に差がないことを強調する、同社の展示資料。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もう一つ、従来の植物工場で問題となっているのが、立ち上がりの遅さだ。

또하나, 종래의 식물공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정상적인 가동의 지연이다.

異業種参入など、野菜育成のノウハウがないままに植物工場を始めるケースが多く、予定通りに植物が育成せず立ち上げに1~2年かかるのが一般的という。

이업종 참여 등 채소재배의 노하우가 없는 식물공장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서 생각대로 식물이 자라지 않아 본젹적인 재배에 1~2년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이제 막 식물공장이 움트기 시작한 우리나라에서도 꼭 생각해야할 일인것같습니다.

제가 식물공장을 '공업'이 아니라 '농업'이라고 이야기 드린 이유중 하나도 이부분에 있습니다.

농업에서 귀농하시는 분들이 아무리 많은 지식을 갖춘 분이라도 이론만으로 좋은 농산물을 생산할 수 없듯이, 식물공장에서도 아무리 첨단 시설을 갖춘 식물공장이라도 재배하는 사람이 식물재배에 대한 일정수준의 노하우가 축적되기전에는 성공적인 재배가 어렵기때문입니다.

그것은 식물공장에서 식물이라는 생명체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재배하는것이기때문입니다.

パナソニックの場合は、同社で開発した栽培レシピを提供、使用者はパソコン上で育成する品種や期間などの設定をマウスでクリックするだけで最適な温湿度・LED照射時間・CO濃度・養液などに自動で調整するシステムを用意している。

파나소닉의 경우에는 자사에서 개발한 재배레시피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PC에서 재배하는 품종이나 기간 등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설정하기만 하면 최적의 온습도, LED조명시간, CO2농도, 양액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徹底した温度・照度の制御と合わせ、「初日から生産できる」(松葉氏)。

철저한 온도, 조도의 제어와 함께 [ 첫날부터 생산할 수 있다].


赤青LEDが低ランニングコストに効く

적청LED가 운영유지비 절감에 유효

加えて同社ではランニングコストにも注目、LEDを薦める。

더하여 자사(파나소닉)은 운영유지비에 주목하여 LED를 추천하고 있다.

現在、植物工場の7割が蛍光灯を使用しているが、高速栽培を可能とする赤青LEDを使うなど工夫を施すことで、蛍光灯比で約60%、白色LED比でも約30%のエネルギー消費量を削減できる。

현재, 식물공장의 70%는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고속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적청LED를 사용하는 연구를 함으로써 형광등에 비해 약60%, 백색LED에 비해 약 30%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100% LED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오래전부터 적청LED에 대한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初期投資が高額になるものの、蛍光灯では照度不足による生育不良を防ぐには1.5年毎に入れ替えする必要があるため、LEDが有利と説明する。

초기투자가 많은 편이기는 하지만 형광등은 조도부족에 따른 생육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1.5년마다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LED가 더 유리하다고 한다.

「パナソニックは自社のLEDを売るために植物工場をやっ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言われることがあるが、パナソニック製のLEDはオフィス・家庭用。植物工場には向かないので、他メーカー品を使っている」(松葉氏)。

[파나소닉이 자사의 LED를 판매하기 위해 식물공장 사업을 하는 것은 아닌지 말들을 하고 있지만, 파나소닉 LED는 사무실 및 가정용이다. 식물공장에 쓰이는 LED는 다른 업체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同社のいう「黒字化」には一つ条件がある。

자사( 파나소닉)에서 말하는 [흑자화]에는 하나의 조건이 있다.

それが「建屋さえあれば」というもの。

그것은 건물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つまり、廃工場など既存の建物を使うことを想定しており、実際に植物工場は「廃屋の有効利用策」と考えられているケースも多い。

결국, 사용하지 않는 공장과 같은 기존의 건물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식물공장은 [폐건물의 효과적인 이용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ただし「半導体工場は向かない」と松葉氏。

그러나, [반도체 공장은 적합하지 않다]

半導体工場の空調設備はスペックが高すぎ、電気代がかかりすぎるという。

반도체공장의 공조설비는 스펙이 너무 높아, 전기요금이 너무 많이 든다.

どうしても半導体工場を使いたい場合は、空調設備を入れ替えるしかない」(松葉氏)。

[아무래도 반도체공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는 공조설비를 교체할 수 밖에 없다.]

向いているのは、断熱性の高い冷蔵・冷凍倉庫。

다른것에는, 단열성이 높은 냉장 냉동창고가 있다.

同社ではレタス日産2000株(200㎏)以上の大規模工場を想定しており、天井高さが4m以下だったり床が平坦でなかったりすると、同社の基準としては向かないとしており、廃校舎などの活用は難しいとした。

본사(파나소닉)은 레터스를 매일 2,000포기(200kg)이상의 대규모공장을 상정하고 있으며, 천정높이가 4m이하 이거나 바닥이 평탄하지 않으면 본사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고, 폐교 등은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栽培レシピはQSDで最適化

재배레시피의 QSD(다변량해석)최적화

パナソニックでは、最初の顧客への設備納入を開始している。

파나소닉은 최초의 고객에게 설비납품을 개시했다.

今後は、有償の栽培レシピなどを提供することで、売上を伸ばしていく考えだ。

이후에는 유상 재배 레시피 등을 제공하여 매출을 늘려 나갈 생각이다.

ここで重要と考えているのが、インキュベーターと呼ぶ研究設備。

여기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것이 인큐베이터라고 부르는 연구설비이다.

1回に60通りの育成条件を試せる装置で、温度、湿度、CO2濃度、照度などのパラメータを変えて育成、パラメータの最適化を図る「QSD(多変量解析)」の手法を導入している。

1 회에 60 가지의 육성 조건을 시험 할 수있는 장치로, 온도, 습도, CO2 농도, 조도 등의 매개 변수를 바꾸어 육성 매개 변수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QSD (다변량 분석) '기법을 도입하고있다 .

우리나라도 이런 연구와 설비가 필요합니다.

無償提供する標準の栽培レシピは、この設備を活用することで開発期間を短縮できたという。

무상 제공하는 표준 재배 레시피는, 이 시설을 활용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한다.

有償提供する栽培レシピは、特定栄養素の含有量を操作した「機能性野菜」や、LEDの照射パターンを変えるなどして甘みや苦み、食感などを作り分ける「味制御野菜」などを想定する。

유상 제공하는 재배 레시피는, 특정 영양소의 함량을 조작 한 [기능성 채소]와 LED의 조사 패턴을 바꾸는 등 단맛과 쓴맛, 식감 등을 만들고 나누어 [맛 제어 야채] 등을 상정한다.

                       工業業界では一般的な「QSD」を農業に応用する。同社の展示資料。

                                                [画像のクリックで拡大表示]


機能性野菜の一つである「低カリウムレタス」についてはすでに栽培レシピを開発済み。

기능성 야채의 하나 인 [저칼륨 양상추」에 대해서는 이미 재배 레시피를 개발 완료했다.

低カリウムレタスは100gあたりのカリウム量が100㎎以下のもので、病気のためにカリウムを控えなければならない患者に向けたものだ。

저칼륨 양상추는 100g 당 칼륨 량이 100㎎ 이하의 것으로, 질병 때문에 칼륨을 줄여야하는 환자를위한 것이다.

すでに一般に販売されているが、レタスは外葉のほうがカリウム含有量が多いという性質があるため、低カリウムレタスとして栽培されているレタスも、外葉を数枚廃棄しており、コストが高いという課題があった。

이미 일반에 판매되고 있지만, 양상추는 외부 잎 쪽이 칼륨 함량이 많다는 특성으로 인해 낮은 칼륨 양상추로 재배되고있는 양상추도 외부 잎을 몇 장 폐기함으로 비용이 높다는 과제가 있었다.

同社では育成条件を管理することで、外葉でもカリウム含有量を100㎎以下に抑えられるようにした。

본사(파나소닉)는 육성 조건을 관리하는 것으로, 외부 잎에서도 칼륨 함량을 100㎎ 이하로 억제 할 수 있도록했다.

味制御野菜としては、甘みが強くおやつに食べられる「スナックレタス」を開発中という。

맛 제어 야채로는 단맛이 강하고 간식으로 먹을 수있는 [스낵 양상추]를 개발 중이다.

저는 미래 산업으로서의 식물공장은 첨단시설에서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파나소닉이 연구하고 있는것과 같이 어떤 식물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하는 재배레시피를 얼마만큼 많이 보유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의미에서 파나소닉이 앞서서 식물공장은 '농업'이 아니라 '공업'이라고 한것은 그만큼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농업에 접근해야 한다는 말로 이해하면 될 것같습니다.


이전 11화 '식물공장'의 경제성과 미래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